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가운데 ==='''Who''' <small>'''누가'''</small>=== *국사편찬위원회 **류준범 연구편찬정보화실장을 비롯한 수많은 직원 *자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메인화면.png|가운데]]
+
[[File:DHwebsite_main_TheSamilmovement.png|center|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가기 | link=http://db.history.go.kr/samil/]]
 +
 
 
==='''Who''' <small>'''누가'''</small>===
 
==='''Who''' <small>'''누가'''</small>===
*국사편찬위원회
+
*'''국사편찬위원회'''
 
**류준범 연구편찬정보화실장을 비롯한 수많은 직원
 
**류준범 연구편찬정보화실장을 비롯한 수많은 직원
*자료 제공에 협력한 국내외 많은 기관
+
*'''자료 제공에 협력한 국내외 많은 기관'''
 
**국가기록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독립기념관, 연세대학교, 일본 시가현립대학교, 진관사 등
 
**국가기록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독립기념관, 연세대학교, 일본 시가현립대학교, 진관사 등
*수많은 연구자들
+
*'''여러 연구자들'''
 
**전성현, 이애숙, 김도훈, 이송순, 정숭교 선생님 등
 
**전성현, 이애숙, 김도훈, 이송순, 정숭교 선생님 등
 
+
----
 
==='''When''' <small>'''언제'''</small>===
 
==='''When''' <small>'''언제'''</small>===
*홈페이지 공개 : 2019년 2월 20일
+
*'''홈페이지 공개 : 2019년 2월 20일'''
**2019년 12월 기념 책자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 발간
+
**2019년 12월 기념 책자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 발간
*연구 기간 : 2016년 - 2019년 (홈페이지 공개 후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자료 추가 진행)
+
*'''연구 기간 : 2016년 - 2019년'''
 
+
**홈페이지 공개 후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자료 추가 진행
 +
----
 
==='''Where''' <small>'''어디서'''</small>===
 
==='''Where''' <small>'''어디서'''</small>===
*인터넷 홈페이지 http://db.history.go.kr/samil
+
*'''인터넷 홈페이지 [http://db.history.go.kr/samil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
----
 
==='''What''' <small>'''무엇을'''</small>===
 
==='''What''' <small>'''무엇을'''</small>===
*현존하는 3·1운동 관련 국내외 사료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해 제공하는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메인지도.PNG|
 +
파일:인포크게보기.PNG
 +
파일:GIS.PNG
 +
</gallery>
 +
*'''현존하는 3·1운동 관련 국내외 사료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해 제공하는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
 
==='''How''' <small>'''어떻게'''</small>===
 
==='''How''' <small>'''어떻게'''</small>===
-일제의 정보 보고 자료, 일제 검사국 문서, 법원 판결문,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 《독립신문》을 비롯한 신문 자료, 재한 선교사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해 각처에서 일어난 만세 운동의 진실을 재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4년, 감춰졌던 퍼즐 조각들을 맞춰 가며 그날의 실상을 상당수 복원
+
<gallery mode=packed caption="삼일운동DB"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사업 요약
+
파일:사건정보.PNG
-홈페이지의 데이터 이용 안내 부분 확인 후 요약 및 첨부(동영상 첨부 가능?)
+
파일:탄압정보.PNG
 
