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 1차 과업 스프레드시트 입력계획)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center><h3 class="subheader">클래스('''Class''')</h3></center>
 
<center><h3 class="subheader">클래스('''Class''')</h3></center>
 
----
 
----
<cente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험(Exam)]]}}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문제(Question)|문제(Questi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답안(Answer)]]}}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기록(Record)|기록(Record)]]}}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방목(Bangmok)]]}}<br/><b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장소(Place)|장소(Place)]]}}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인물(Person)|인물(Pers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기관(Institution)|기관(Institution)]]}}</center>
+
<cente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험(Exam)|시험(Exam)]]}}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문제(Question)|문제(Questi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답안(Answer)]]}}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권(Sigwon)|시권(Sigw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방목(Bangmok)]]}}<br/><br/>{{버튼클릭|참고서(Reference)}} {{버튼클릭|작품(Work)}} {{버튼클릭|간본(Publication)}} {{버튼클릭|문집(Collection)}} <br/><br/>{{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인물(Person)|인물(Person)]]}}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 {{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장소(Place)|장소(Place)]]}} {{버튼클릭|기관(Institution)}}</center>
 
<br/><br/>
 
<br/><br/>
 
<center><h3 class="subheader">속성('''Attribute''')</h3></center>
 
<center><h3 class="subheader">속성('''Attribute''')</h3></center>
62번째 줄: 62번째 줄:
 
|-
 
|-
 
| 답안(Answer) || 문제(Question)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문제(Question)|○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답안(Answer) || 문제(Question)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답안(Answer)→문제(Question)|○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시권(Sigwon) || 답안(Answer)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권(Sigwon)→답안(Answer)|○시권('''Sigwon''')→답안('''Answer''')]]: '시권'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방목(Bangmok) || 시험(Exam)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시험(Exam)|○방목('''Bangmok''')→시험('''Exam''')]]: '방목'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방목(Bangmok)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방목(Bangmok)→시간(Time)|○방목('''Bangmok''')→시간('''Time''')]]: '방목'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인물(Person) || 답안(Answer)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인물(Person)→답안(Answer)|○인물('''Person''')→답안('''Answer''')]]: '인물'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시간(Time)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시간(Time) || 시간(Tim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장소(Place) || 장소(Place) ||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장소(Place)→장소(Place)|○장소('''Place''')→장소('''Place''')]]: '장소'와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
 
|-
 
|}
 
|}
75번째 줄: 85번째 줄: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Description</big><br/>
+
<big>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시험(Exam)</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
 +
}}
 +
<big>● Context</big><br/>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시험(Exam)</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1393년_식년시)
+
|내용=<big>○시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행년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대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r/>
 +
○시험일자의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복시를 기준으로 정리했는데, 본 연구의 경우 시험의 개별 정보(초시/복시) 시행일자를 찾아서 연월일을 최대한 구분해서 입력한다. 구체적 월/일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목 정보'에 기재된 시험일을 기준으로 입력한다.</big>
 
}}
 
}}
<big>Attribute</big><br/>
+
<big>Attribute</big><b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A(sortA) || 분류B(sortB) || 분류C(sortC)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분류A(sortA) || 분류B(sortB) || 분류C(sortC)
 
|-
 
|-
| 분류D(sortD) || 분류E(sortE) ||  ||  ||
+
| 분류D(sortD) || 분류E(sortE) || 출처(Resource) ||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E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br/><br/>
 +
<big><b>○대표명(name)</b></big><br/>① 소과: 1393년_식년시소과_진사 / 1624년_증광시소과_초시<br/>② 대과: 1835년_증광시대과_종장<br/>③ 중시 : 예외적으로 1407년_중시_초장 (SortA에는 대과로 구분)<br/>④ 발영시, 진현시, 제주별시 등의 이름은 일단 나와있는대로 입력.<br/>⑤ 친시-별시, 회시-복시가 혼동될 경우 ‘친시’, ‘복시’(한중연 기준)로 입력<br/><br/>
 +
<big><b>○분류A(sortA)</b></big><br/>대과(Big) / 소과(Small) 구분.<br/><br/>
 +
<big><b>○분류B(sortB)</b></big><br/>생원(Scripture) / 진사(Literature) 구분.<br/><br/>
 +
<big><b>○분류C(sortC)</b></big><br/>식년시, 증광시, 별시 등 시험종류 구분.<br/><br/>
 +
<big><b>○분류D(sortD)</b></big><br/>초시(First) / 복시(Second) / 전시(ThrID) 구분.<br/><br/>
 +
<big><b>○분류E(sortE)</b></big><br/>초장(1) / 중장(2) / 종장(3)  구분.<br/><br/>
 +
<big><b>○출처(Resource)</b></big><br/>-방목, 연구서, 사료, 문집 가운데 해당 시험정보의 출처가 되는 정보를 입력.<br/>-연구서는 세부 Page 기재, 사료와 문집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사 URL 기재.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문제(Question)'''====
 
