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DiaryMaterialOfJose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묵재일기(默齋日記)』, 이문건(李文楗))
(『쇄미록(瑣尾錄)』, 오희문(吳希文))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버튼클릭|[[JiamDiary|지암일기 DH연구 Wiki 페이지로 돌아가기 ]]}}
 
{{버튼클릭|[[JiamDiary|지암일기 DH연구 Wiki 페이지로 돌아가기 ]]}}
  
==='''전체 일기 목록'''===
+
==='''조선시대 생활일기 목록'''===
 
<br/>
 
<br/>
 
<center>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본격적으로 연구된 조선시대 일기 가운데 '''생활일기''' 범주로 포함할 수 있는 자료는 대략 '''40'''여 종에 이른다.<br/>아래의 표는 해당 40여 종의 자료와 그것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그동안의 연구를 개략적으로 정리한 것이다.</center>
 
<center>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본격적으로 연구된 조선시대 일기 가운데 '''생활일기''' 범주로 포함할 수 있는 자료는 대략 '''40'''여 종에 이른다.<br/>아래의 표는 해당 40여 종의 자료와 그것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그동안의 연구를 개략적으로 정리한 것이다.</center>
81번째 줄: 81번째 줄:
 
|}
 
|}
 
</center>
 
</center>
 +
<br/><br/>
  
 
==='''일기별 연구목록'''===
 
==='''일기별 연구목록'''===
====『묵재일기(默齋日記)』, 이문건(李文楗)====
+
====<span style="color:#646464">『'''묵재일기(默齋日記)'''』, 이문건(李文楗)</span>====
*『묵재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70여 편이 넘는다.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등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지면의 한계로 인해 해당 논저를 여기서 모두 소개하기는 어려우며, 최근 발표된 '[http://www.riss.kr/link?id=T15062978 조은숙, 「『默齋日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6쪽]'을 참고할 경우 그동안의 연구사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div style="text-align:justify">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70'''여 편이 넘는다.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등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최근 발표된 '<small>[http://www.riss.kr/link?id=T15062978 조은숙, 「『默齋日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6쪽]</small>'을 참고할 경우 그동안의 연구사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div>
  
===미암일기(眉巖日記), 류희춘(柳希春)===
+
====<span style="color:#646464">『'''미암일기(眉巖日記)'''』, 류희춘(柳希春)</span>====
*『미암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80여 편이 넘는다. 『묵재일기』와 마찬가지로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및 인물, 여성, 날씨, 여행, 점복, 과거, 관직, 학맥 등을 포함하는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지면의 한계로 인해 해당 논저에 대한 소개는 생략한다.
+
<div style="text-align:justify">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80'''여 편이 넘는다. 이문건의 『묵재일기』와 마찬가지로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및 인물, 여성, 날씨, 여행, 점복, 과거, 관직, 학맥 등을 포함하는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div>
  
===송간일기(松澗日記), 이정회(李庭檜)===
+
====<span style="color:#646464">『'''송간일기(松澗日記)'''』, 이정회(李庭檜)</span>====
===초간일기(草澗日記), 권문해(權文海)===
+
*<small>[http://www.riss.kr/link?id=T8548524 김성수, 「16世紀 鄕村醫療實態와 士族의 對應 : 『默齊日記』에 나타난 李文楗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small>
『초간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http://www.riss.kr/link?id=T9240901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http://www.riss.kr/link?id=T13568169 김병금, 「權文海의 『草澗日記』연구 -16세기 영남 선비의 삶과 문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쇄미록(瑣尾錄), 오희문(吳希文)===
+
====<span style="color:#646464">『'''초간일기(草澗日記)'''』, 권문해(權文海)</span>====
『쇄미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small>[http://www.riss.kr/link?id=T9240901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small>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 󰡔정신문화연구󰡕 19,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
*<small>[http://www.riss.kr/link?id=T13568169 김병금, 「權文海의 『草澗日記』연구 -16세기 영남 선비의 삶과 문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small>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8, 조선시대사학회, 1999.
+
*<small>[http://www.riss.kr/link?id=A101613145 김윤정, 「16~17세기 예천권씨가(醴泉權氏家)의 친족관계와 의례생활 -초간일기와 죽소부군일기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36, 국립민속박물관, 2015, 131-157쪽.]</small>
*김성희,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가장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한국가정관리학회, 2000.
+
 