+
파일:독립운동,동향정보.PNG
==='''Why''' <small>'''왜'''</small>===
+
</gallery>
  
#일제의 감시와 탄압 그리고 의도적인 은폐 작업으로 100년 전 그날의 실상은 상당수 감춰졌습니다. 우리는 100년이 지난 현재에도 3•1운동의 올바른 진상을 다 찾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이에 2016년부터 4년 후인 2019년에 맞게 될 3•1운동 100주년을 전망하면서, 그날을 뜻 깊게 맞이 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 그 연구 작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 작업은 그동안 감춰지고 잊힌 100년 전 그날의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부
+
#<big>'''사건정보'''</big> <small>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성과를 일반 국민과 함께하고자 기획
+
#*'''<font color="#6A5ACD">유형별 검색</font>''' - '''기본유형''' <small>(시위, 철시, 파업, 휴학·휴교, 계획, 기타활동)</small> / '''시간''' <small>(새벽, 오전, 오후, 야간)</small> / '''행동양상''' <small>(만세, 집단항의, 파손·파괴, 폭행, 처단, 방화)</small> / '''탄압양상''' <small>(발포, 도검, 기타무기, 파괴, 방화)</small> / '''운동매체''' <small>(깃발, 문서, 노래, 구호, 불, 낙서, 기타</small>) / '''운동주체''' <small>(일반, 천도교도, 예수교도, 대종교도, 불교도, 유생, 상인, 노동자, 학생, 교사, 관공리)</small>
 +
#*'''<font color="#6A5ACD">캘린더 검색</font>
 +
#*'''<font color="#6A5ACD">상세 검색</font> - 사건명, 세부장소, 인물명, 사건 개요, 참가자수, 사망자수, 탄압기구명, 출처정보
 +
#*사건의 일시와 장소, 개요, 출처정보, 연관사건, 관련인물, 탄압기구 등에 관한 정보 제공
 +
#<big>'''탄압정보'''</big> <small>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font color="#6A5ACD">출전구분</font>'''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보고자료, 경성지법검사국문서, 일본외무성기록,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문, 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작성일, 문서제목, 작성자, 출처내용, 사건장소, 정보유형, 관련 한국사 DB 자료 링크 등을 제공
 +
#<big>'''독립운동 / 동향정보'''</big> <small>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font color="#6A5ACD">출전구분</font>'''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보고자료, 경성지법검사국문서, 일본외무성기록,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문, 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작성일, 문서제목, 작성자, 출처내용, 사건장소, 정보유형, 관련 한국사 DB 자료 링크 등을 제공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부가정보"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행정구역.PNG
 +
파일:탄압기구.PNG
 +
파일:세부장소.PNG
 +
파일:출처자료.PNG
 +
파일:인물정보.PNG
 +
</gallery>
  
==='''Comment''' <small>'''논평'''</small>===
+
#<big>'''행정구역'''</big> <small>행정구역의 직접 선택 혹은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인물정보의 가장 첫 화면에서는 인물의 이름이 한자로만 제시되어 있음. 한글 병기하면 한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의 접근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생각
+
#*'''<font color="#6A5ACD">행정구역 정보</font>''' -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도'''를 비롯한 각 도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분류
-3·1운동의 개별 사건들을 시기와 지역 뿐 아니라 활동 유형과 시간대에 따라 분류하여 검색 및 정보 수집 시 편의 정도를 높여준 것 같다고 생각 (개인 연구자 혹은 작은 연구 단체가 아니라, 수많은 연구자와 국가 기관, 이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협력 관계를 통해 긴 기간 연구를 진행한 결과이므로, 홈페이지 구현이 아주 잘 되어있다고 생각했음)
+
#*행정구역 구분과 행정구역명, 설치 및 폐지일자,  행정구역에 관련된 사건 등에 관한 정보 제공
 +
#<big>'''탄압기구'''</big> <small>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font color="#6A5ACD">경찰</font>''' - 경무부, 경찰서, 파출소, 주재소
 +
#*'''<font color="#6A5ACD">헌병</font>''' - 헌병대본부, 헌병분대, 헌병분견소, 헌병주재소
 +
#*'''<font color="#6A5ACD">조선군</font>''' - 사령부, 사단, 여단, 연대
 +
#*기구의 이름, 규모, 유형, 설치일자, 폐지일자, 위치, 전거자료, 부가정보 등을 제공
 +
#<big>'''세부장소'''</big> <small>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font color="#6A5ACD">유형</font>''' - '''마을_시가, 관공서_헌병, 관공서_경찰, 관공서_행정, 관공서_기타, 시장, 학교, 기타, 자연지물, 종교시설, 기타_영역중앙점'''
 +
#*위치, 설명, 시위정보, 관련 정보 목록 등을 제공
 +
#<big>'''출처자료'''</big> <small>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font color="#6A5ACD">정보 검색</font>'''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자료, 일본외무성기록, 경성지법검사국문서,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보,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font color="#6A5ACD">문서 검색</font>'''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자료, 일본외무성기록, 경성지법검사국문서,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보,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자료 구분, 문서 제목, 출처 내용, 사건일자 장소, 원문, 사건 정보 등 제공
 +
#<big>'''인물정보'''</big> <small>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small>
 +
#*인물명, 관련문서, 문서번호, 적용죄명, 속성, 심급, 판결일, 주소지, 직업, 인물 설명 및 관련 사건 정보 등 제공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격문‧선언서"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
파일:격문선언서.PNG
 +
</gallery>
  