===='''문제(Question)'''====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big>● 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문제(Questi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문제)
 +
}}
 +
<big>● Context</big><br/>
 +
{{글상자
 +
|내용=<big>○시험(Exam) 정보를 기준으로 그에 해당하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ig>
 +
}}
 +
<big>● Attribute</big><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대범주(category1) || 문체소범주(category2) || 요약(abstract)
 +
|-
 +
| 내용(content)  || 출처(source) || 출처링크(sourceURL) || 해제(description)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① 소과 입력 원칙: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 초장(1)/중장(2)/종장(3)/모름(0) + 1소(1)/2소(2)/모름(0) + 문제순서(1부터 일괄 적용)/모름(0)<br/>② 대과 입력원칙:  기본적으로 소과의 방식을 따르되 전시 혹은 1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되는 시험들(정시,알성시,춘당대시 등)의 경우 모름 자체도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입력. →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까지만 입력.<br/>③ 京/鄕으로 구분되는 경우 우선 1/2로 입력 (일괄 변경 예정)<br/><br/>
 +
<big><b>○대표명(name)</b></big><br/>초/중/종장, 시험 장소, 문체 등의 정보에 대해서 기재하지 않음. 예시: 1803년_증광시소과_초시_문제<br/><br/>
 +
<big><b>○문체대범주(category1)</b></big><br/>시험 문제의 가장 큰 문체 범주(賦, 義, 疑, 策 등)를 입력. 예시: 策<br/><br/>
 +
<big><b>○문체소범주(category2)</b></big><br/>오경의(五經義)와 같이 하위 범주가 있을 때 세부 과목명을 입력. 예시: 易義<br/><br/>
 +
<big><b>○요약(abstract)</b></big><br/>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br/>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미입력.<br/><br/>
 +
<big><b>○내용(content)</b></big><br/>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br/>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전문 입력.<br/><br/>
 +
<big><b>○출처(source)</b></big><br/>방목출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요약(abstract)이나 내용(contents)을 웹 상에서 찾아보고 복수의 출전이 발견될 경우 모두 입력.<br/><br/>
 +
<big><b>○출처링크(sourceURL)</b></big><br/>출처가 사료/문집의 경우 해당 자원을 제공하는 기관 아카이브의 URL을 입력.<br/><br/>
 +
<big><b>○해제(description)</b></big><br/>문제에 관한 해제(해설)를 작성해서 입력.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시권(Sigwon)'''====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big>● 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을 기록한 답안지로서 <b>시권(Sigw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 권익문(權益文) 시권)
 +
}}
 +
<big>● Context</big><br/>
 +
{{글상자
 +
|내용=<big>○시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br/>○시권에 실린 답안(Text)에 관한 내용은 별도로 '답안(Answer)' 클래스에 정리한다.</big>
 +
}}
 +
<big>● Attribute</big><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분류(sort) || 설명(description)
 +
|-
 +
| 점수(grade)  || 등제(rank) || 세로(height) || 가로(width) || 제공처(provider)
 +
|-
 +
| 원소장처(owner)  || 제공링크(webURL) ||  ||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S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예시: S17100511SS125.<br/><br/>
 +
<big><b>○대표명(name)</b></big><br/>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한글이름(한자이름) + 시권. (답안 작성 논리에 의거). 예시: 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
 +
권익문(權益文)_시권<br/><br/>
 +
<big><b>○작성연대(year)</b></big><br/>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br/><br/>
 +
<big><b>○분류(sort)</b></big><br/>소과 / 대과로 분류.<br/><br/>
 +
<big><b>○설명(description)</b></big><br/>시권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기술. 예시: 1710년 증광시 소과 복시에서 유학 권익문(權益文)이 작성한 답안지<br/><br/>
 +
<big><b>○점수(grade)</b></big><br/>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次下<br/><br/>
 +
<big><b>○등제(rank)</b></big><br/>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三之二十<br/><br/>
 +
<big><b>○세로(height)</b></big><br/>시권 원자료의 세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72.0<br/><br/>
 +
<big><b>○가로(width)</b></big><br/>시권 원자료의 가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220.0<br/><br/>
 +
<big><b>○제공처(provider)</b></big><br/>시권 원자료 제공 기관을 입력. 예시: 국립민속박물관<br/><br/>
 +
<big><b>○원소장처(owner)</b></big><br/>시권 원자료를 원해 소장하고 있던 가문/개인을 입력. 예시: 광주 이장동 장흥고씨 수촌후손가<br/><br/>
 +
<big><b>○제공링크(webURL)</b></big><br/>시권 원자료 실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URL. 예시: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501500100242400000<br/><br/>
 +
 +
<big><b>○요약(abstract)</b></big><br/>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방목(Bangmok)'''====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 Description</big><br/>
 
<big>○ Description</big><br/>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문제(Question)</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1426년_식년시대과_전시_문제)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방목(Bangmok)</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경인증광사마방목(庚寅增廣司馬榜目))
 