*구지현, 「󰡔쇄미록󰡕에서 발견된 허난설헌의 시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 14, 열상고전연구회, 2001.
+
====<span style="color:#646464">『'''쇄미록(瑣尾錄)'''』, 오희문(吳希文)</span>====
*정성미, 「󰡔쇄미록(瑣尾錄)󰡕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small>[http://www.riss.kr/link?id=T1145057 오동환, 「吳希文의 『瑣尾錄』에 대하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small>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small>[http://www.riss.kr/link?id=A79860964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 『정신문화연구』19,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45-71쪽.]</small>
*이정수, 「16세기 중반~18세기 초의 화폐유통 실태」, 󰡔조선시대사학보󰡕 32, 조선시대사학회, 2005.
+
*<small>[http://www.riss.kr/link?id=A101951086 이성임, 「조선중기 오희문가의 상행위와 그 성격」, 『조선시대사학보』8, 조선시대사학회, 1999, 41-70쪽.]</small>
*신동원, 「조선 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역사비평󰡕 75, 역사비평사, 2006.
+
*<small>[http://www.riss.kr/link?id=T7731097 유현승,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양반의 경제생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small>
*김성진, 「󰡔瑣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4, 동양한문학회, 2007.
+
*<small>[http://www.riss.kr/link?id=A100455568 김성희,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가장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18, 한국가정관리학회, 2000, 13-23쪽.]</small>
*박미해, 「조선중기 수령의 가족부양으로 본 장자(長子)의 역할과 가(家)의 범위 -오희문가의 평강생화(1596-1600년)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75, 한국사회사학회, 2007.
+
*<small>[http://www.riss.kr/link?id=A19614590 구지현, 「『쇄미록』에서 발견된 허난설헌의 시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14, 열상고전연구회, 2001, 183-205쪽.]</small>
*차경희, 「󰡔쇄미록(鎖尾錄)󰡕을 통해본 16세기 동물성 식품의 소비 현황」,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7.
+
*<small>[http://www.riss.kr/link?id=T8986109 정성미, 「『쇄미록(瑣尾錄)』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small>
*김효주, 「󰡔쇄미록(鎖尾錄)󰡕에 나타난 16세기 사대부 오희문의 삶과 교육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small>[http://www.riss.kr/link?id=T9240901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small>
*방기철, 「임진왜란기 오희문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아시아문화연구󰡕 24,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
*<small>[http://www.riss.kr/link?id=A101951189 이정수, 「16세기 중반~18세기 초의 화폐유통 실태」, 『조선시대사학보』32, 조선시대사학회, 2005, 95-148쪽.]</small>
*정성미, 「조선시대 사노비의 사역영역과 사적영역 -󰡔瑣尾錄󰡕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38, 전북사학회, 2011.
+
*<small>[http://www.riss.kr/link?id=A77046306 신동원, 「조선 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 『역사비평』75, 역사비평사, 2006, 344-391쪽.]</small>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 󰡔쇄미록(鎖尾錄)󰡕연구」, 󰡔조선시대사학보󰡕 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
*<small>[http://www.riss.kr/link?id=A76462872 김성진, 「『瑣尾錄』을 통해 본 士族의 生活文化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24, 동양한문학회, 2007, 177-206쪽.]</small>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에 나타난 꿈의 기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small>[http://www.riss.kr/link?id=A102575137 박미해, 「조선중기 수령의 가족부양으로 본 장자(長子)의 역할과 가(家)의 범위 -오희문가의 평강생화(1596-1600년)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75, 한국사회사학회, 2007, 187-218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75557231 차경희, 「『쇄미록(瑣尾錄)』을 통해본 16세기 동물성 식품의 소비 현황」,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23,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7, 703-719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T12260438 김효주, 「『쇄미록(瑣尾錄)』에 나타난 16세기 사대부 오희문의 삶과 교육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100430651 방기철, 「임진왜란기 오희문의 전쟁체험과 일본인식」, 『아시아문화연구』24,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106-129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82612477 정성미, 「조선시대 사노비의 사역영역과 사적영역 -『瑣尾錄』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사학』38, 전북사학회, 2011, 77-106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101951457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 『쇄미록(瑣尾錄)』연구」,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37-70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101951534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에 나타난 꿈의 기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보』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273-305쪽.]</small>
 +
*<small>[http://www.riss.kr/link?id=A106147892 문현아·차승은·은기수, 「조선시대 수면의 의미 -일기류를 통해 본 수면과 밤 시간에 관한 일 고찰」, 『사회와 역사』121, 한국사회사학회, 2019, 165-194쪽.]</small>
  
 
===고대일록(孤臺日錄),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孤臺日錄), 정경운(鄭慶雲)===

