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제1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제16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선릉 산책> 및 중앙일보 지면에 실린 심사평과, 중앙일보의 지상중계 기사 중 일부를 발췌해 종합한 내용이다.
 
====수상작====
 
====수상작====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6번째 줄: 8번째 줄:
  
 
<br>
 
<br>
"합리와 이성의 방식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과의 만남을 다루고 있는 '선릉 산책'은, 동일한 소재와 주제를 다룬 좋은 작품들이 그랬던 것처럼, ‘미지’의 존재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이 불가능한 시선을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휴머니티’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낸다."
+
"합리와 이성의 방식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과의 만남을 다루고 있는 '선릉 산책'은, 동일한 소재와 주제를 다룬 좋은 작품들이 그랬던 것처럼, ‘미지’의 존재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이 불가능한 시선을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휴머니티’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낸다." - 서희원(문학평론가)<ref>[https://news.joins.com/article/20507699 ⑤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 ]</ref>
  
 
<br>
 
<br>
"(...) 정련된 단편소설의 형식 속에서 고유하고 독창적인 서사의 리듬을 창조한 작품이다. 보살핌과 배려의 의무 속에서 시작된 곤혹스러운 ‘산책’의 시간은 서로가 건네는 언어의 새로운 발견 속에서 서사의 전환을 맞는다. 인물들은 짧은 낱말들이 머금은 무한한 기억과 상상, 날렵하고 부드러운 신체의 움직임을 나누면서, 각자의 내면에 잠긴 불안과 수치심, 고통과 연민의 감정을 조금씩 확인해간다. 타인의 삶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허물어가는 이 섬세한 감정적 파동의 기록은 누군가를 진심으로 이해한다는 것의 궁극적인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심사위원들은 일상의 부조리를 끈질기게 들여다보는 정직하고 치열한 시선이 거둔 이 작품의 성취에 공감하고 지지를 보내는데 의견을 모았다."
+
"(...) 정련된 단편소설의 형식 속에서 고유하고 독창적인 서사의 리듬을 창조한 작품이다. 보살핌과 배려의 의무 속에서 시작된 곤혹스러운 ‘산책’의 시간은 서로가 건네는 언어의 새로운 발견 속에서 서사의 전환을 맞는다. 인물들은 짧은 낱말들이 머금은 무한한 기억과 상상, 날렵하고 부드러운 신체의 움직임을 나누면서, 각자의 내면에 잠긴 불안과 수치심, 고통과 연민의 감정을 조금씩 확인해간다. 타인의 삶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허물어가는 이 섬세한 감정적 파동의 기록은 누군가를 진심으로 이해한다는 것의 궁극적인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심사위원들은 일상의 부조리를 끈질기게 들여다보는 정직하고 치열한 시선이 거둔 이 작품의 성취에 공감하고 지지를 보내는데 의견을 모았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ref>[https://news.joins.com/article/20619284 부조리를 끈질기게 들여다보는 치열한 시선]</ref>
  
 
|}
 
|}
17번째 줄: 19번째 줄:
 
!|
 
!|
  
'''『어디까지 가고 싶으신가요』'''
+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br>
 
<br>
"그런 ‘나’의 고통은 “당시 내 주위 인간들에게선 찾을 수 없었던” ‘예의’를 차라리 ‘시리’의 응답에서 찾는 대목에서도 짐작된다. 사람의 살갗에서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소설은 이렇게 섬세한 필치로 한 마음의 무늬를 그려 나가지만, 정작 나를 흔들리게 한 것은 마지막 순간이었다."
+
"그런 ‘나’의 고통은 “당시 내 주위 인간들에게선 찾을 수 없었던” ‘예의’를 차라리 ‘시리’의 응답에서 찾는 대목에서도 짐작된다. 사람의 살갗에서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소설은 이렇게 섬세한 필치로 한 마음의 무늬를 그려 나가지만, 정작 나를 흔들리게 한 것은 마지막 순간이었다." - 차미령(문학평론가)<ref>[https://news.joins.com/article/20482720 ③ 황순원문학상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ref>
  
 
<br>
 
<br>
"세월호 사건을 환기하는 김애란의 소설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비극을 극복하려는 소생의 의지를 통해 공감과 애도의 의미를 묻고 있다."
+
"세월호 사건을 환기하는 김애란의 소설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비극을 극복하려는 소생의 의지를 통해 공감과 애도의 의미를 묻고 있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ref>2번 각주와 동일 출처</ref>
  
 
|}
 
|}
33번째 줄: 35번째 줄:
  