}}
 
}}
 
<big>○ Attribute</big><br/>
 
<big>○ Attribute</big><b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Category) || 요약(abstract) || 내용(Content)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  
 
|-
 
|-
| 출처(source)  ||  ||  ||  ||  
+
|   ||  ||  ||  ||  
 
|-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답안(Answer)'''====
 
===='''답안(Answer)'''====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Description</big><br/>
+
<big>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답안(Answer)</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답안)
 +
}}
 +
<big>● Context</big><br/>
 +
{{글상자
 +
|내용=<big>○시권에 담긴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br/>○시권은 남아 있지 않지만, 문집이나 참고서에 기록된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br/>○방목의 시험 실시 정보와 함께 시권에 기재된 답안 작성자의 나이 기준도 동시에 검토한다.<br/>○초시의 경우, 방목에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문제와 답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향시(鄕試)일 가능성이 크다.</big>
 +
}}
 +
<big>● Attribute</big><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작성연대(year) || 작자(writer) || 분류(sort)
 +
|-
 +
| 원문(contentsO)  || 번역(contentsT) || 요약(abstract) ||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A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구별번호의 경우 중복이 없으면 1, 중복이 생기면 시권목록의 A(번호)열을 중심으로 계산. 예시: A17100511SS125.<br/><br/>
 +
<big><b>○대표명(name)</b></big><br/>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답안. 예시: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답안<br/><br/>
 +
<big><b>○작성연대(year)</b></big><br/>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br/><br/>
 +
<big><b>○작자(writer)</b></big><br/>답안 작성자의 성명을 한글(한자) 형식으로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br/><br/>
 +
<big><b>○분류(sort)</b></big><br/>소과 / 대과로 분류.<br/><br/>
 +
<big><b>○원문(contentsO)</b></big><br/>답안의 원문 텍스트를 입력.<br/><br/>
 +
<big><b>○번역(contentsT)</b></big><br/>답안의 번역문 텍스트를 입력.<br/><br/>
 +
<big><b>○요약(abstract)</b></big><br/>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
===='''인물(Person)'''====
 +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
<big>● 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인물(Person)</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권익문(權益文))
 +
}}
 +
<big>● Context</big><br/>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b>답안(Answer)</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1426년_식년시대과_전시_답안)
+
|내용=<big>○기본적으로는 과거시험의 합격자(합격답안 작성자)가 중심이 되겠으나, 응시자(불합격자)와 시험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괄한다.</big>
 
}}
 
}}
<big>Attribute</big><br/>
+
<big>Attribute</big><b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문체(Category) || 요약(abstract) || 내용(Content)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이칭(alias)
 +
|-
 +
| 자字(courtesyname) || 호號(pseudonyms) || 생년(birthYear) || 몰년(deathYear) || 본관(origin)  
 
|-
 
|-
| 출처(source) || || || ||  
+
| 성씨(clan) || 거주지(residence) || ||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Pe + 출생연도 + 구별번호 + 이니셜(알파벳). 예시: PE166100KIM<br/><br/>
 +
<big><b>○대표명(name)</b></big><br/>대표 이름으로 한글(한자) 병기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br/><br/>
 +
<big><b>○한글명(korname)</b></big><br/>한글명 입력. 예시: 권익문<br/><br/>
 +
<big><b>○한자명(chiname)</b></big><br/>한자명 입력. 예시: 權益文<br/><br/>
 +
<big><b>○이칭(alias)</b></big><br/>정규적인 이름 외에 별명이나 별호 또는 족보상의 이름이 다를 경우 입력.<br/><br/>
 +
<big><b>○자字(courtesyname)</b></big><br/>자字 입력. 예시: 숙빈(叔彬)<br/><br/>
 +
<big><b>○호號(pseudonyms)</b></big><br/>호號 입력. 예시: 중심당(中心堂);두암(蠹庵)<br/><br/>
 +
<big><b>○생년(birthYear)</b></big><br/>해당 인물이 태어난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661<br/><br/>
 +
<big><b>○몰년(deathYear)</b></big><br/>해당 인물이 죽은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712<br/><br/>
 +
<big><b>○본관(origin)</b></big><br/>해당 인물의 본관 정보를 입력. 예시: 안동<br/><br/>
 +
<big><b>○성씨(clan)</b></big><br/>해당 인물의 성씨를 본관 + 성씨 형식으로 입력. 예시: 안동권<br/><br/>
 +
<big><b>○거주지(residence)</b></big><br/>방목의 합격자 정보에 함께 기록된 거주지 정보를 입력. 예시: 한성(京)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시간(Time)'''====
 
===='''시간(Time)'''====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Description</big><br/>
+
<big>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시간(Time)</b>을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1710년05월11일)
 +
}}
 +
<big>● Context</big><br/>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시간(Time)</b>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1393년06월24일)
+
|내용=<big>○시험의 일자(date) 정보를 연-월-일 단위로 나누어 입력한다.<br/>○월과 일 단위의 간지 정보는 [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8 생활천문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음양력 변환 데이터]를 이용한다.</big>
 