2020년 4월 6일 (월) 21:59 기준 최신판

지암일기 DH연구 Wiki 페이지로 돌아가기

목차

조선시대 생활일기 목록


현재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본격적으로 연구된 조선시대 일기 가운데 생활일기 범주로 포함할 수 있는 자료는 대략 40여 종에 이른다.
아래의 표는 해당 40여 종의 자료와 그것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그동안의 연구를 개략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연번 자료명 저자 기록시기 저술지역
01 묵재일기(默齋日記) 이문건(李文楗) 1535-1567년 서울, 성주
02 미암일기(眉巖日記) 류희춘(柳希春) 1567-1577년 서울, 담양, 해남
03 송간일기(松澗日記) 이정회(李庭檜) 1577-1612년 횡성, 경상북도
04 초간일기(草澗日記) 권문해(權文海) 1580-1591년 서울, 공주, 안동, 대구
05 쇄미록(瑣尾錄) 오희문(吳希文) 1591-1601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06 고대일록(孤臺日錄) 정경운(鄭慶雲) 1592-1609년 함양
07 모당일기(慕堂日記) 손처눌(孫處訥) 1600-1629년 대구
08 계암일록(溪巖日錄) 김령(金坽) 1603-1641년 안동
09 매원일기(梅園日記) 김광계(金光繼) 1603-1645년 안동
10 우곡일기(愚谷日記) 이유간(李惟侃) 1609-1618년 천안, 서울
11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김택룡(金澤龍) 1612-1617년 안동
12 인재일록(忍齋日錄) 조극선(趙克善) 1609-1623년 예산, 서울
13 야곡일록(冶谷日錄) 조극선(趙克善) 1624-1635년 예산, 서울
14 죽소부군일기(竹所府君日記) 권별(權鼈) 1625-1626년 예천
15 병자일기(丙子日記) 남평 조씨(南平曺氏) 1636-1640년 충청도
16 묵재일기(默齋日記) 김염(金磏) 1636-1640년 안동
17 여온일기(汝溫日記) 김선(金石先) 1639-1643년 안동
18 과헌일기(果軒日記) 김순의(金純義) 1662-1714년 성주, 오천
19 지암일기(支菴日記) 윤이후(尹爾厚) 1692-1699년 해남
20 청대일기(淸臺日記) 권상일(權相一) 1702-1759년 상주, 서울
21 지문일기(咫聞日記) 김두벽(金斗璧) 1708-1713년 서산
22 승총명록(勝聰明錄) 구상덕(仇相德) 1725-1761년 고성(경남)
23 역중일기(曆中日記) 최흥원(崔興遠) 1735-1786년 대구
24 이재난고(頤齋亂藁) 황윤석(黃胤錫) 1738-1791년 고창
25 일기(日記) 노상추(盧尙樞) 1763-1829년 구미, 서울
26 흠영(欽英) 유만주(兪晩柱) 1775-1787년 서울
27 하와일록(河窩日錄) 류의목(柳懿睦) 1796-1802년 안동
28 남천일록(南遷日錄) 심노숭(沈魯崇) 1801-1806년 부산
29 일록(日錄) 신현(申絢) 1808-1821년 광주(경기), 서울
30 경산일록(經山日錄) 정원용(鄭元容) 1802-1873년 서울
31 감계록(監戒錄) 홍낙건(洪洛建) 1823-1860년 문경
32 숭재일록(崇齋日錄) 김두흠(金斗欽) 1845-1867년 안동
33 간정일록(艱貞日錄) 김령(金欞) 1862-1863년 영광
34 단계일기(端溪日記) 김인섭(金麟燮) 1846-1903년 단성
35 하재일기(荷齋日記) 지규식(池圭植) 1891-1911년 양평, 서울



일기별 연구목록

묵재일기(默齋日記)』, 이문건(李文楗)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70여 편이 넘는다.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등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최근 발표된 '조은숙, 「『默齋日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6쪽'을 참고할 경우 그동안의 연구사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미암일기(眉巖日記)』, 류희춘(柳希春)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80여 편이 넘는다. 이문건의 『묵재일기』와 마찬가지로 가족, 의례, 교유, 경제, 교육,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복식, 건축, 풍속, 노비, 요역, 예술 및 인물, 여성, 날씨, 여행, 점복, 과거, 관직, 학맥 등을 포함하는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송간일기(松澗日記)』, 이정회(李庭檜)

초간일기(草澗日記)』, 권문해(權文海)

쇄미록(瑣尾錄)』, 오희문(吳希文)

고대일록(孤臺日錄), 정경운(鄭慶雲)

『고대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노영구, 「전쟁과 일상 -󰡔고대일록(孤臺日錄)󰡕을 통한 임진왜란 이해」, 󰡔역사와 현실󰡕 64, 한국역사연구회, 2007.
  • 정우락, 「󰡔고대일록󰡕에 나타난 서술의식과 위기의 일상」, 󰡔퇴계학과 유교문화󰡕 44,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9.
  • 박병련, 「󰡔고대일록(孤臺日錄)󰡕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상황과 의병활동의 실상」, 󰡔남명학󰡕 15, 남명학연구원, 2010.
  • 신병주, 「󰡔고대일록󰡕을 통해서 본 정경운의 영원한 스승, 정인홍」, 󰡔남명학󰡕 15, 남명학연구원, 2010.
  • 한명기, 「󰡔孤臺日錄󰡕에 나타난 明軍의 모습」, 󰡔남명학󰡕 15, 남명학연구원, 2010.
  • 원창애,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남명학연구󰡕 33,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 최경진, 「󰡔孤臺日錄󰡕을 통해 본 鄭慶雲의 師友關係와 學問 傾向」,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민덕기, 「임진왜란기 정경운의 󰡔孤臺日錄󰡕에서 보는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 󰡔한일관계사연구󰡕 45, 한일관계사학회, 2013.
  • 윤호진, 「고대 정경운(孤臺 鄭慶雲)의 시문(詩文)과 작품세계(作品世界)」, 󰡔남명학연구󰡕 41,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 신병주, 「16세기 일기 자료에 나타난 꿈의 기록과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보󰡕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장경남, 「󰡔고대일록󰡕으로 본 정경운의 전란 극복의 한 양상」, 󰡔퇴계학과 유교문화󰡕 57,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 박다현, 「󰡔고대일록(孤臺日錄)󰡕에 나타난 정경운의 인물평가」, 󰡔역사교육논집󰡕 59, 역사교육학회, 2016.

