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o Kun Explor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1번째 줄: | 111번째 줄: | ||
==='''How''' <small>'''어떻게'''</small><ref>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지나치게 부족한데다 관련된 내용이 전부 외국어로 이루어져 설명과 이해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ref>=== | ==='''How''' <small>'''어떻게'''</small><ref>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지나치게 부족한데다 관련된 내용이 전부 외국어로 이루어져 설명과 이해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ref>=== | ||
− | |||
− | |||
− | |||
− | |||
− | |||
− | |||
− | |||
====연구 진행==== | ====연구 진행==== | ||
− | #'''''React'''''와 '''''Leaflet'''''의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지도 편집 도구 제작 | + | #'''''[https://ko.reactjs.org/ React]<ref>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ref>'''''와 '''''[https://leafletjs.com/SlavaUkraini/ Leaflet]<ref>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구동될 수 있는 지도를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ref>'''''의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지도 편집 도구 제작 |
#마오쿤 지도 크라우드 소싱을 위해 중국 역사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들에 광고, 자원봉사자 모집 | #마오쿤 지도 크라우드 소싱을 위해 중국 역사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들에 광고, 자원봉사자 모집 | ||
#데이터들의 중국어 텍스트 번역, 현대의 이름이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기입(위도와 경도를 중심으로) | #데이터들의 중국어 텍스트 번역, 현대의 이름이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기입(위도와 경도를 중심으로) | ||
− | #데이터를 취합, '''''GeoJSON''''' 파일 생성<ref>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도 모두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를 제외한다.</ref> | + | #데이터를 취합, '''''[https://geojson.org/ GeoJSON]<ref>지리 정보의 코딩 형식을 제공한다.</ref>''''' 파일 생성<ref>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도 모두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를 제외한다.</ref> |
+ | |||
+ | ====[https://zhenghe.rslc.us/ 결과물]==== | ||
+ | [[파일:과거.jpg||||마오쿤 지도 원본 모습]] | ||
+ | 마오쿤 지도 원본 | ||
+ | [[파일:현대.jpg|마오쿤 지도 현대 모습]] | ||
+ | 마오쿤 지도 재구성 | ||
+ | *특징 | ||
+ | ㆍ장소를 카테고리화하여 색으로 구분해 독자의 빠른 이해를 돕고 있으며, 각 항해에서 방문한 장소를 따로따로 볼 수도 있다. 지명 또는 장소의 이름은 기록에 남아있는 명칭과 현대의 명칭을 함께 보여준다. | ||
+ | |||
+ | [[파일:분류.jpg|500픽셀]] | ||
+ | |||
+ | ㆍ중국에서 나오는 경로와 중국으로 향하는 경로를 색으로 구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각 경로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그리고 당시 기록을 바탕으로 하는 소요 시간이 명시되어 있다. | ||
+ | [[파일:중국나오는길.jpg]][[파일:중국가는길.jpg]] | ||
+ | |||
+ | ㆍ관련된 용어를 별도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따로 정리하기도 했다. | ||
+ | - 명나라 관련 용어 정리 | ||
+ | [[파일:명나라용어.jpg]] | ||
+ | - 항해도구 관련 용어 정리 | ||
+ | [[파일:항해도구.jpg]] | ||
+ | - 천체 관련 용어 정리 | ||
+ | [[파일:별.jpg]] | ||
+ | |||
+ | ㆍ항해할 때 위도를 계산하는 식과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ref><del>무슨 소리인지 사실 잘 모르겠다.</del></ref> | ||
+ | [[파일:별계산.jpg]] | ||
==='''Why''' <small>'''왜'''</small>=== | ==='''Why''' <small>'''왜'''</small>=== | ||
128번째 줄: | 145번째 줄: | ||
==='''Comment''' <small>'''논평'''</small>=== | ==='''Comment''' <small>'''논평'''</small>=== | ||