}}
 
}}
<big>Attribute</big><br/>
+
<big>Attribute</big><b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137번째 줄: 300번째 줄: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T + 연월일 정보 + 윤달여부(L). 예시: T13930503<br/><br/>
 +
<big><b>○대표명(name)</b></big><br/>띄어쓰기 없이 이어서 작성. 예시: 1393년05월03일<br/><br/>
 +
<big><b>○ 분류(sort)</b></big><br/>연(year), 월(month), 일(day) 가운데 확인되는 가장 세부적인 정보 입력. 예시: day<br/><br/>
 +
<big><b>○ 연(year)</b></big><br/>해당 시간의 연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393<br/><br/>
 +
<big><b>○ 월(month)</b></big><br/>해당 시간의 월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5<br/><br/>
 +
<big><b>○ 일(day)</b></big><br/>해당 시간의 일자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3<br/><br/>
 +
<big><b>○ 연간지(y_sc)</b></big><br/>해당 시간의 연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酉<br/><br/>
 +
<big><b>○ 월간지(m_sc)</b></big><br/>해당 시간의 월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巳<br/><br/>
 +
<big><b>○ 일간지(d_sc)</b></big><br/>해당 시간의 일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甲戌<br/><br/>
 +
<big><b>○ 윤달(intercalary)</b></big><br/>윤달 여부를 확인해서, 윤달일 경우 ‘윤달’ 기재. 윤달이 아닐 경우 기재 안함.<br/><br/>
 +
<big><b>○ 양력(solar)</b></big><br/>-음력 1582.09.18(선조15년 9월 18일)까지는 율리우스력 날짜를 기재.<br/>-음력 1582.09.19일부터는 그레고리력 날짜(양력 1582년 10월 15일)를 기재.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
 
===='''장소(Place)'''====
 
===='''장소(Place)'''====
 
----
 
----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Description</big><br/>
+
<big>Description</big><br/>
 +
{{글상자
 +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장소(Place)</b>를 정의하는 클래스다.</big> (예시: 예조(禮曹))
 +
}}
 +
<big>● Context</big><br/>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b>장소(Place)</b>를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big> (예시: 비천당丕闡堂)
+
|내용=<big>○방목 자료 등을 참고해서 시험장별 장소(건물)을 입력한다.<br/>○대과의 경우 시험 장소가 1소와 2소 구분되어 기재된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입력 정보에 반영한다.</big>
 
}}
 
}}
<big>Attribute</big><br/>
+
<big>Attribute</big><b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분류(sort)
 
| 식별자(id)  || 대표명(name) || 한글명(korname) || 한자명(chiname) || 분류(sort)
 
|-
 
|-
| 위도(lattitude) || 경도(longitude) || 출처(source) ||  ||  
+
| 위도(latitude) || 경도(longitude) || 출처(source) ||  ||  
 
|-
 
|-
 
|}
 
|}
 +
{{글상자
 +
|내용=
 +
<big><b>○식별자(id)</b></big><br/>L + 세자리숫자번호(예:001) 형식으로 구성.<br/><br/>
 +
<big><b>○대표명(name)</b></big><br/>장소 한글명(한자명). 예시: 비천당(丕闡堂)<br/><br/>
 +
<big><b>○한글명(korname)</b></big><br/>장소 한글명. 예시: 비천당<br/><br/>
 +
<big><b>○한자명(chiname)</b></big><br/>장소 한글명. 예시: 丕闡堂<br/><br/>
 +
<big><b>○분류(sort)</b></big><br/>궁궐, 군영, 별당 등 지식백과 정의를 기준으로 입력. 분류 기준이 애매모호할 경우 우선 ‘건물’로 입력<br/><br/>
 +
<big><b>○위도(latitude)</b></big><br/>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37.57792418344439<br/><br/>
 +
<big><b>○경도(longitude)</b></big><br/>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126.97716607372911<br/><br/>
 +
<big><b>○출처(source)</b></big><br/>장소가 적힌 출처를 기재. 예시: 숭정기원후5을유식년사마방목(崇禎紀元後五乙酉式年司馬榜目)
 +
}}
 +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div align="right">{{버튼클릭|[[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항목|데이터 모델 상단으로 이동]]}}</div><br/>
  
188번째 줄: 382번째 줄:
 
----
 
----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On'''</span> B : A는 B에 거행되다</big>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On'''</span> B : A는 B에 시행되다</big>
 
}}
 
}}
 
<br/><br/>
 
<br/><br/>
 +
 
===='''시험(Exam)→장소(Place)'''====
 
===='''시험(Exam)→장소(Place)'''====
 
----
 
----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At'''</span> B : A는 B에서 거행되다</big>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HeldAt'''</span> B : A는 B에서 거행되다</big><br/><span style="color:red">※1소와 2소를 구분할 수 있을 경우, 1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1"로, 2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2"로 부여.</span>
 
}}
 
}}
 
<br/><br/>
 
<br/><br/>
 +
 
===='''문제(Question)→시험(Exam)'''====
 
===='''문제(Question)→시험(Exam)'''====
 
----
 
----
206번째 줄: 402번째 줄:
 
----
 
----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ReplyTo'''</span> B : A는 B의 답안이다</big>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ResponseTo'''</span> B : A는 B의 답안이다</big>
 +
}}
 +
<br/><br/>
 +
===='''시권(Sigwon)→답안(Answer)'''====
 +
----
 +
{{글상자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contains'''</span> B : A가 B를 담다</big>
 +
}}
 +
<br/><br/>
 +
 
 +
===='''방목(Bangmok)→시험(Exam)'''====
 +
----
 +
{{글상자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RecordOf'''</span> B : A는 B의 기록이다</big>
 +
}}
 +
<br/><br/>
 +
===='''방목(Bangmok)→시간(Time)'''====
 +
----
 +
{{글상자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AnnouncedOn'''</span> B : A는 B에 발표되다</big>
 
