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임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소개글)
잔글 (연구방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소개글=  
 
=소개글=  
 +
 +
[[파일:사진1.jpeg|200px]]
 +
 
안녕하세요. '''임연'''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연'''입니다.  
  
저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생입니다.
+
저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생입니다.<br/>현재 박사과정 다니고 있습니다.
 +
 
 +
졸업해서 <font color="#98e2a8">한국어교사</font> 되고 싶습니다.
 +
 
 +
저는 아슈토시 <ref>인도에서 온</ref> 선생님과 [[이만호|중국에서 온]] 선생님이 같은 팀입니다.
 +
----
  
 
=학력=
 
=학력=
10번째 줄: 19번째 줄: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재학=====
+
-----
 +
= '14주차 과제' =
 +
==배경소개==
 +
----
 +
=== 중국 한자의 기원 갑골문 ===
 +
----
 +
 
 +
 
 +
중국 문자는 한자이다. 그리고 한자의 기원은 은에서 사용된 갑골 문자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한자의 기원은 대부분 갑골 문자라고 한다. 갑골문은 거북 배딱지와 소의 어깻죽지 뼈에 새긴 글자이다. 그래서 거북 배딱지를 나타내는 갑(甲)과 소뼈의 골(骨)을 합쳐 갑골문이라 한다. 갑골문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뜻밖에도 20세기에 들어와서의 일이다. 갑골문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유악(劉鶚, 1857~1909)이라는 학자이다.
 +
 
 +
 
 +
가장 오래된 갑골문은 은나라의 남은 터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은허(殷墟) 문자라고도 말한다. 여기에 새긴 글은 복사(卜辭), 즉 점을 친 후 그 결과를 적은 것이었다. 고대에는 점을 칠 때 신에게 묻는 내용을 큰 소리로 말하면서 거북의 배딱지나 소의 어깻죽지 뼈에 인두로 지져 구멍을 뚫었다. 그러면 갑골이 열을 못 이겨 쩍쩍 갈라지면서 소리를 냈다. 점치는 사람은 갈라진 금을 보고 하늘의 응답을 읽었다.
 +
 
 +
 
 +
그러고 나서는 갑골 위에 점칠 때 하늘에 물은 내용과 응답을 칼로 새겨 보관하였다. 갑골문의 내용은 제사와 농사, 전쟁과 수렵에 관한 것이 가장 많고, 그 밖에 왕의 통치나 질병, 재앙에 관한 질문도 있다. 이후 20만 개에 가까운 갑골이 더 발견되어 무려 4천 자에 해당하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
 
 +
대체로 갑골 문자의 구성은 한자의 '''상형(象形), 지사(指事), 가차(假借), 형성(形聲), 회의(會意), 전주(轉注) ''' 등 육서(六書)의 규칙을 갖추고 있다.
 +
 
 +
[[파일:갑골문1.jpg|200px]]
 +
[[파일:사람인.png|200px]]
 +
 
 +
 
 +
----
 +
 
 +
=== 중국의 간체자와 번체자 ===
 +
----
 +
 
 +
한자는 사물의 형상을 그림으로 나타낸 고대 문자로써 모든 글자마다 각각의 의미가 있는 독특한 "뜻 글자"입니다. 총 5만 6천개의 한자가 존재하지만 현대출판물에 사용되는 한자에 대한 통계에 따르면 약 3,000개의 한자가 전체 문자의 99%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
 
 +
중국 교육부는 1956년이후 중국어의 발음부호인 "한어병음"을 만들었으며 또한 높은 문맹의 중국인들을 위해 복잡하고 배우기 어려운 번체자 (繁体字)의 한자를 배우기가 쉽고 간단하게 쓸 수 있도록 새롭게 만들었는데 이를 간체자 "(简体字)"라고 부릅니다.
 +
 
 +
[[파일:번체자와간체자.png|200px]]
 +
 
 +
----
 +
 
 +
==연구방법==
 +
=== URL ===
 +
(https://teachablemachine.withgoogle.com/models/-ml4qDKEs/)
 +
----
 +
=== 데이터 준비 ===
 +
----
 +
 