 
<br>
 
<br>
"진정한 의미에서 타인에 대한 감수성이란 역설적으로 그것의 ‘획득 불가능성’에 의해서만 암시된다. 타인의 삶과의 마주침 속에서 치열하게 마찰하는 사이에 도저히 ‘나는 타인일 수 없다’고 느낄 때에야 비로소 상상적인 타인(他人)은 실제의 타자(他者)가 되며, 느슨한 공감은 첨예하게 윤리화된다. 정미경의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이처럼 희미하게 싹트는 감수성의 지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
"진정한 의미에서 타인에 대한 감수성이란 역설적으로 그것의 ‘획득 불가능성’에 의해서만 암시된다. 타인의 삶과의 마주침 속에서 치열하게 마찰하는 사이에 도저히 ‘나는 타인일 수 없다’고 느낄 때에야 비로소 상상적인 타인(他人)은 실제의 타자(他者)가 되며, 느슨한 공감은 첨예하게 윤리화된다. 정미경의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이처럼 희미하게 싹트는 감수성의 지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 박인성(문학평론가)<ref>[https://news.joins.com/article/20499123 ④ 황순원문학상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ref>
  
 
<br>
 
<br>
"정미경의 소설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속물적 삶에 대한 치밀한 묘파와 더불어 세속적 규율에 마모되지 않는 존엄한 삶의 방식을 흥미롭게 탐색한다."
+
"정미경의 소설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속물적 삶에 대한 치밀한 묘파와 더불어 세속적 규율에 마모되지 않는 존엄한 삶의 방식을 흥미롭게 탐색한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ref>2번 각주와 동일 출처</ref>
 +
 
  
 
|}
 
|}

2020년 7월 1일 (수) 22:28 기준 최신판

개요

제16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선릉 산책> 및 중앙일보 지면에 실린 심사평과, 중앙일보의 지상중계 기사 중 일부를 발췌해 종합한 내용이다.

수상작

『선릉 산책』


"합리와 이성의 방식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과의 만남을 다루고 있는 '선릉 산책'은, 동일한 소재와 주제를 다룬 좋은 작품들이 그랬던 것처럼, ‘미지’의 존재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이 불가능한 시선을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휴머니티’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낸다." - 서희원(문학평론가)[1]


"(...) 정련된 단편소설의 형식 속에서 고유하고 독창적인 서사의 리듬을 창조한 작품이다. 보살핌과 배려의 의무 속에서 시작된 곤혹스러운 ‘산책’의 시간은 서로가 건네는 언어의 새로운 발견 속에서 서사의 전환을 맞는다. 인물들은 짧은 낱말들이 머금은 무한한 기억과 상상, 날렵하고 부드러운 신체의 움직임을 나누면서, 각자의 내면에 잠긴 불안과 수치심, 고통과 연민의 감정을 조금씩 확인해간다. 타인의 삶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허물어가는 이 섬세한 감정적 파동의 기록은 누군가를 진심으로 이해한다는 것의 궁극적인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심사위원들은 일상의 부조리를 끈질기게 들여다보는 정직하고 치열한 시선이 거둔 이 작품의 성취에 공감하고 지지를 보내는데 의견을 모았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2]

후보작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그런 ‘나’의 고통은 “당시 내 주위 인간들에게선 찾을 수 없었던” ‘예의’를 차라리 ‘시리’의 응답에서 찾는 대목에서도 짐작된다. 사람의 살갗에서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소설은 이렇게 섬세한 필치로 한 마음의 무늬를 그려 나가지만, 정작 나를 흔들리게 한 것은 마지막 순간이었다." - 차미령(문학평론가)[3]


"세월호 사건을 환기하는 김애란의 소설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비극을 극복하려는 소생의 의지를 통해 공감과 애도의 의미를 묻고 있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4]

『새벽까지 희미하게』


"진정한 의미에서 타인에 대한 감수성이란 역설적으로 그것의 ‘획득 불가능성’에 의해서만 암시된다. 타인의 삶과의 마주침 속에서 치열하게 마찰하는 사이에 도저히 ‘나는 타인일 수 없다’고 느낄 때에야 비로소 상상적인 타인(他人)은 실제의 타자(他者)가 되며, 느슨한 공감은 첨예하게 윤리화된다. 정미경의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이처럼 희미하게 싹트는 감수성의 지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 박인성(문학평론가)[5]


"정미경의 소설 ‘새벽까지 희미하게’는 속물적 삶에 대한 치밀한 묘파와 더불어 세속적 규율에 마모되지 않는 존엄한 삶의 방식을 흥미롭게 탐색한다." - 백지연(대표집필 심사위원)[6]


  1. ⑤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
  2. 부조리를 끈질기게 들여다보는 치열한 시선
  3. ③ 황순원문학상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
  4. 2번 각주와 동일 출처
  5. ④ 황순원문학상 예심위원들의 릴레이 심사평
  6. 2번 각주와 동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