모당일기(慕堂日記), 손처눌(孫處訥)

『모당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형수, 「17세기초 대구사림의 형성과 분화 -손처눌의 󰡔모당일기(慕堂日記)󰡕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36, 역사교육학회, 2006.

계암일록(溪巖日錄), 김령(金坽)

『계암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성기옥,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진단학보󰡕 112, 진단학회, 2011.
  • 오용원, 「󰡔계암일록(溪巖日錄)󰡕을 통해 본 17세기 예안(禮安) 사족(士族)의 일상」, 󰡔퇴계학논집󰡕 12,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 이정철, 「󰡔계암일록󰡕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예안현의 부세 상황」, 󰡔한국사학보󰡕 53, 고려사학회, 2013.
  • 차미희, 「󰡔溪巖日錄󰡕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文科경상도 鄕試」, 󰡔한국사학보󰡕 53, 고려사학회, 2013.
  • 이지은, 「17-18세기 경상도 士族의 科擧 體驗 -󰡔溪巖日錄󰡕과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최은주,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영남지방 지식인과 과거시험의 형상화」, 󰡔대동한문학󰡕 38, 대동한문학회, 2013.
  • 김정운, 「17세기 예안 사족 김령의 교유 양상」, 󰡔조선시대사학보󰡕 70, 조선시대사학회, 2014.
  • 박종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들의 의례생활」, 󰡔국학연구󰡕 24, 한국국학진흥원, 2014.
  • 이근호, 「󰡔溪巖日錄󰡕을 통해 본 金坽의 정치 활동과 정세 인식」, 󰡔역사와실학󰡕 54, 역사실학회, 2014.
  • 이성임, 「󰡔溪巖日錄 1603-1641󰡕에 대한 자료적 검토」,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 최은주, 「󰡔계암일록󰡕을 통해 본 17세기 예안사족 김령의 인맥기반 형성과 특징」, 󰡔퇴계학과 유교문화󰡕 55,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 채휘균, 「조선중기 과거시험에 대한 미시적 연구 -󰡔계암일록(溪巖日錄)󰡕에 나타난 과거시험장의 폐단과 갈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6,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 김나영, 「󰡔溪巖日錄󰡕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嶺南士族의 儒疏」,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일기에 나타난 혼인과 제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박종천, 「조선 중기 광산김씨 예안파의 의례 실천과 일상생활」,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이인복, 「인조대(仁祖代) 교생고강(校生考講)의 정비와 실태 -경상도지역 일기자료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130, 대구사학회, 2018.

매원일기(梅園日記), 김광계(金光繼)

『매원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김명자, 「󰡔매원일기(梅園日記)(1603_1644)󰡕를 통해 본 예안 사족 김광계(金光繼)의 관계망」, 󰡔대구사학󰡕 129, 대구사학회, 2017.
  • 박종천, 「조선 중기 광산김씨 예안파의 의례 실천과 일상생활」,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 정정남 외 5인,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 새물결, 2017.

우곡일기(愚谷日記), 이유간(李惟侃)

『우곡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이선희, 「󰡔愚谷日記󰡕를 통해 본 17세기 수령의 일상업무」, 󰡔역사민속학󰡕 18, 한국역사민속학회, 2004.
  • 이선희, 「17세기 수령의 ‘接賓客’과 그 성격 : 天安郡守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75, 한국사학회, 2004.
  • 이선희, 「17~18世紀 忠淸地域 守令의 日常業務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 김택룡(金澤龍)

『조성당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윤성훈, 「문학과 일상, 혹은 비일상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를 통해 본 17세기 초 영남 사족의 일상 속의 문화생활」, 󰡔한문학논집󰡕 35, 근역한문학회, 2012.
  • 이욱, 「17세기 초반 예안 사족의 토지소유 분쟁과 그 성격」, 󰡔고문서연구󰡕 40, 한국고문서학회, 2012.
  •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일기에 나타난 혼인과 제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조지형, 「조성당 김택룡의 예안 생활과 시조 창작」, 󰡔국학연구󰡕 35, 한국국학진흥원, 2018.

