"KoreanSpeakingTeachingMethod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연구 분석 : 온톨로지를 활용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분석 | #연구 분석 : 온톨로지를 활용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분석 | ||
===온톨로지=== | ===온톨로지=== | ||
− | <font color="tomato"><big>논문_학회_연구자</big></font> | + | '''<font color="tomato"><big>논문_학회_연구자</big></font>''' |
2020년 12월 10일 (목) 09:12 판
연구 목적
본고는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의 동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
[2017-2020] 한국어 말하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동향 논문 32편
- 박사 학위논문 : 7개
- 학술논문 : 25개
발행유형 | 시기 | 제목 | 이름 | 출판사 |
---|---|---|---|---|
학술논문 | 2017 | 회화적 담화 능력 신장을 위한 몽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교육 연구 | 곽상흔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7 |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 강명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석사논문 | 2017 | 섀도잉 학습법(SSDL)이 발표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_중국 대학 한국어과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이훈순 | 연세대학교 |
석사논문 | 2017 |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득적 말하기 교육 연구 | 괵셀 튀르쾨쥐 | 서울대학교 |
학술논문 | 2017 | 통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_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이동은 | 한글학회 |
석사논문 | 2017 |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구성 요소 연구 | Kewalin, Simuang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술논문 | 2017 | 말하기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김순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학술논문 | 2006 |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론에 관한 실제 조사 연구 : 서울 시내 4개 대학의 말하기 교육 중심으로 | 전홍식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학술논문 | 2006 | 한국어 회화 수업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 최수진 | 한중인문학회 |
학술논문 | 2006 |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연구 | 이도영 | 한국어교육학회 |
석사논문 | 2006 | 과제중심의 말하기 수업 구성 방안 | 양현민 | 한국외국어대학교 |
석사논문 | 2007 | 훈련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소통 장애 극복을 위한 전략을 중심으로 | 김미경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사논문 | 2007 |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연구 | Singh, Neerja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사논문 | 2007 | 말하기 교수 원리 연구 | 조수진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석사논문 | 2007 | 중심 형태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 이을지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학술논문 | 2008 |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듣기 연계 교육 방안 | 조위수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
학술논문 | 2008 |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교육방안 -토론담화표지를 활용하여- | 박애양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학술논문 | 2008 | 분석론과 말하기 교육- | 구현정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
학술논문 | 2008 | 말하기 교육과 교육 연극적 방법- | 김유미,신원선 | 한국어교육학회 |
석사 | 2008 | 위한 과제중심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 김선호 | 선문대학교 대학원 |
석사 | 2008 |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 엄혜영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석사 | 2008 |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 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 Zhao, Ni-Na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석사 | 2008 |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수법 연구- | 김지현 | 영남대학교 대학원 |
학술논문 | 2009 | 한국어 말하기 지도 방안 - 초급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 | 임화정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학술논문 | 2009 | 한국어 Phonics를 통한 발음 규칙 교수-학습 방안 | 김형복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학술논문 | 2010 | 말하기교육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 이민경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0 | 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와 문법의 통합 교육 | 이미혜 | 한국문법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0 | 활용한 한국어 듣기 말하기 통합 교육 방안 -중국 현지 대학생을 대상으로 | 두도장, 리한교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
학술논문 | 2011 | 말하기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ESI 모델 | Neerja Samajdar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1 | 교실에서의 말하기 교육 방안 | 한상미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1 | 한국어 교실에서의 말하기 교육 방안 | 한상미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학술논문 | 201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Can Do」 개발 연구 -「서강 한국어」 사용 독일,체코 대학에서의 성취도 평가를 목적으로- |
김성희 , 오문경|| 국제한국어교육학회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학술논문 | 2011 | 협조적 대응 발화 유형 분석 -라디오 진행자와 청취자의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 김유선 | 국제한국어교육학회추계학술발표논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