−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익명의 레딧(Reddit) 회원들의 도움을 구했다는 점에 우선 놀랐다. 연구에 누군가를 참여시킬 때 관련된 경험 또는 이전 성과를 검토한 후에 '''실명'''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익명의 회원들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었던 이유가 주어진 데이터를 2차, 3차로 재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하는 것에 | +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익명의 레딧(Reddit) 회원들의 도움을 구했다는 점에 우선 놀랐다. 연구에 누군가를 참여시킬 때 관련된 경험 또는 이전 성과를 검토한 후에 '''실명'''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익명의 회원들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었던 이유가 주어진 데이터를 2차, 3차로 재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었다. |
*평소 성경과 같은 옛날 책이나 문서에 나오는 지명들이 현대의 어디쯤일까 궁금해서 종종 찾아보곤 했는데, 그와 비슷한 맥락의 연구를 조사할 수 있어 즐거웠다. | *평소 성경과 같은 옛날 책이나 문서에 나오는 지명들이 현대의 어디쯤일까 궁금해서 종종 찾아보곤 했는데, 그와 비슷한 맥락의 연구를 조사할 수 있어 즐거웠다. | ||
+ | *하지만 번역에 매우 애를 먹었다ㅠ 한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가 한국에서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어 아쉬웠다. | ||
+ | *며칠간 데이터 연구만 쳐다보고, 찾은 내용들 정리한 내용들을 위키 문법으로 서술하는 과정들이 마치 "'''공대생'''"이 된 듯한 느낌이 들어서 흥미롭고 만족스러웠다. <del>하지만 이과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다.</del> | ||
==='''References''' <small>'''각주'''</small>=== | ==='''References''' <small>'''각주'''</small>=== | ||
<references/> | <references/> |
2022년 3월 23일 (수) 11:58 기준 최신판
목차
Who 누가
총책임연구자: Ryan Carpenter
조력자
- Anthony Barbeiri: 영감 제공, 지도 스캔본 이미지 타일링
- Aaron Jia-rong CHEN (陈佳荣): 南溟網(South Seas Network)의 명청시대 동남아시아 및 인도양 지도 백과사전 카탈로그 편집, 동료 Jianqiu ZHU (朱鑒秋)의 메모 공유
- Sheng-I HSU (徐勝一): 지구의 세차운동을 통해 정화의 카말 측정치가 현대와 일치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 북극성이 보이지 않는 아프리카 남동부와 몰디브에서 항성 관측과 관련된 제작자의 질문 해결
- José Manuel Malhão Pereira: 15세기 선원들이 사용했던 항해 도구의 용도 규명, 포르투갈어에서 영어로 변역
- Sally K. Church: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문 해결, JVG Mills의 연구에 대한 이해 보조
- Reddit 사용자(cabaran, rankwally, ralmin, Time_Swallow, treyparkermattstone, Rogerinplay, soowhooh, houseforever): 사이트, 용어집 번역
When 언제
2021년 12월 11일[1]
Where 어디서
홍콩[2]
지도를 불러오는 중...
What 무엇을
정화 대항해[3]
- 정화(鄭和, 1371-1433)
- 목적
- 정치적 목적
- 항해를 통해 통치기반을 안정시키고 태평성대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 서양의 대발견과 항해가 약탈과 살인, 식민과 피식민의 구도로 이어졌다는 점과 차별화된다.
- 경제적 목적
- 항해를 통해 항구 도시간의 경제무역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고, 실제로 정화의 선단은 해적을 격퇴하기도 하는 등 큰 역할을 수행했다.
- 하지만 출항할 때마다 방대한 보물과 특산품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에, 학자들은 이 항해가 명나라에게는 오히려 적자였을 것이라며, 경제적 목적이 크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외교적 목적
- 항해를 통해 중국은 각 나라와 조공관계 수립을 도모하였다.
- 정치적 목적
- 항해 과정
- 1차 항해(1405~
- 항해 지역: 참파, 자바, 수마트라, 람브리, 캘리컷지도를 불러오는 중...
- 항해 지역: 참파, 자바, 수마트라, 람브리, 캘리컷
- 2차 항해(1407~
- 항해지역: 참파, 태국, 자바, 캘리컷, 코친, 스리랑카지도를 불러오는 중...
- 항해지역: 참파, 태국, 자바, 캘리컷, 코친, 스리랑카
- 3차 항해(1409~)
- 항해지역: 캘리컷, 말라카, 수마트라, 자바, 태국, 참파, 람브리지도를 불러오는 중...
- 항해지역: 캘리컷, 말라카, 수마트라, 자바, 태국, 참파, 람브리
- 4차 항해(1413~)
- 항해지역: 호르모즈, 소말리아, 아단, 케냐, 스리랑카, 메카지도를 불러오는 중...
- 항해지역: 호르모즈, 소말리아, 아단, 케냐, 스리랑카, 메카
- 5차 항해(1417~), 6차 항해(1421~)
- 1~4차 항해를 통해 명나라에 입국한 사신들을 본국으로 귀국시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 7차 항해(1431~)
- 항해 도중 정화가 세상을 떠나게 된다.