 +
class1: 갑골문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
 
 +
 
 +
class2: 간체자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
 
 +
 
 +
class3: 번체자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
 
 +
 
 +
 
 +
* 갑골문, 간체자, 번체자의 100개 한자는 전부 1:1로 대응되는 한자로 선택했음.
 +
----
 +
 
 +
=== 연구 1 ===
 +
----
 +
 
 +
 
 +
목적1 :  간체자와 번체자 중 어느 것이 갑골문의 문자와 더 가까운 지를 측정하려고 함.
 +
 
 +
 
 +
Export Model :  100개 글자가 담겨진 1장의 간체자 이미지 및 번체자 이미지로 측정했음.
 +
 
 +
 
 +
결과: 100% 갑골문과 같음.
 +
 
 +
[[파일:테스트.png]]
 +
 
 +
 
 +
 
 +
----
 +
 
 +
=== 연구2 ===
 +
 
 +
목적 2 : 상형문자인 중국의 한자 중에서 간체자, 번체자, 갑골문 중에서 어느 것의 상형 의미가 더 높은 가를 측정하려고 함.
 +
 
 +
Expot Model 1: '물고기' 삽화
 +
 
 +
 
 +
결과 1: 갑골문과 비슷함.
 +
 
 +
[[파일:물고기.png|2000px]]
 +
 
 +
 
 +
[[파일:간체자_3.png]]  [[파일:L3.jpg]] 
 +
 
 +
 
 +
Expot Model 2: '산' 삽화
 +
 
 +
 
 +
결과 2: 갑골문과 비슷함.
 +
[[파일:산2.png|2000px]]
 +
 
 +
[[파일:산간체자.png]]  [[파일:산갑골문.png|200px]] 
 +
 
 +
 
 +
Expot Model 3: '비' 삽화
 +
 
 +
 
 +
결과 3: 번체자와 비슷함.
 +
[[파일:비2.png|2000px]]
 +
 
 +
 
 +
[[파일:비번체자.png]]  [[파일:비갑골문.png|200px]] 
 +
 
 +
 
 +
 +
 
 +
----
 +
 
 +
=나의 데이터 네트워크=
 +
{{NetworkGraph | title = 임연.lst}}
 +
 
 +
=비고=
 +
<references/>
 +
 
 +
=영상=
 +
<html>
 +
<iframe width="300" height="150" src="https://www.youtube.com/embed/NxKXslcfE3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경력=
+
=과제=
 +
[[분류:과제1]]
 +
[[분류:과제2]]
 +
[[분류:과제3]]

2020년 6월 14일 (일) 19:39 기준 최신판

소개글

사진1.jpeg

안녕하세요. 임연입니다.

저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생입니다.
현재 박사과정 다니고 있습니다.

졸업해서 한국어교사 되고 싶습니다.

저는 아슈토시 [1] 선생님과 중국에서 온 선생님이 같은 팀입니다.


학력

대학

상하이이공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주차 과제'

배경소개


중국 한자의 기원 갑골문



중국 문자는 한자이다. 그리고 한자의 기원은 은에서 사용된 갑골 문자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한자의 기원은 대부분 갑골 문자라고 한다. 갑골문은 거북 배딱지와 소의 어깻죽지 뼈에 새긴 글자이다. 그래서 거북 배딱지를 나타내는 갑(甲)과 소뼈의 골(骨)을 합쳐 갑골문이라 한다. 갑골문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뜻밖에도 20세기에 들어와서의 일이다. 갑골문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유악(劉鶚, 1857~1909)이라는 학자이다.


가장 오래된 갑골문은 은나라의 남은 터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은허(殷墟) 문자라고도 말한다. 여기에 새긴 글은 복사(卜辭), 즉 점을 친 후 그 결과를 적은 것이었다. 고대에는 점을 칠 때 신에게 묻는 내용을 큰 소리로 말하면서 거북의 배딱지나 소의 어깻죽지 뼈에 인두로 지져 구멍을 뚫었다. 그러면 갑골이 열을 못 이겨 쩍쩍 갈라지면서 소리를 냈다. 점치는 사람은 갈라진 금을 보고 하늘의 응답을 읽었다.


그러고 나서는 갑골 위에 점칠 때 하늘에 물은 내용과 응답을 칼로 새겨 보관하였다. 갑골문의 내용은 제사와 농사, 전쟁과 수렵에 관한 것이 가장 많고, 그 밖에 왕의 통치나 질병, 재앙에 관한 질문도 있다. 이후 20만 개에 가까운 갑골이 더 발견되어 무려 4천 자에 해당하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대체로 갑골 문자의 구성은 한자의 상형(象形), 지사(指事), 가차(假借), 형성(形聲), 회의(會意), 전주(轉注) 등 육서(六書)의 규칙을 갖추고 있다.

갑골문1.jpg 사람인.png



중국의 간체자와 번체자


한자는 사물의 형상을 그림으로 나타낸 고대 문자로써 모든 글자마다 각각의 의미가 있는 독특한 "뜻 글자"입니다. 총 5만 6천개의 한자가 존재하지만 현대출판물에 사용되는 한자에 대한 통계에 따르면 약 3,000개의 한자가 전체 문자의 99%정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중국 교육부는 1956년이후 중국어의 발음부호인 "한어병음"을 만들었으며 또한 높은 문맹의 중국인들을 위해 복잡하고 배우기 어려운 번체자 (繁体字)의 한자를 배우기가 쉽고 간단하게 쓸 수 있도록 새롭게 만들었는데 이를 간체자 "(简体字)"라고 부릅니다.

번체자와간체자.png


연구방법

URL

(https://teachablemachine.withgoogle.com/models/-ml4qDKEs/)


데이터 준비


class1: 갑골문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class2: 간체자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class3: 번체자 100개 글자의 이미지 준비


  • 갑골문, 간체자, 번체자의 100개 한자는 전부 1:1로 대응되는 한자로 선택했음.

연구 1



목적1 : 간체자와 번체자 중 어느 것이 갑골문의 문자와 더 가까운 지를 측정하려고 함.


Export Model : 100개 글자가 담겨진 1장의 간체자 이미지 및 번체자 이미지로 측정했음.


결과: 100% 갑골문과 같음.

테스트.png



연구2

목적 2 : 상형문자인 중국의 한자 중에서 간체자, 번체자, 갑골문 중에서 어느 것의 상형 의미가 더 높은 가를 측정하려고 함.

Expot Model 1: '물고기' 삽화


결과 1: 갑골문과 비슷함.

물고기.png


간체자 3.png L3.jpg


Expot Model 2: '산' 삽화


결과 2: 갑골문과 비슷함. 산2.png

산간체자.png 산갑골문.png


Expot Model 3: '비' 삽화


결과 3: 번체자와 비슷함. 비2.png


비번체자.png 비갑골문.png




나의 데이터 네트워크


비고

  1. 인도에서 온

영상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