인재일록(忍齋日錄)과 야곡일록(冶谷日錄), 조극선(趙克善)

『인재일록』 및 『야곡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안정은, 「冶谷 趙克善의 忍齋日錄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정은, 「󰡔인재일록(忍齋日錄)󰡕을 통해 본 야곡 조극선의 수학기(修學期)모습」, 󰡔한문학보󰡕 31, 우리한문학회, 2014.
  • 김동석, 「과거시험의 공동제술에 대한 연구」, 󰡔고문서연구󰡕 47, 한국고문서학회, 2015.
  • 정수환, 「17세기 전반 趙克善의 賣買기록과 用錢경험」, 󰡔조선시대사학보󰡕 80, 조선시대사학회, 2017.
  • 원창애, 「조극선(趙克善) 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전반기의 과거 실태」, 󰡔조선시대사학보󰡕 83, 조선시대사학회, 2017.
  • 김학수, 「조극선의 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지식인의 師弟觀, ‘숨김과 드러냄’」, 󰡔장서각󰡕 38,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손계영, 「17세기 사대부가의 종이 사용과 공급 -조극선의 일기를 중심으로」, 󰡔장서각󰡕 38,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주영하, 「1609~1623년 忠淸道 德山縣 士大夫家의 歲時飮食」, 󰡔장서각󰡕 38,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 이민주, 「충청도 지역 17세기 사대부의 의례별 복식연구」, 󰡔서강인문논총󰡕 51,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 허원영, 「17세기 초 호서지역 양반사족 친족집단 내 膳物의 내용과 성격 -趙克善의 󰡔忍齋日錄󰡕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51,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 허원영, 「趙克善의 󰡔忍齋日錄󰡕을 통해 본 膳物의 내용과 성격 -비혈연집단 및 官으로부터의 膳物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66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죽소부군일기(竹所府君日記), 권별(權鼈)

『죽소부군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일기에 나타난 혼인과 제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박종천, 「조선 중기 광산김씨 예안파의 의례 실천과 일상생활」, 󰡔국학연구󰡕 33, 한국국학진흥원, 2017.

병자일기(丙子日記), 남평 조씨(南平曺氏)

『병자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박경신, 「󰡔병자일기(丙子日記)󰡕 연구(硏究)」, 󰡔국어국문학󰡕 104, 국어국문학회, 1990.
  • 박경신, 「󰡔丙子日記󰡕의 隨筆的 性格」, 󰡔울산어문논집󰡕 7,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1.
  • 김영춘, 「병자일기에 나타난 17세기 국어연구 -음운 변화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12, 청람어문학회, 1994.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김경화, 「󰡔丙子日記󰡕에 대한 女性文學的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근필, 「󰡔병자일기󰡕시기 남이웅가의 경제생활」, 󰡔농업사연구󰡕 3, 한국농업사학회, 2004.
  • 여은지, 「병자일기의 표기와 음운 변화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한효정, 「17世紀前後 兩班家 婦人의 經濟活動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함정옥, 「남평 조씨 󰡔丙子日記󰡕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정우봉, 「조선시대 국문 일기문학의 시간의식과 회상(回想)의 문제」, 󰡔고전문학연구󰡕 39, 한국고전문학회, 2011.
  • 정우봉, 「남평조씨 󰡔병자일기󰡕의 성격과 작품공간」,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5,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 조혁연, 「󰡔병자일기󰡕에 나타난 17세기 전기의 私奴婢」, 󰡔중원문화연구󰡕 21,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3.
  • 조혁연, 「󰡔병자일기󰡕에 나타난 17세기 충주 이안지역의 農法」, 󰡔중원문화연구󰡕 22,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4.
  • 박경신, 「󰡔丙子日記󰡕에 나타난 17세기 중엽 사대부집안 제사의 양상과 의미」, 󰡔진단학보󰡕 127, 진단학회, 2016.
  • 김보현, 「󰡔병자일기󰡕 화자의 시간 인식과 기술 방식」, 󰡔기호학연구󰡕 55, 한국기호학회, 2018.

묵재일기(默齋日記), 김염(金磏)

김염의 『묵재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여온일기(汝溫日記), 김선(金石先)

『여온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과헌일기(果軒日記), 김순의(金純義)

『과헌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김정운, 「18세기 경상도 사족의 거주 방식과 가족 관계 -김순의(金純義)(1645-1714) 가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69, 역사교육학회, 2018.