 +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격문‧선언서의 제목, 현대문, 원문, 일역문, 작성자, 구분, 원본 이미지, 출처 등 제공'''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인포그래픽"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인포그래픽.PNG
 +
파일:인포크게보기.PNG
 +
파일:인포크게보기(지역).PNG
 +
</gallery>
  
'''본 연구의 의의'''
+
*'''<font color="#6A5ACD">헌병, 경찰 기구 분포도</font> - 1919년 3월 기준 헌병 및 경찰 기구 분포도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font color="#6A5ACD">국내외 3·1운동</font> - 삼일운동 월별 총 시위, 참가자 수, 기본유형/행동양상/운동매체유형/주제유형 별 시위건수 등에 관한 정보를 표와 지도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font color="#6A5ACD">헌병, 경찰 기구 분포도</font> - 1919년 3월 기준 헌병 및 경찰 기구 분포도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font color="#6A5ACD">권역별 주제도</font> -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의 세부지역/행동양상 유형/운동매체 유형/주제 유형별 시위건수, 월별 시위 빈도수, 일별 시위건수, 발포건수를 표와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GIS 서비스" heights="200px" "style="float:center">
 +
파일:GIS.PNG
 +
파일:GIS확대.PNG
 +
</gallery>
  
1. 3·1운동 참여자 수는 그동안 학계 연구와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에서 50만~200만 명으로 추산돼 왔다. 이번 추계는 사료를 총 망라하는 한편, 중복과 누락을 정리해 확실한 근거를 갖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국편DB는 일제 측 사료와 임정이 간행한 ‘한일관계사료집’, 외국인 선교사 보고 등 문서 8915건를 검토해 관련 정보 2만1407건을 추출, 정리한 결과다.
+
'''*통합검색, 행정구역 검색, 날짜기반 검색,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시위일자, 시위명, 시위 세부 장소, 시위유형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지도 속에서 시각적으로 구현 및 정보 제공'''
2.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역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개별 사건과 자료를 확인하는 데에는 편리하나 비전문가가 보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이에 일반인도 쉽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3•1운동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책자의 간행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자는 종합편 한 책, 도별로 각 지역 3•1운동의 특성을 보여 주는 지역편 세 책, 3•1운동 당시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는 선언서•격문편 한 책 등 총 5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나아가는 길잡이이자, 그 자체로서도 의미 있는 연구 결과물
+
----
 
