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 대동군 재경리면 천서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4번째 줄: | 4번째 줄: | ||
<div style="text-align:center">[[파일:목넘이마을의개그리고천서리.png|500px|]]</div> | <div style="text-align:center">[[파일:목넘이마을의개그리고천서리.png|500px|]]</div>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efefef;" |
|- | |- | ||
! 어디를 가려도 목<ref>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중요한 통로의 좁은 곳</ref>을 넘어야 했다. '''남쪽만은 꽤 길게 굽이돈 골짜기를 이루고 있지만, 결국 동서남북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어디를 가려도 산목을 넘어야만 했다.''' 그래 이름지어 목넘이 마을이라 불렀다. 이 목넘이 마을에 한 시절 이른봄으로부터 늦가을까지 적잖은 서북간도 이사꾼이 들러 지나갔다. 남쪽 산목을 넘어오는 이들 이사꾼들은 이 마을에 들어서서는 으레 '''서쪽 산 밑 오막살이 앞에 있는 우물가'''에서 피곤한 다리를 쉬어 가는 것이었다. | ! 어디를 가려도 목<ref>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중요한 통로의 좁은 곳</ref>을 넘어야 했다. '''남쪽만은 꽤 길게 굽이돈 골짜기를 이루고 있지만, 결국 동서남북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어디를 가려도 산목을 넘어야만 했다.''' 그래 이름지어 목넘이 마을이라 불렀다. 이 목넘이 마을에 한 시절 이른봄으로부터 늦가을까지 적잖은 서북간도 이사꾼이 들러 지나갔다. 남쪽 산목을 넘어오는 이들 이사꾼들은 이 마을에 들어서서는 으레 '''서쪽 산 밑 오막살이 앞에 있는 우물가'''에서 피곤한 다리를 쉬어 가는 것이었다.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efefef;" | ||
+ | |- | ||
+ | ! 여인들은 애를 업고도 머리에다 무어든 이고 있고. 이들은 '''우물가에 이르자 능수버들 그늘 아래'''서 먼첨 목을 축였다.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efefef;" | ||
+ | |- | ||
+ | ! 그러나 떠날 때에는 여전히 다리를 쩔룩이며 북녘 산목을 넘어 사라지는 것이었다. 저녁녘에 와 닿는 패는 마을서 하룻밤을 묵는 수도 있었다. 그럴 때에는 또 으레 '''서산 밑에 있는 낡은 방앗간'''을 찾아 들었다. 방앗간에 자리 잡자 곧 여인들은 자기네가 차고 가는 바가지를 내들고 밥 동냥을 나섰다. 먼저 찾아가는 것이 게서 '''마주 쳐다보이는 동쪽 산기슭에 있는 집 두 채의 기와집'''이었다.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efefef;" | ||
+ | |- | ||
+ | ! 이 목넘이 '''마을 서쪽 산 밑 간난이네 집 옆 방앗간'''에 웬 개 한 마리가 언제 방아를 찧어 보았는지 모르게, 겨 아닌 뽀얀 먼지만이 앉은 풍구(바람을 일으켜 곡물에 섞인 먼지나 겨, 쭉정이 등을 제거하는 농기구) 밑을 혓바닥으로 핥고 있었다.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efefef;" | ||
+ | |- | ||
+ | ! 그러고 보면 또 신둥이 몸에 든 황톳물도 어쩐지 '''평안도 땅'''의 황토와는 다른 빛깔 같았다. | ||
|} | |} | ||
==<small>'''각주'''</small>== | ==<small>'''각주'''</small>== | ||
<references/> | <references/> |
2020년 6월 11일 (목) 02:03 판
- 「목넘이마을의 개」의 배경이 천서리이다.
어디를 가려도 목[1]을 넘어야 했다. 남쪽만은 꽤 길게 굽이돈 골짜기를 이루고 있지만, 결국 동서남북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어디를 가려도 산목을 넘어야만 했다. 그래 이름지어 목넘이 마을이라 불렀다. 이 목넘이 마을에 한 시절 이른봄으로부터 늦가을까지 적잖은 서북간도 이사꾼이 들러 지나갔다. 남쪽 산목을 넘어오는 이들 이사꾼들은 이 마을에 들어서서는 으레 서쪽 산 밑 오막살이 앞에 있는 우물가에서 피곤한 다리를 쉬어 가는 것이었다. |
---|
여인들은 애를 업고도 머리에다 무어든 이고 있고. 이들은 우물가에 이르자 능수버들 그늘 아래서 먼첨 목을 축였다. |
---|
그러나 떠날 때에는 여전히 다리를 쩔룩이며 북녘 산목을 넘어 사라지는 것이었다. 저녁녘에 와 닿는 패는 마을서 하룻밤을 묵는 수도 있었다. 그럴 때에는 또 으레 서산 밑에 있는 낡은 방앗간을 찾아 들었다. 방앗간에 자리 잡자 곧 여인들은 자기네가 차고 가는 바가지를 내들고 밥 동냥을 나섰다. 먼저 찾아가는 것이 게서 마주 쳐다보이는 동쪽 산기슭에 있는 집 두 채의 기와집이었다. |
---|
이 목넘이 마을 서쪽 산 밑 간난이네 집 옆 방앗간에 웬 개 한 마리가 언제 방아를 찧어 보았는지 모르게, 겨 아닌 뽀얀 먼지만이 앉은 풍구(바람을 일으켜 곡물에 섞인 먼지나 겨, 쭉정이 등을 제거하는 농기구) 밑을 혓바닥으로 핥고 있었다. |
---|
그러고 보면 또 신둥이 몸에 든 황톳물도 어쩐지 평안도 땅의 황토와는 다른 빛깔 같았다. |
---|
각주
- ↑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없는 중요한 통로의 좁은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