- 1차 항해(1405~
- 의의
- 정화 대항해는 중국의 전통적 조공체제를 세계로 확장하는 데에 기여했으며, 항해 과정에서 형성된 항구 도시간의 네트워크는 경제적으로도 크게 기여했다.
- 대항해가 이루어진 28년간 30여 개국이 넘는 나라들과 평화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 정화 대항해는 무비지라는 책의 일부에 지도 형태로 담겨있는데, 이는 A4 2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이다.
How 어떻게[6]
연구 진행
- React[7]와 Leaflet[8]의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지도 편집 도구 제작
- 마오쿤 지도 크라우드 소싱을 위해 중국 역사에 관심 있는 유저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들에 광고, 자원봉사자 모집
- 데이터들의 중국어 텍스트 번역, 현대의 이름이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기입(위도와 경도를 중심으로)
- 데이터를 취합, GeoJSON[9] 파일 생성[10]
결과물
- 특징
ㆍ장소를 카테고리화하여 색으로 구분해 독자의 빠른 이해를 돕고 있으며, 각 항해에서 방문한 장소를 따로따로 볼 수도 있다. 지명 또는 장소의 이름은 기록에 남아있는 명칭과 현대의 명칭을 함께 보여준다.
ㆍ중국에서 나오는 경로와 중국으로 향하는 경로를 색으로 구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각 경로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그리고 당시 기록을 바탕으로 하는 소요 시간이 명시되어 있다.
ㆍ관련된 용어를 별도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따로 정리하기도 했다.
- 명나라 관련 용어 정리
- 항해도구 관련 용어 정리
- 천체 관련 용어 정리
ㆍ항해할 때 위도를 계산하는 식과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11]
Why 왜
명나라 정화의 항해에 바탕을 두고 있는 마오쿤 지도는 중국 밖의 세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중국 문서이다. 그 의의가 작지 않음에도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인식한 연구자는 이미지 타일과 디지털 매핑 기술을 활용해 웹사이트를 개발해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12]
Comment 논평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익명의 레딧(Reddit) 회원들의 도움을 구했다는 점에 우선 놀랐다. 연구에 누군가를 참여시킬 때 관련된 경험 또는 이전 성과를 검토한 후에 실명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익명의 회원들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었던 이유가 주어진 데이터를 2차, 3차로 재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었다.
- 평소 성경과 같은 옛날 책이나 문서에 나오는 지명들이 현대의 어디쯤일까 궁금해서 종종 찾아보곤 했는데, 그와 비슷한 맥락의 연구를 조사할 수 있어 즐거웠다.
- 하지만 번역에 매우 애를 먹었다ㅠ 한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가 한국에서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어 아쉬웠다.
- 며칠간 데이터 연구만 쳐다보고, 찾은 내용들 정리한 내용들을 위키 문법으로 서술하는 과정들이 마치 "공대생"이 된 듯한 느낌이 들어서 흥미롭고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이과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다.
References 각주
- ↑ 연구와 관련해서 찾을 수 있었던 유일한 날짜 https://github.com/carpiediem/maokun-explorer
- ↑ 본인 소개 홈페이지에도 홍콩이라고만 명시되어 있다. 현 직장 주소는: 111 Queen's Rd W, Sheung Wan, Hong Kong 20/F, Hua Fu Commercial Building, HK Hong Kong Hong Kong, Singapore, United States 0000
- ↑ 최형록.(2011).정화(鄭和) 대항해와 해양 국가 및 해양 도시와의 교류 연구.해항도시문화교섭학,(5),133-161.
- ↑ 무함마드의 중국식 성이 마(馬)씨인데, 이는 정화가 무슬림이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 실제로 영락제는 이를 이유로 정화를 항해의 총책임자로 임명하였다.
- ↑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지나치게 부족한데다 관련된 내용이 전부 외국어로 이루어져 설명과 이해가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 ↑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
- ↑ PC환경과 모바일 환경에서 구동될 수 있는 지도를 위한 자바스크립트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다.
- ↑ 지리 정보의 코딩 형식을 제공한다.
- ↑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도 모두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위경도가 불확실한 데이터를 제외한다.
- ↑
무슨 소리인지 사실 잘 모르겠다. - ↑ The Mao Kun map is the oldest Chinese document showing a large part of the world outside China. It is largely based on the voyages of Zheng He during the Ming Dynasty. As an intersection between history, cartography, and my current home, Hong Kong, I am fascinated by the map, but it is very difficult to use. The map was originally printed on 18 sheets of paper, read right to left from Nanjing to Hormuz. I decided to build a website for the map once I discovered a copy made in image tiles, ready for digital ma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