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후보작)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본 문서는 대담의 형식으로 진행된 심사평(김윤식 대표집필, 「2002년의 한국 소설 지적도」)의 일부를 발췌했음을 알린다. | |
===수상작=== | ===수상작===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 “책과 더불어 시작된 인류사의 어떤 양질의 부분이 소멸된 상태라고 하면 좀 거창해질까요. 그것이 바로 ‘인간다움’인데, 책의 종말이란 곧 ‘인간다움’의 종말인지 모른다는 것. ‘나’의 성목경 되기가 그것. 만일 이런 식의 해석을 두고 답이 먼저 나와 있음이라 하겠지요. 관념성 소설이 지닌 초대의 난점이라고나 할까요.”|} | + | “책과 더불어 시작된 인류사의 어떤 양질의 부분이 소멸된 상태라고 하면 좀 거창해질까요. 그것이 바로 ‘인간다움’인데, 책의 종말이란 곧 ‘인간다움’의 종말인지 모른다는 것. ‘나’의 성목경 되기가 그것. 만일 이런 식의 해석을 두고 답이 먼저 나와 있음이라 하겠지요. 관념성 소설이 지닌 초대의 난점이라고나 할까요.”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56번째 줄: | 57번째 줄: | ||
“제가 앞에서 언급한 끈적끈적한 인정주의, 그 샤머니즘적 엉겨붙임성이랄까 그런 것이지요. 『봄날은 간다』의 유행가 가락 속으로 얼버무리기가 그것.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다분히 한국적이라 하겠지요.” | “제가 앞에서 언급한 끈적끈적한 인정주의, 그 샤머니즘적 엉겨붙임성이랄까 그런 것이지요. 『봄날은 간다』의 유행가 가락 속으로 얼버무리기가 그것.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다분히 한국적이라 하겠지요.”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
+ | '''『숨은 샘』''' | ||
+ | |||
+ | |||
+ | “후일담계 문학이란 뜻이겠는데요. 그것도 한 수 깊은 그런 경지라는. 그렇기는 하나, 부처님 쪽으로 너무 빨리 간 것은 아닌지요. 부처님만이 구제할 수 있는, 혹은 그분의 가피를 입을 만큼 그 업이 무거웠던 증거인가요. 이 나라 사회가 치러야 될 민주 업장 말입니다. 거기에는 해피엔딩이 없다는 것, 아직도 여전히 그러하다는 것. 아니, 해피엔딩이란 것 자체가 원래 그러하다는 것, 이 세상의 물건이 아니라는 것. 작가는 이를 기억, 자세히는 ‘훼손된 기억’의 현태라 했군요.” | ||
+ | |||
+ | |||
+ | “시골에 있던 옛 대학 동창의 모친상에 가기 위해 그곳까지 간 여성 작가인 ‘나’가 마음을 바꾸어, 부처님 계신 천은사로 간 얘기. 샘이 숨겨진 곳 아닙니까. 얼마나 속이 탔으면 샘을 찾고자 했을까요.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샘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 했던가요.”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
+ | '''『달의 물』''' | ||
+ | “날개가 너무 커서 날지 못하는 새의 느낌이라고나 할까. 소설의 육체가 너무 살쪄 보행에 부자유롭다는 것. 짜임이나 구성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런 틀을 넘어선 곳에서 나오는 문제점들이 따로 있습니다. 이 문제를 제기해놓았다는 것에 오히려 이 작품의 의의가 있겠지요. 적어도 이 작품은 흔히 말해지는 수다스러움이라든가 입심과는 무관합니다. 작가 신씨 고유의 세계에 속하는 그런 원인이랄까 이유가 잠겨 있지요.”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
+ | '''『서울은 파스텔톤』''' | ||
+ | |||
+ | |||
+ | “오늘날 글쓰기란 이런 식으로밖에 할 수 없음의 간접적 호소가 아닐가요. 대문자 문학이나 소설이 불가능하다는 것. 만평으로밖에 도리가 없다는 것.”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
+ | !| | ||
+ | '''『의료원』''' | ||
+ | |||
+ | |||
+ | “지문도 묘사도 설명도 모조리 대화로 대치해놓았습니다. 무대가 있고, 등장인물이 떠들고 있고, 무대 아래서는 합창단이 있는 그런 고전적 예술 양식을 송두리째 깔아뭉개 써댄 형국입니다그려.” | ||
+ | |||
+ | |||
+ | “그런 고전적 통합 양식이란 실상 오늘날엔 있을 수 없다는 것. 말을 바꾸면 오늘의 현실에서 보면 무대만 달랑 있거나, 합창단만 따로 있어 각각 분리되었다는 것. 등장인물이 서 있을 자리가 아예 없는 형국이지요. 그렇다면 등장인물은 어디에 서야 할까. 허허벌판일 뿐. 곧 언어로 된 들판이지요.” | ||
|} | |} |
2020년 6월 13일 (토) 13:57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대담의 형식으로 진행된 심사평(김윤식 대표집필, 「2002년의 한국 소설 지적도」)의 일부를 발췌했음을 알린다.
수상작
『손풍금』
|
---|
후보작
『시취』
|
---|
『밀랍 호숫가로의 여행』
|
---|
『책과 함께 자다』
|
---|
『봄날은 간다』
|
---|
『숨은 샘』
|
---|
『달의 물』 “날개가 너무 커서 날지 못하는 새의 느낌이라고나 할까. 소설의 육체가 너무 살쪄 보행에 부자유롭다는 것. 짜임이나 구성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런 틀을 넘어선 곳에서 나오는 문제점들이 따로 있습니다. 이 문제를 제기해놓았다는 것에 오히려 이 작품의 의의가 있겠지요. 적어도 이 작품은 흔히 말해지는 수다스러움이라든가 입심과는 무관합니다. 작가 신씨 고유의 세계에 속하는 그런 원인이랄까 이유가 잠겨 있지요.” |
---|
『서울은 파스텔톤』
|
---|
『의료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