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수상작====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한정희와 나』''' <br> "수상작인 이기호의 ‘한정희와 나’는 타자에 대한 절대적 환대...)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개요==== | ||
+ | 제17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한정희와 나> 및 중앙일보 지면에 실린 심사평이다. | ||
====수상작==== | ====수상작====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6번째 줄: | 8번째 줄: | ||
<br> | <br> | ||
− | "수상작인 이기호의 ‘한정희와 나’는 타자에 대한 절대적 환대가 얼마나 허상에 불과한지 고백한다. 학교 폭력의 가해자이면서도 반성할 줄 모르는 한정희에 대한 이해의 실패와, 그런 실패를 소설로 쓸 수 없는 문학적 실패를 이중으로 경험하는 소설가 ‘나’의 속절없음은 윤리의 곤궁(困窮)을 드러낸다. 하지만 실패한다는 것은 정확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정확한 실패는 가장 절실한 문학의 윤리다. 치열한 무력감을 통해 문학의 실체와 미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학적 증언을 듣고 난 후 상처받을 권리와 위로해줄 의무는 이제 독자들에게 있다." | + | "수상작인 이기호의 ‘한정희와 나’는 타자에 대한 절대적 환대가 얼마나 허상에 불과한지 고백한다. 학교 폭력의 가해자이면서도 반성할 줄 모르는 한정희에 대한 이해의 실패와, 그런 실패를 소설로 쓸 수 없는 문학적 실패를 이중으로 경험하는 소설가 ‘나’의 속절없음은 윤리의 곤궁(困窮)을 드러낸다. 하지만 실패한다는 것은 정확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정확한 실패는 가장 절실한 문학의 윤리다. 치열한 무력감을 통해 문학의 실체와 미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학적 증언을 듣고 난 후 상처받을 권리와 위로해줄 의무는 이제 독자들에게 있다." - 김미현(대표집필 심사위원)<ref>[https://news.joins.com/article/21960596 타자에 대한 절대적 환대, 그 허구성 고백]</ref> |
− | |||
|} | |} |
2020년 7월 1일 (수) 22:00 기준 최신판
개요
제17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한정희와 나> 및 중앙일보 지면에 실린 심사평이다.
수상작
『한정희와 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