지암일기(支菴日記), 윤이후(尹爾厚)

『지암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정윤섭, 「조선후기 海南尹氏家의 海堰田개발과 島嶼·沿海 經營」,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정윤섭, 「16,17세기 해남윤씨(海南尹氏)의 화산(花山) 죽도(竹島) 해언전(海堰田) 개간 -윤이후(尹爾厚)의 󰡔지암일기(支菴日記)󰡕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46, 호남사학회, 2012.
  • 김경숙, 「17세기말 향촌 사대부의 생활과 여행 -海南尹氏 尹爾厚의 󰡔支菴日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71,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 김경숙, 「17세기말 사대부가의 喪葬禮와 居喪生活」, 󰡔한국사연구󰡕 172, 한국사연구회, 2016.
  • 김경숙, 「을병대기근기 향촌사회의 경험적 실상과 대응」, 󰡔역사와실학󰡕 61, 역사실학회, 2016.
  • 백광렬, 「조선후기 한 지방양반의 친족연결망-海南尹氏 尹爾厚 친족의 사례 검토-」, 󰡔태동고전연구󰡕 39,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2017.
  • 박영민, 「󰡔지암일기󰡕를 통해 본 「일민가」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 󰡔한국고전연구󰡕 40,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 백광렬, 「조선시대 양반 지배의 특권성과 공공성」, 󰡔朝鮮時代史學報󰡕 86, 조선시대사학회, 2018.

청대일기(淸臺日記), 권상일(權相一)

『청대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장유승, 「󰡔淸臺日記󰡕 硏究 -書誌ㆍ語文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서지학보󰡕 30, 한국서지학회, 2006.
  • 김소은, 「18세기 嶺南 士族의 일상과 생활의례(Ⅰ)」, 󰡔사학연구󰡕 88, 한국사학회, 2007.
  • 김효경, 「󰡔淸臺日記󰡕를 통해서 본 18세기 士族의 편지 往來」, 󰡔사학연구󰡕 88, 한국사학회, 2007.
  • 노혜경, 「18세기 한 嶺南 南人의 관직생활」, 󰡔사학연구󰡕 88, 한국사학회, 2007.
  • 전경목, 「조선후기 지방유생들의 修學과 과거 응시 -권상일의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88, 한국사학회, 2007.
  • 최은주, 「18세기 어느 울산부사를 통해 본 지방관 글쓰기의 실제 -청대(淸臺) 권상일(權相一)의 울산부사 시절을 중심으로-」, 󰡔영남학󰡕 16,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31, 동양한문학회, 2010.
  • 정수환, 「18세기 권상일의 시장접촉과 화폐경제생활」, 󰡔사학연구󰡕 104, 한국사학회, 2011.
  • 이지은, 「17-18세기 경상도 士族의 科擧 體驗 -󰡔溪巖日錄󰡕과 󰡔淸臺日記󰡕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최은주, 「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영남지방 지식인과 과거시험의 형상화」, 󰡔대동한문학󰡕 38, 대동한문학회, 2013.
  •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일기에 나타난 혼인과 제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우인수, 「영남 남인 권상일의 정치사회적 활동과 위상」, 󰡔민족문화논총󰡕 6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 이수환,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민족문화논총󰡕 6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 전성건, 「청대 권상일의 일상과 기억 -󰡔淸臺日記󰡕의 관혼상제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6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 정은진, 「󰡔청대일기󰡕 소재 청대 권상일의 한시와 그 성격」, 󰡔민족문화논총󰡕 62,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지문일기(咫聞日記), 김두벽(金斗璧)

『지문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경숙, 「18세기 陵參奉 金斗璧의 관직생활과 王陵守護 -󰡔咫聞日記󰡕를 중심으로」, 󰡔규장각󰡕 28,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5.

승총명록(勝聰明錄), 구상덕(仇相德)

『승총명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전성호, 「1725-1761년간 慶尙道 固城地方의 物價水準에 관한 硏究 -慶尙道 固城縣 󰡔勝聰明錄󰡕分析」, 󰡔태동고전연구󰡕 13,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6.
  • 이명희, 「조선후기 공동체윤리규범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생존윤리적 특징」, 󰡔태동고전연구󰡕 1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0.
  • 이명희, 󰡔朝鮮後期 共同體 倫理規範의 特性에 관한 연구 : 『勝聰明錄』과 <南平文氏古文書>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김엘리, 「英祖代 慶尙道 固城의 賑恤施策에 관한 연구 -󰡔勝聰明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엘리, 「󰡔勝聰明錄󰡕을 통해서 본 慶尙道 固城의 賑恤施策」, 󰡔역사민속학󰡕 30,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 전경목 외, 󰡔승총명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향촌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 김건우, 「조선후기 어느 지역민의 지방관 인식 -구상덕의 󰡔승총명록󰡕을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45, 한국고문서학회, 2014.
  • 박정희, 「초등학교 생활사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안 -조선 시대 일기 자료 승총명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역중일기(曆中日記), 최흥원(崔興遠)