}}
 
}}
 
<br/><br/>
 
<br/><br/>
 +
 +
===='''인물(Person)→답안(Answer)'''====
 +
----
 +
{{글상자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WriterOf'''</span> B : A가 B의 작성자다</big>
 +
}}
 +
<br/><br/>
 +
 
===='''시간(Time)→시간(Time)'''====
 
===='''시간(Time)→시간(Time)'''====
 
----
 
----
 
{{글상자
 
{{글상자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hasPart'''</span> B : A는 B를 포함하다</big>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hasPart'''</span> B : A는 B를 포함하다</big>
 +
}}
 +
<br/><br/>
 +
===='''장소(Place)→장소(Place)'''====
 +
----
 +
{{글상자
 +
|내용=<big>○ A <span style="color: blue">'''isLocatedIn'''</span> B : A는 B에 위치하다</big>
 
}}
 
}}
 
<br/><br/>
 
<br/><br/>
223번째 줄: 452번째 줄: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데이터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데이터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NetworkGraph | title=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NetworkGraph | title=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http://dh.aks.ac.kr/cgi-bin/wikiGraph.py?account=red&script=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
※[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red&script=DataModelForCivilServiceExamInJoseonDynasty.lst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big>
 
</big>
 
</font>
 
</font>
235번째 줄: 464번째 줄:
 
</font>  
 
</font>  
 
==='''<span style="color:skyblue">Google Spreadsheet</span>'''===
 
==='''<span style="color:skyblue">Google Spreadsheet</span>'''===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링크)]<br/>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html><iframe width="100%" height="600" seamless frameborder="3" src="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iframe></html>
 
<html><iframe width="100%" height="600" seamless frameborder="3" src="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iframe></html>
 
<br/><br/><br/>
 
<br/><br/><br/>
 +
 +
 +
<!--
 
====<span style="color:skyblue">○ 데이터 편찬 과업 구분</span>====
 
====<span style="color:skyblue">○ 데이터 편찬 과업 구분</span>====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skyblue; width:100%; height:1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
 
<big>
데이터 편찬은 1-3차 과업으로 나누어 작업을 진행한다.
+
데이터 편찬은 1-3단계 과업으로 나누어 작업을 진행한다.
 +
<br/><br/>
 +
○ 전체 작업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br/>
 +
→1단계 : 2023년 05월부터 2023년 07월까지. 시험에 관한 기본 정보와 시간(년·월·일) 정보를 입력.<br/>
 +
→2단계 : 2023년 09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시험과 관련된 정보(인물·장소·문체·문제 등등)를 입력.<br/> 
 +
<span style="color:red">※윤선영 선생님이 맡으신 '시권' 추가 입력 및 시험문제 출전 입력은 1-2단계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완료된 이후 진행할 계획.</span><br/>  <br/> 
 +
○ 준비물<br/>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em99zZWusTL7mZqkUKW2kzQJdxxp1p3gOEHeA4fMrg/edit?usp=sharing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br/>
 +
→ 엑셀 데이터(1차년도 연구 결과물: 과시문제 파일)<br/>
 +
→ 몇 가지 참고자료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078602 『조선시대 문과백서』(송준호, 송만호 저)], [http://people.aks.ac.kr/index.aks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한중연)〉],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조선왕조실록』] 및 [https://sjw.history.go.kr/main.do 『승정원일기』]
 
<br/><br/>
 
<br/><br/>
 
○ <span style="color: blue"><b>1차 과업 (2023.05-2023.07)</b></span> : 내용<br/><br/>
 
○ <span style="color: blue"><b>1차 과업 (2023.05-2023.07)</b></span> : 내용<br/><br/>
○ <span style="color: blue"><b>2차 과업</b></span> : 내용.<br/><br/>
+
○ <span style="color: blue"><b>2차 과업 (2023.0731.-2023.0827.)</b></span> : 내용.<br/><br/>
 
○ <span style="color: blue"><b>3차 과업</b></span> : 내용<br/><br/>
 
○ <span style="color: blue"><b>3차 과업</b></span> : 내용<br/><br/>
 
</big>
 
</big>
267번째 줄: 509번째 줄: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font face="나눔바른고딕 UltraLight">
 
<big>
 
<big>
검토대상<br/>
+
검토 및 입력 대상<br/>
 
→ 소과 : 1,700여건<br/>
 
→ 소과 : 1,700여건<br/>
 
→ 대과 : 1,676여건<br/>
 
→ 대과 : 1,676여건<br/>
306번째 줄: 548번째 줄:
 
<big>
 
<big>
 
</big>
 
</big>
 +
-->
 +
 
<br/><br/><br/><br/><br/><br/>
 
<br/><br/><br/><br/><br/><br/>

2024년 1월 23일 (화) 16:06 기준 최신판

메인 페이지로 가기



조선시대 과시(科試) 자료의 DB구축 및

수사문체와 논리구축 방식의 변천사 연구

A Study on History of a Rhetorical Style and a Way of Constructing Logic

through Building the DB System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Contents


