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YoutubeChannel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연구 방법)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 <big>'''영상 분석 기준'''</big> | * <big>'''영상 분석 기준'''</big> | ||
+ | |||
1) '''오디오비주얼 리뷰의 구성 확인'''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채널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 1) '''오디오비주얼 리뷰의 구성 확인'''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채널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 ||
131번째 줄: | 132번째 줄: | ||
** 비교 : 영화를 다른 영화나 예술 작품, 사회 현상(실화)와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 | ** 비교 : 영화를 다른 영화나 예술 작품, 사회 현상(실화)와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 | ||
** 가치 평가 : 대중성, 상업성의 기준으로 영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점이 있다. <ref> 신강호(1989:184)는 대중 비평의 주요 쟁점이 ‘영화가 볼 만 한 가치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가치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영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소비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때에 중요한 가치인 대중성, 상업성을 의미한다. </ref> | ** 가치 평가 : 대중성, 상업성의 기준으로 영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점이 있다. <ref> 신강호(1989:184)는 대중 비평의 주요 쟁점이 ‘영화가 볼 만 한 가치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가치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영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소비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때에 중요한 가치인 대중성, 상업성을 의미한다. </ref> | ||
− | |||
− | |||
==연구 데이터== | ==연구 데이터== |
2020년 10월 12일 (월) 19:39 판
연구 목적
유튜브 인기 영화 채널 내 오디오비주얼 리뷰의 대중 비평 가능성 탐구
연구 대상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는 영화 유튜브 채널 내 영화 관련 영상
- 채널 및 영상 수 [1]
- 총 3채널, 영상 93편 수집
- 지무비 : G Movie (117만) : 28편
- 고몽 (112만) : 38편
- 김시선 (97.9만) [2] : 27편
- 콘텐츠 [3]
영화
|
---|
|
연구 방법
- 연구 진행 순서
- 2020.1.~2020.10.3. 내 세 개의 채널에서 다루어진 콘텐츠 내 영화 관련 영상 추출
- 대상으로 한 영화 및 상영 플랫폼 확인
- 영상 분석 기준을 토대로 오디오비주얼 구성 및 감상-비평 형태 확인
- 영상 분석 기준
1) 오디오비주얼 리뷰의 구성 확인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채널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 영상의 형식적인 측면
- 1) 영상 전체, 2) 리뷰의 단계, 3) 이야기의 소개 시 플롯, 신 혹은 시퀀스별로 어떤 형식 차용했는지 확인할 것이다.
- 주석을 단 인용 : 영화 일부를 다른 맥락 내 발췌, 인용문으로 활용하는 경우. 보이스오버 없음.
- 수퍼컷 : 동일한 패턴의 장면, 미장센을 반복하는 경우. 감독의 특성을 증명할 때 등에 사용. 보이스오버 없음.
- 매쉬-업 : 영화의 장면들을 이어붙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이야기를 제작하는 경우. 보이스오버 없음.
- 비디오그래픽 분석 : 영상을 분석하고 비평하는 경우. 형식주의를 취할 수 있어서 연구 논문의 대안이 될 수도 있음. 보이스오버 있음.
- 비디오 강의 : 특정 범위와 관점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나레이터가 있는 비디오. 보이스오버가 있으며 다른 텍스트, 필름과 이미지 중첩도 활용할 수 있음. 나레이터가 직접 모습을 드러내기도 함.
- 논문 비디오 : 논문에 기초하여 주장과 토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수사적인 도구로서 활용하는 경우. 이론적인 틀, 면밀한 분석, 결론을 수반하며 주석의 기능을 하는 필름의 클립을 제공함. 보이스오버 있음.
- 위 구분은 이자혜ㆍ박미선(2019:351)[4]이 재인용한 반 덴 버그ㆍ키스(van den Berg&Kiss, 2016)의 분류표를 가져온 것이다.
※ 영화 리뷰의 장르적인 측면
- Taboada(2011)[5]은 온라인 리뷰 장르에는 몇 가지 단계(stage)가 있다고 정리한다. 본고는 해당 연구에서 제시한 온라인 리뷰의 장르적인 속성을 바탕으로 영상의 내용적인 측면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리뷰가 저자 배경(가치관, 관련 사실)이나 리뷰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영화 요약)에서 시작해 평가로 마무리된다고 한다.