『역중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오용원, 「崔興遠의 󰡔曆中日記󰡕를 통해 본 영남선비의 일상」, 󰡔대동한문학󰡕 45, 대동한문학회, 2015.
  • 정진영, 「부자들의 빈곤2 -18세기 중반 영남 한 향촌 양반지주가의 경제생활-」, 󰡔대구사학󰡕 129, 대구사학회, 2017.
  • 정진영, 「18세기 일기자료를 통해본 사노비의 존재형태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역중일기(曆中日記)󰡕(1735∼1786)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53, 한국고문서학회, 2018.
  • 조정현, 「󰡔역중일기󰡕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향약과 마을공동체 운영」, 󰡔영남학󰡕 67,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 김명자, 「󰡔역중일기(曆中日記)󰡕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국학연구󰡕 38호, 2019.
  • 이욱, 「최흥원의 󰡔역중일기(曆中日記)󰡕에 나타난 상 제례 운영의 특징」, 󰡔국학연구󰡕 38호, 2019.
  • 정환국,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崔興遠의 시세계와 내면 -󰡔역중일기(曆中日記)󰡕 내 한시(漢詩)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38호, 2019.
  • 정진영,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일기자료를 통해본 18세기 혼인풍속 -百弗庵 崔興遠의 󰡔曆中日記󰡕(1735~1786)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54집, 2019.

이재난고(頤齋亂藁), 황윤석(黃胤錫)

  • 『이재난고』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50여 편이 넘는다. 분량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묵재일기』, 『미암일기』와 마찬가지로 서술 내용이 풍부하기에 가족, 교유, 경제, 정치, 질병, 의약, 문예, 독서, 출판, 풍속, 예술, 여행, 과거, 관직, 풍수, 국어, 천문, 역산, 지리, 지역사 등을 포함하는 다방면에서의 연구 성과가 축적된 상황이다. 지면의 한계로 인해 해당 논저를 여기서 모두 소개하기는 어려우며, 최근 발표된 '이상봉, 「頤齋 黃胤錫의 西行漢詩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18쪽'을 참고할 경우 『이재난고』와 관련된 그동안의 연구사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기(日記), 노상추(盧尙樞)

노상추의 『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문숙자, 「조선후기 양반(兩班)의 일상과 가족내외의 남녀관계 -노상추(盧尙樞)의 〈일기(1763-1829)〉를 중심으로-」󰡔고문서연구󰡕 28, 한국고문서학회, 2006.
  • 김경숙, 「조선후기 산송(山訟)과 상언(上言),격쟁(擊錚) -노상추가(盧尙樞家)와 박춘노가(朴春魯家)의 소송을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33, 한국고문서학회, 2008.
  • 정해은, 「조선 후기 무신의 중앙 관료생활 연구 -《盧尙樞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43, 한국사연구회, 2008.
  • 문숙자, 󰡔68년의 나날들, 조선의 일상사󰡕, 너머북스, 2009.
  • 김성우, 「19세기 초반 노상추(盧尙樞)의 백운동 별업(別業) 조성과 경영」, 󰡔역사와 현실󰡕 78, 한국역사연구회, 2010.
  • 정정남, 「18세기 한 武臣의 일기에 기록된 궁궐과 한양의 공간이용에 관한 정보 -󰡔노상추일기󰡕분석을 통하여」,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 이정수, 「조선후기 盧尙樞家의 재산변동과 농업경영」, 󰡔지역과 역사󰡕 29, 부경역사연구소, 2011.
  • 이성임, 「조선후기 호적을 통해 본 계보와 사회적 네트워크; 조선후기 경상도 한 무반가(武班家)의 가족구조 재구성 -호구단자와 일기의 비교검토」, 󰡔대동문화연구󰡕 83,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3.
  • 이정수, 「조선후기 盧尙樞家 奴婢의 역할과 저항」, 󰡔지역과 역사󰡕 34, 부경역사연구소, 2014.
  • 김준형, 「18·19세기 무관(武官) 노상추(盧尙樞)의 금양활동(禁養活動)」, 󰡔영남학󰡕 63,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 이상호, 「󰡔노상추 일기󰡕의 문화산업적 활용 가능성과 그 방법」, 󰡔글로벌문화콘텐츠󰡕 3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 하명준, 「정조대 영남 무관 노상추의 지역 정체성과 북방 관직활동」, 󰡔영남학󰡕 66,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18.

흠영(欽英), 유만주(兪晩柱)

  • 『흠영』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30여 편이 넘는다. 조선시대 단일 생활일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 가운데 『미암일기』, 『묵재일기』, 『이재난고』 다음으로 누적 연구량이 많다고 하겠다. 특히 『미암일기』, 『묵재일기』, 『이재난고』의 경우 그 서술 내용의 풍부함으로 인해 여러 방면의 주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에 비해, 『흠영』은 주로 독서 체험과 의약 관련 기록이 많기에 상대적으로 독서활동, 도서출판, 서적유통, 서화수장, 의료환경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지면의 한계로 인해 해당 논저를 여기서 모두 소개하기는 어려우며, 그 가운데 '김하라, 「兪晩柱의 『欽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7쪽'을 참고할 경우 2011년까지 이루어진 『흠영』 연구의 개략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김하라는 2012년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15여 편의 『흠영』 관련 논고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7편의 논문을 연구결과물로 발표하였으며, 2015년에는 본격적인 『흠영』 선집으로서 '『일기를 쓰다1』, 돌베개, 2016.'과 '『일기를 쓰다2』, 돌베개, 2017.'를 출간하였다. 『흠영』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박사학위논문을 저술하고 이어 여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함과 동시에 번역본까지 간행하였음을 고려할 때, 『흠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해당 연구자의 여러 논저들이 효과적인 참고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판단된다.