기본정보 데이터 모델 데이터 편찬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과시(科試)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종합하여 목록화하고 DB로 구축함으로써 조선시대 과문의 특징을 파악하고 학술, 문학, 출판인쇄문화의 발달상을 이해하며, 나아가 수사문체 및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과거 문제 및 문체, ② 수험 결과물(시험 답안), ③ 수험 참고서 세 방면에서 DB를 구축하고 이를 문헌학적으로 연구하며, 이상을 토대로 ④ 조선시대의 수사문체와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⑤ 동아시아 과거 문화의 비교 연구과거를 통한 지성사와 학술사의 종합적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단계 1년차 : 〈과거 문제 및 문체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방목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역사기록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1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1단계 2년차 : 〈수험 결과물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시권류, 과문선집류, 개인문집류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2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1단계 3년차 : 〈수험 참고서의 DB 구축과 문헌학적 연구〉 과거 참고서적, 운서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목록화하며 이를 DB로 구축한다. 또한 해당 자료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3년차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총서로 출간한다.

2단계 :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기 구축한 DB에 대한 수정 보완과 추가 자료 보강 작업을 진행하면서, DB를 활용하여 아래의 주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매년 한 차례씩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총서를 출간한다. 2단계 1년차는 〈과거와 수사 문체 및 논리구축방식 연구〉, 2단계 2년차는 〈동아시아 과거 비교 연구〉, 2단계 3년차는 〈과거를 통한 조선시대 지성사와 학술사 연구〉를 진행한다.



Data Model



항목

클래스(Class)


시험(Exam) 문제(Question) 답안(Answer) 시권(Sigwon) 방목(Bangmok)

참고서(Reference) 작품(Work) 간본(Publication) 문집(Collection)

인물(Person) 시간(Time) 장소(Place) 기관(Institution)



속성(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관계(Relationship)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시험(Exam) 시험(Exam) ○시험(Exam)→시험(Exam): '시험'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시험(Exam) 시간(Time) ○시험(Exam)→시간(Time): '시험'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시험(Exam) 장소(Place) ○시험(Exam)→장소(Place): '시험'과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문제(Question) 시험(Exam) ○문제(Question)→시험(Exam): '문제'와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답안(Answer) 문제(Question) ○답안(Answer)→문제(Question): '답안'과 '문제'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시권(Sigwon) 답안(Answer) ○시권(Sigwon)→답안(Answer): '시권'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방목(Bangmok) 시험(Exam) ○방목(Bangmok)→시험(Exam): '방목'과 '시험'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방목(Bangmok) 시간(Time) ○방목(Bangmok)→시간(Time): '방목'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인물(Person) 답안(Answer) ○인물(Person)→답안(Answer): '인물'과 '답안'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시간(Time) 시간(Time) ○시간(Time)→시간(Time): '시간'과 '시간'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장소(Place) 장소(Place) ○장소(Place)→장소(Place): '장소'와 '장소' 사이의 의미적 관계 정리



클래스(Class)


시험(Exam)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시험(Exam)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


● Context

○시험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행년도를 기준으로 시험(소과/대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시험일자의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는 복시를 기준으로 정리했는데, 본 연구의 경우 시험의 개별 정보(초시/복시) 시행일자를 찾아서 연월일을 최대한 구분해서 입력한다. 구체적 월/일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목 정보'에 기재된 시험일을 기준으로 입력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분류A(sortA) 분류B(sortB) 분류C(sortC)
분류D(sortD) 분류E(sortE) 출처(Resource)

○식별자(id)
E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대표명(name)
① 소과: 1393년_식년시소과_진사 / 1624년_증광시소과_초시
② 대과: 1835년_증광시대과_종장
③ 중시 : 예외적으로 1407년_중시_초장 (SortA에는 대과로 구분)
④ 발영시, 진현시, 제주별시 등의 이름은 일단 나와있는대로 입력.
⑤ 친시-별시, 회시-복시가 혼동될 경우 ‘친시’, ‘복시’(한중연 기준)로 입력

○분류A(sortA)
대과(Big) / 소과(Small) 구분.

○분류B(sortB)
생원(Scripture) / 진사(Literature) 구분.

○분류C(sortC)
식년시, 증광시, 별시 등 시험종류 구분.

○분류D(sortD)
초시(First) / 복시(Second) / 전시(ThrID) 구분.

○분류E(sortE)
초장(1) / 중장(2) / 종장(3) 구분.

○출처(Resource)
-방목, 연구서, 사료, 문집 가운데 해당 시험정보의 출처가 되는 정보를 입력.
-연구서는 세부 Page 기재, 사료와 문집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사 URL 기재.



문제(Questi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문제(Questi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문제)


● Context

○시험(Exam) 정보를 기준으로 그에 해당하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문체대범주(category1) 문체소범주(category2) 요약(abstract)
내용(content) 출처(source) 출처링크(sourceURL) 해제(description)

○식별자(id)
① 소과 입력 원칙: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 초장(1)/중장(2)/종장(3)/모름(0) + 1소(1)/2소(2)/모름(0) + 문제순서(1부터 일괄 적용)/모름(0)
② 대과 입력원칙: 기본적으로 소과의 방식을 따르되 전시 혹은 1번의 시험으로 급락이 결정되는 시험들(정시,알성시,춘당대시 등)의 경우 모름 자체도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입력. → Q + 시험연월일(총8자리) + 대과(B) 또는 소과(S) + 초시(F)/복시(S)/전시(T) 까지만 입력.
③ 京/鄕으로 구분되는 경우 우선 1/2로 입력 (일괄 변경 예정)

○대표명(name)
초/중/종장, 시험 장소, 문체 등의 정보에 대해서 기재하지 않음. 예시: 1803년_증광시소과_초시_문제

○문체대범주(category1)
시험 문제의 가장 큰 문체 범주(賦, 義, 疑, 策 등)를 입력. 예시: 策

○문체소범주(category2)
오경의(五經義)와 같이 하위 범주가 있을 때 세부 과목명을 입력. 예시: 易義

○요약(abstract)
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
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미입력.