+
==='''Why''' <small>'''왜'''</small>===
==='''각주'''===
+
<html><iframe width="600" height="320" src="https://www.youtube.com/embed/qAshxJh4jH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html>
<references/>
+
*일제의 감시와 탄압, 의도적인 은폐 작업으로 감춰진 <font color="#FF7F50">3·1운동의 진실</font>을 찾고, 100주년을 뜻깊게 맞이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
 +
*<font color="#FF7F50">3·1운동 연구를 심화하고 3·1운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font> 관련 기초 정보를 종합하고 GIS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font color="#FF7F50">데이터베이스</font> 구축
 +
*이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성과를 <font color="#FF7F50">일반 국민과 함께하고자</font> 홈페이지 기획
 +
----
 +
==='''Comment''' <small>'''논평'''</small>===
 +
#'''본 연구의 의의'''
 +
#*'''<font color="#6A5ACD">홈페이지 기획의 의의</font>''' : 3·1운동 참여자 수는 그동안 학계 연구와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에서 50만~200만 명으로 추산되기만 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구축한 이 데이터베이스는 일제 측 사료와 임정이 간행한 ‘한일관계사료집’, 외국인 선교사 보고 등 문서 8915건를 검토해 관련 정보 2만1407건을 추출, 정리한 결과이다. 사료를 총 망라하는 한편, 중복과 누락을 정리해 확실한 근거를 갖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font color="#6A5ACD">기념책자 발간의 의의</font>''' :모두가 쉽게 3·1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책자를 발간한 것이다. 이 책자는 종합편 한 책, 도별로 각 지역 3•1운동의 특성을 보여 주는 지역편 세 책, 3•1운동 당시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는 선언서•격문편 한 책 등 총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3·1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나아가는 길잡이이자, 그 자체로서도 의미 있는 연구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
#'''감상'''
 +
#*그간 상세하고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았던 3·1운동에 관한 자료를 한 군데에 모았으며, 다양한 검색 분류를 통해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끔 설정해두어 의미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홈페이지를 구현하였다.
 +
#*3·1운동의 개별 사건들을 시기와 지역 뿐 아니라 활동 유형과 시간대에 따라 분류하여 검색 및 정보를 수집할 때의 편의성을 높여주었다.
 +
#*인물정보의 가장 첫 화면에서는 인물의 이름이 한자로만 제시되어 있으므로, 한글을 병기하면 현대인들이 보기에 더욱 편할 것으로 생각된다.

2020년 9월 24일 (목) 09:47 기준 최신판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웹사이트 가기

Who 누가

  • 국사편찬위원회
    • 류준범 연구편찬정보화실장을 비롯한 수많은 직원
  • 자료 제공에 협력한 국내외 많은 기관
    • 국가기록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독립기념관, 연세대학교, 일본 시가현립대학교, 진관사 등
  • 여러 연구자들
    • 전성현, 이애숙, 김도훈, 이송순, 정숭교 선생님 등

When 언제

  • 홈페이지 공개 : 2019년 2월 20일
    • 2019년 12월 기념 책자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 발간
  • 연구 기간 : 2016년 - 2019년
    • 홈페이지 공개 후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자료 추가 진행 중

Where 어디서


What 무엇을

  • 현존하는 3·1운동 관련 국내외 사료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이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해 제공하는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How 어떻게

  1. 사건정보 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유형별 검색 - 기본유형 (시위, 철시, 파업, 휴학·휴교, 계획, 기타활동) / 시간 (새벽, 오전, 오후, 야간) / 행동양상 (만세, 집단항의, 파손·파괴, 폭행, 처단, 방화) / 탄압양상 (발포, 도검, 기타무기, 파괴, 방화) / 운동매체 (깃발, 문서, 노래, 구호, 불, 낙서, 기타) / 운동주체 (일반, 천도교도, 예수교도, 대종교도, 불교도, 유생, 상인, 노동자, 학생, 교사, 관공리)
    • 캘린더 검색
    • 상세 검색 - 사건명, 세부장소, 인물명, 사건 개요, 참가자수, 사망자수, 탄압기구명, 출처정보
    • 사건의 일시와 장소, 개요, 출처정보, 연관사건, 관련인물, 탄압기구 등에 관한 정보 제공
  2. 탄압정보 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출전구분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보고자료, 경성지법검사국문서, 일본외무성기록,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문, 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작성일, 문서제목, 작성자, 출처내용, 사건장소, 정보유형, 관련 한국사 DB 자료 링크 등을 제공
  3. 독립운동 / 동향정보 날짜, 행정구역,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출전구분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보고자료, 경성지법검사국문서, 일본외무성기록,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문, 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작성일, 문서제목, 작성자, 출처내용, 사건장소, 정보유형, 관련 한국사 DB 자료 링크 등을 제공

