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학위논문 장르적 특징 분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데이터 자료)
18번째 줄: 18번째 줄:
 
== 데이터 자료==
 
== 데이터 자료==
 
집단 1 : <초록>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적 표현(정형화된 표현)을 수집  
 
집단 1 : <초록>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적 표현(정형화된 표현)을 수집  
 +
 +
 +
참고문헌: 조은영 (2012)<ref>조은영.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서울 (97-99쪽)</ref>
  
  

2020년 6월 24일 (수) 12:26 판

연구목적 및 필요성

주제: 학위논문 중의 <초록> 및 <선행연구> 텍스트 분류


1992년부터 한•중 수교이래 한국으로 유학하러 온 외국인 학습자들은 점점 많아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석사 또는 박사 과정을 다니는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 수도 날로 증가되고 있다. KESS 교육통계서비스에서 조사한 [1]결과에 따르면 석•박사 학위과정 다니는 외국인 학생 중 중국인 학습자는 전부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png 한국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png


대학원 공부를 하면서 학기말 리포트, 석•박사 졸업논문 등 논리적으로 글을 써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박사 과정을 취득하는 요건으로 1~3편의 게재 논문 등도 작성해야 한다. 때문에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에 대하여 ‘학술적 글쓰기’ 능력은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능력이다. 그러나 유학생들은 항상 그들이 모델로 참조할 수 있는 텍스트에 대한 접근이 없는 전제 하에 학위 논문을 써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전문적 내용도 어렵지만 언어적 차원에서의 어려움도 작지 않다.


그래서 신경망 기술과 텍스트 분류 실습을 통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이 쓴 문장이 <초록> 및 <선행연구>에 요구된 틀과 어느 정도로 잘 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데이터 자료

집단 1 : <초록>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적 표현(정형화된 표현)을 수집


참고문헌: 조은영 (2012)[2]


집단 2 : <선행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언어적 표현 (정형화된 표현)을 수집

연구방법

연구1

연구2

임의로 한 단락의 문장을 입력하여 , 이 단락의 속성이 <초록>에 속하는 지 아니면 <선행연구>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류 테스트하고자 함.

출처

  1.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 (2019년)|출처: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https://kess.kedi.re.kr/index) (2020년 6월 21일 검색)
  2. 조은영.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국문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서울 (97-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