○내용(content)
① 시/부 등 운문이나 문제가 짧을 경우 그대로 입력.
② 疑/義/策 등 전체 내용이 길 경우 전문 입력.

○출처(source)
방목출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요약(abstract)이나 내용(contents)을 웹 상에서 찾아보고 복수의 출전이 발견될 경우 모두 입력.

○출처링크(sourceURL)
출처가 사료/문집의 경우 해당 자원을 제공하는 기관 아카이브의 URL을 입력.

○해제(description)
문제에 관한 해제(해설)를 작성해서 입력.



시권(Sigw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을 기록한 답안지로서 시권(Sigw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 권익문(權益文) 시권)


● Context

○시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시권에 실린 답안(Text)에 관한 내용은 별도로 '답안(Answer)' 클래스에 정리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작성연대(Year) 분류(sort) 설명(description)
점수(grade) 등제(rank) 세로(height) 가로(width) 제공처(provider)
원소장처(owner) 제공링크(webURL)

○식별자(id)
S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예시: S17100511SS125.

○대표명(name)
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한글이름(한자이름) + 시권. (답안 작성 논리에 의거). 예시: 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 권익문(權益文)_시권

○작성연대(year)
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

○분류(sort)
소과 / 대과로 분류.

○설명(description)
시권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기술. 예시: 1710년 증광시 소과 복시에서 유학 권익문(權益文)이 작성한 답안지

○점수(grade)
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次下

○등제(rank)
시권 원문 이미지 및 해제 정보를 참고하여 찾아서 기재. 예시: 三之二十

○세로(height)
시권 원자료의 세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72.0

○가로(width)
시권 원자료의 가로길이 정보(소수점 1자리까지 입력)를 시권 이미지 제공 기관에서 구축한 메타데이터에서 찾아서 기재. 예시: 220.0

○제공처(provider)
시권 원자료 제공 기관을 입력. 예시: 국립민속박물관

○원소장처(owner)
시권 원자료를 원해 소장하고 있던 가문/개인을 입력. 예시: 광주 이장동 장흥고씨 수촌후손가

○제공링크(webURL)
시권 원자료 실물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URL. 예시: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501500100242400000

○요약(abstract)
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방목(Bangmok)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방목(Bangmok)을 정의하는 클래스입니다. (예시: 경인증광사마방목(庚寅增廣司馬榜目))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작성연대(Year)

답안(Answer)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개체로서 답안(Answer)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_증광시소과_복시_답안)


● Context

○시권에 담긴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
○시권은 남아 있지 않지만, 문집이나 참고서에 기록된 답안 정보를 입력한다.
○방목의 시험 실시 정보와 함께 시권에 기재된 답안 작성자의 나이 기준도 동시에 검토한다.
○초시의 경우, 방목에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문제와 답안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향시(鄕試)일 가능성이 크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작성연대(year) 작자(writer) 분류(sort)
원문(contentsO) 번역(contentsT) 요약(abstract)

○식별자(id)
A + 문제 입력 방식 + 구별 번호(중복 방지). 구별번호의 경우 중복이 없으면 1, 중복이 생기면 시권목록의 A(번호)열을 중심으로 계산. 예시: A17100511SS125.

○대표명(name)
연도 + 시험 종류 + 세부 시험 정보 + 답안. 예시:1710년_증광_생원시_복시_답안

○작성연대(year)
작성된 연도를 숫자만 기재. 예시: 1710

○작자(writer)
답안 작성자의 성명을 한글(한자) 형식으로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

○분류(sort)
소과 / 대과로 분류.

○원문(contentsO)
답안의 원문 텍스트를 입력.

○번역(contentsT)
답안의 번역문 텍스트를 입력.

○요약(abstract)
답안의 내용에 관한 해제(해설)을 작성해서 입력.



인물(Person)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인물(Person)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권익문(權益文))


● Context

○기본적으로는 과거시험의 합격자(합격답안 작성자)가 중심이 되겠으나, 응시자(불합격자)와 시험관 등에 관한 정보를 포괄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한글명(korname) 한자명(chiname) 이칭(alias)
자字(courtesyname) 호號(pseudonyms) 생년(birthYear) 몰년(deathYear) 본관(origin)
성씨(clan) 거주지(residence)

○식별자(id)
Pe + 출생연도 + 구별번호 + 이니셜(알파벳). 예시: PE166100KIM

○대표명(name)
대표 이름으로 한글(한자) 병기 입력. 예시: 권익문(權益文)

○한글명(korname)
한글명 입력. 예시: 권익문

○한자명(chiname)
한자명 입력. 예시: 權益文

○이칭(alias)
정규적인 이름 외에 별명이나 별호 또는 족보상의 이름이 다를 경우 입력.