  1. 행정구역 행정구역의 직접 선택 혹은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행정구역 정보 -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도를 비롯한 각 도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분류
    • 행정구역 구분과 행정구역명, 설치 및 폐지일자, 행정구역에 관련된 사건 등에 관한 정보 제공
  2. 탄압기구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경찰 - 경무부, 경찰서, 파출소, 주재소
    • 헌병 - 헌병대본부, 헌병분대, 헌병분견소, 헌병주재소
    • 조선군 - 사령부, 사단, 여단, 연대
    • 기구의 이름, 규모, 유형, 설치일자, 폐지일자, 위치, 전거자료, 부가정보 등을 제공
  3. 세부장소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유형 - 마을_시가, 관공서_헌병, 관공서_경찰, 관공서_행정, 관공서_기타, 시장, 학교, 기타, 자연지물, 종교시설, 기타_영역중앙점
    • 위치, 설명, 시위정보, 관련 정보 목록 등을 제공
  4. 출처자료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정보 검색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자료, 일본외무성기록, 경성지법검사국문서,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보,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문서 검색 - 소요사건서류, 판결문, 도장관보고, 재한선교사자료, 일본외무성기록, 경성지법검사국문서, 한일관계사료집, 독립운동사략, 매일신보, 독립신보,신한민보, 영사관문서
    • 자료 구분, 문서 제목, 출처 내용, 사건일자 및 장소, 원문, 사건 정보 등 제공
  5. 인물정보 검색어를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 인물명, 관련문서, 문서번호, 적용죄명, 속성, 심급, 판결일, 주소지, 직업, 인물 설명 및 관련 사건 정보 등 제공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격문‧선언서의 제목, 현대문, 원문, 일역문, 작성자, 구분, 원본 이미지, 출처 등 제공


  • 헌병, 경찰 기구 분포도 - 1919년 3월 기준 헌병 및 경찰 기구 분포도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국내외 3·1운동 - 삼일운동 월별 총 시위, 참가자 수, 기본유형/행동양상/운동매체유형/주제유형 별 시위건수 등에 관한 정보를 표와 지도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헌병, 경찰 기구 분포도 - 1919년 3월 기준 헌병 및 경찰 기구 분포도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 권역별 주제도 -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의 세부지역/행동양상 유형/운동매체 유형/주제 유형별 시위건수, 월별 시위 빈도수, 일별 시위건수, 발포건수를 표와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

*통합검색, 행정구역 검색, 날짜기반 검색, 검색어 입력을 통해 기본적으로 원하는 자료 검색이 가능 *시위일자, 시위명, 시위 세부 장소, 시위유형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지도 속에서 시각적으로 구현 및 정보 제공


Why

  • 일제의 감시와 탄압, 의도적인 은폐 작업으로 감춰진 3·1운동의 진실을 찾고, 100주년을 뜻깊게 맞이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
  • 3·1운동 연구를 심화하고 3·1운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관련 기초 정보를 종합하고 GIS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 데이터베이스에 담긴 성과를 일반 국민과 함께하고자 홈페이지 기획

Comment 논평

  1. 본 연구의 의의
    • 홈페이지 기획의 의의 : 3·1운동 참여자 수는 그동안 학계 연구와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에서 50만~200만 명으로 추산되기만 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구축한 이 데이터베이스는 일제 측 사료와 임정이 간행한 ‘한일관계사료집’, 외국인 선교사 보고 등 문서 8915건를 검토해 관련 정보 2만1407건을 추출, 정리한 결과이다. 사료를 총 망라하는 한편, 중복과 누락을 정리해 확실한 근거를 갖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기념책자 발간의 의의 :모두가 쉽게 3·1운동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책자를 발간한 것이다. 이 책자는 종합편 한 책, 도별로 각 지역 3•1운동의 특성을 보여 주는 지역편 세 책, 3•1운동 당시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는 선언서•격문편 한 책 등 총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3·1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나아가는 길잡이이자, 그 자체로서도 의미 있는 연구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2. 감상
    • 그간 상세하고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았던 3·1운동에 관한 자료를 한 군데에 모았으며, 다양한 검색 분류를 통해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끔 설정해두어 의미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홈페이지를 구현하였다.
    • 3·1운동의 개별 사건들을 시기와 지역 뿐 아니라 활동 유형과 시간대에 따라 분류하여 검색 및 정보를 수집할 때의 편의성을 높여주었다.
    • 인물정보의 가장 첫 화면에서는 인물의 이름이 한자로만 제시되어 있으므로, 한글을 병기하면 현대인들이 보기에 더욱 편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