- 개요 (subject matter) : 영화 리뷰의 첫머리나 평가(별점) 이후에 등장하는 단계로서 스토리 전반을 간결하게 요약한 것이다.
- 플롯 (plot) : 영화 리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영화의 스토리 중 주요한 사건, 장면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 캐릭터 (character) : 주요 플롯 설명과 함께 등장하며 캐릭터가 장면 안에서 무엇을 하며 왜 하는지를 기술하는 단계이다.
- 저자 배경 (background) : 저자가 자신과 리뷰 대상(영화, 작품)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저자 자신의 개인적인 배경이 소개되거나 저자가 자신의 가치관, 깨달음 등을 통고하는 단계이다. 평가와는 다르며 감상 서술에 가깝다. 저자가 리뷰 대상에 대한 관점을 명시하거나 관련 사실을 제시하지 않은 한 리뷰의 첫머리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 평가 (evaluation) : 영화에 대한 평가를 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진다. 영화 전반, 스토리, 감독, 배우를 비롯한 기타 사항에 대한 저자의 평가가 제시된다.
2) 비평의 유무 판단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감상에만 머무르는지 비평의 단계로 나아가는지 확인할 것이다. [6] [7][8]
※ 감상을 확인할 기준
- 영화
- 영화의 장르 구별 : 영화의 장르를 언급한다.
- 이야기 전개 설명 : 이야기의 전개를 설명한다. 이야기의 전개는 ’플롯, 성격, 행위의 원인과 결과, 클라이막스 등‘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는 것이 해당한다.
- 감상평
- 연기의 주관적 감상: 배우의 연기에 대한 개인 감상을 서술한다.
- 작품의 오락적 가치 제시 : 작품의 오락적 가치(재미)의 유무에 대해 제시한다.
※ 비평을 판별할 기준
- 영화
- 심리 분석 :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동기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상징 분석 : 미장센을 통해 영화가 내포하는 상징이나 의미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오락 가치 : 주관적인 가치 기준으로 재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근거(연기의 질, 특수효과, 무대장치 등)를 토대로 영화의 오락적 가치를 판별한다.
- 비평
- 강점과 결점 찾기 : 영화가 갖는 고유의 강점과 결점에 대해 언급하는 대목이 있다.
- 비교 : 영화를 다른 영화나 예술 작품, 사회 현상(실화)와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
- 가치 평가 : 대중성, 상업성의 기준으로 영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점이 있다. [9]
연구 데이터
- ↑ 구독자 수는 2020년 10월 4일 기준 집계이다.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거나 육박하는 상위 3개 채널 내의 영화 관련 영상을 중심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 ↑ 100만이 되지는 않지만 광고성 영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100만을 육박해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 ↑ 채널 간 중복으로 제시된 영화는 두꺼운 글씨로 표시했다.
- ↑ 이자혜ㆍ박미선(2019),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 학문적 영화비평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 영화연구(82), 335-370.
- ↑ Maite Taboada(2011). Stages in an online review genre. Text & Talk -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Language, Discourse & Communication Studies. 31. 247-269.
- ↑ 한래희(2013:223)의 이선영ㆍ권영민(2003) 재인용 및 신강호(1989)가 제시한 기준 참조해 본고에서 재분류한 것이다. 각각의 기준은 아래의 주석과 같다.
- ↑ 한래희(2013).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리터러시연구(6), 213-247
한래희(2013:223)가 재인용한 이선영ㆍ권영민(2003)의 비평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단하다(to judge) 가치를 평가하다(to evaluate) 분석하다(to analyse) 감상하다(to appreciate) 결점을 찾는다(to fault-finding) 칭찬하다(to praise) 종류를 나누다(to classify) 비교하다(to compare) - ↑ 신강호(1989). 영화비평의 방법론. 영화연구(6), 181-200 신강호의 기준은 영화 초창기 감상(신강호, 1989:183)과 대중 비평-학술 비평을 구분한 대목의 기준(신강호, 1989:184)의 대목을 개조식으로 나열한 것이다.
- ↑ 신강호(1989:184)는 대중 비평의 주요 쟁점이 ‘영화가 볼 만 한 가치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가치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영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소비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때에 중요한 가치인 대중성, 상업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