○자字(courtesyname)
자字 입력. 예시: 숙빈(叔彬)

○호號(pseudonyms)
호號 입력. 예시: 중심당(中心堂);두암(蠹庵)

○생년(birthYear)
해당 인물이 태어난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661

○몰년(deathYear)
해당 인물이 죽은 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712

○본관(origin)
해당 인물의 본관 정보를 입력. 예시: 안동

○성씨(clan)
해당 인물의 성씨를 본관 + 성씨 형식으로 입력. 예시: 안동권

○거주지(residence)
방목의 합격자 정보에 함께 기록된 거주지 정보를 입력. 예시: 한성(京)



시간(Tim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시간(Time)을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1710년05월11일)


● Context

○시험의 일자(date) 정보를 연-월-일 단위로 나누어 입력한다.
○월과 일 단위의 간지 정보는 생활천문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음양력 변환 데이터를 이용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분류(sort) 연(year) 월(month)
일(day) 연간지(y_sc) 월간지(m_sc) 일간지(d_sc) 윤달(intercalary)
양력(solar)

○식별자(id)
T + 연월일 정보 + 윤달여부(L). 예시: T13930503

○대표명(name)
띄어쓰기 없이 이어서 작성. 예시: 1393년05월03일

○ 분류(sort)
연(year), 월(month), 일(day) 가운데 확인되는 가장 세부적인 정보 입력. 예시: day

○ 연(year)
해당 시간의 연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1393

○ 월(month)
해당 시간의 월별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5

○ 일(day)
해당 시간의 일자 정보를 숫자만 입력. 예시: 3

○ 연간지(y_sc)
해당 시간의 연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酉

○ 월간지(m_sc)
해당 시간의 월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癸巳

○ 일간지(d_sc)
해당 시간의 일 간지를 한자로 입력. 예시: 甲戌

○ 윤달(intercalary)
윤달 여부를 확인해서, 윤달일 경우 ‘윤달’ 기재. 윤달이 아닐 경우 기재 안함.

○ 양력(solar)
-음력 1582.09.18(선조15년 9월 18일)까지는 율리우스력 날짜를 기재.
-음력 1582.09.19일부터는 그레고리력 날짜(양력 1582년 10월 15일)를 기재.



장소(Place)


● Description

과시 자료와 관련된 주요 정보로서 장소(Place)를 정의하는 클래스다. (예시: 예조(禮曹))


● Context

○방목 자료 등을 참고해서 시험장별 장소(건물)을 입력한다.
○대과의 경우 시험 장소가 1소와 2소 구분되어 기재된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입력 정보에 반영한다.


● Attribute

식별자(id) 대표명(name) 한글명(korname) 한자명(chiname) 분류(sort)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출처(source)

○식별자(id)
L + 세자리숫자번호(예:001) 형식으로 구성.

○대표명(name)
장소 한글명(한자명). 예시: 비천당(丕闡堂)

○한글명(korname)
장소 한글명. 예시: 비천당

○한자명(chiname)
장소 한글명. 예시: 丕闡堂

○분류(sort)
궁궐, 군영, 별당 등 지식백과 정의를 기준으로 입력. 분류 기준이 애매모호할 경우 우선 ‘건물’로 입력

○위도(latitude)
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37.57792418344439

○경도(longitude)
http://map.esran.com/ 혹은 구글맵스를 통해 입력. 예시: 126.97716607372911

○출처(source)
장소가 적힌 출처를 기재. 예시: 숭정기원후5을유식년사마방목(崇禎紀元後五乙酉式年司馬榜目)



속성(Attribute)


식별자(id)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식별자 정보.


대표명(name)


○ Description

모든 개체에 적용되는 대표명 정보.





관계(Relationship)


시험(Exam)→시험(Exam)


○ A includes B : A는 B를 부속하다




시험(Exam)→시간(Time)


○ A isHeldOn B : A는 B에 시행되다




시험(Exam)→장소(Place)


○ A isHeldAt B : A는 B에서 거행되다
※1소와 2소를 구분할 수 있을 경우, 1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1"로, 2소는 관계속성 location의 value를 "2"로 부여.




문제(Question)→시험(Exam)


○ A isGivenIn B : A가 B에서 출제되다




답안(Answer)→문제(Question)


○ A isResponseTo B : A는 B의 답안이다




시권(Sigwon)→답안(Answer)


○ A contains B : A가 B를 담다




방목(Bangmok)→시험(Exam)


○ A isRecordOf B : A는 B의 기록이다




방목(Bangmok)→시간(Time)


○ A isAnnouncedOn B : A는 B에 발표되다




인물(Person)→답안(Answer)


○ A isWriterOf B : A가 B의 작성자다




시간(Time)→시간(Time)


○ A hasPart B : A는 B를 포함하다




장소(Place)→장소(Place)


○ A isLocatedIn B : A는 B에 위치하다





온톨로지 그래프 시각화


데이터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Data



Google Spreadsheet

과시자료 Dataset 입력 구글 스프레드시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