하와일록(河窩日錄), 류의목(柳懿睦)

『하와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명자, 「󰡔하와일록(河窩日錄)(1796∼1802)󰡕을 통해 본 풍산유씨(豊山柳氏) 겸암파(謙巖派)의 관계망」, 󰡔대구사학󰡕 124, 대구사학회, 2016.
  •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일기에 나타난 혼인과 제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남천일록(南遷日錄), 심노숭(沈魯崇)

『남천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영진, 「유배인 심노숭의 孤獨과 文筆로써의 消愁 -유배일기 󰡔南遷日錄󰡕을 중심으로」, 󰡔한문학논집󰡕 37, 근역한문학회, 2013.
  • 정우봉, 「沈魯崇의 󰡔南遷日錄󰡕에 나타난 내면고백과 소통의 글쓰기」, 󰡔한국한문학연구󰡕52집, 한국한문학회, 2013.
  • 안대회, 「18,19세기의 음식취향과 미각에 관한 기록 -심노숭(沈魯崇)의 󰡔효전산고(孝田散稿)󰡕와 󰡔남천일록(南遷日錄)󰡕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 김엘리, 「19세기 초 孝田 沈魯崇의 流配生活 硏究 -󰡔南遷日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신승훈, 「󰡔南遷日錄󰡕의 문화적 의미 -落魄의 기록, 文化가 되다」, 󰡔동양한문학연구󰡕 48, 동양한문학회, 2017.
  • 김광재, 「유배시기 沈魯崇의 蘇東坡 지향과 󰡔一日百省集(南遷日錄)󰡕」, 󰡔사학연구󰡕 132, 한국사학회, 2018.

일록(日錄), 신현(申絢)

신현의 『일록』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오보라, 「申絢의 󰡔日錄󰡕연구 -기록의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경산일록(經山日錄), 정원용(鄭元容)

『경산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허경진, 「연세대학교 소장 고서의 문헌적 가치 -13종 저술을 통해본 관인 정원용의 기록태도」, 󰡔동방학지󰡕 14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9.
  • 김미선, 「한글산문 「당저등극시연설(當苧登極時筵說)」의 성립과정 재론 -󰡔경산일록(經山日錄)󰡕 소재 철종등극 과정 기록과 「긔유긔라」와의 대비를 통해서-」, 󰡔어문논집󰡕 62, 민족어문학회, 2010.
  • 조경아, 「장악원 무동과 기녀의 춤을 사가(私家)에 내려주다 -정원용 회방연(回榜宴)의 사례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43,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감계록(監戒錄), 홍낙건(洪洛建)

『감계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오용원, 「󰡔감계록(監戒錄)󰡕을 통해본 19세기 전반 함창 재지사족의 생활양식(生活樣式)」, 󰡔영남학󰡕 18,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10.

숭재일록(崇齋日錄), 김두흠(金斗欽)

『숭재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미영, 「19-20세기 풍산김씨 일기를 통해본 의례생활」, 󰡔국학연구󰡕 35, 한국국학진흥원, 2018.
  • 이근호, 「김두흠의 관료 사회 인적네트워크와 현실 대응」, 󰡔국학연구󰡕 36, 한국국학진흥원, 2018.

간정일록(艱貞日錄), 김령(金欞)

『간정일록』과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경옥, 「󰡔艱貞日錄󰡕을 통해 본 金欞(1805-1866)의 임자도 유배생활」, 󰡔도서문화󰡕 37,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1.
  • 정진영, 「섬, 풍요의 공간-19세기 중반 한 유배객의 임자도 생활-」, 󰡔고문서연구󰡕 43, 한국고문서학회, 2013.
  • 이영숙, 「해기옹 금령의 한시연구 -󰡔간정일록󰡕의 유배시를 중심으로-」, 󰡔남명학연구󰡕 48,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 김미선, 「󰡔간정일록(艱貞日錄)󰡕의 기록 성향과 특징」, 󰡔한국문학연구󰡕 54,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 김미선, 「임자도 유배에 관한 父子의 기록 읽기」, 󰡔도서문화󰡕 50,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단계일기(端溪日記), 김인섭(金麟燮)

『단계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김경용, 「일기자료를 통해 본 조선사회의 家學사례 연구1-단계 김인섭(1827-1903)의 세 아들 경우-」, 󰡔교육사학연구󰡕 25, 교육사학회, 2015.
  • 김미선, 「임자도 유배에 관한 父子의 기록 읽기」, 󰡔도서문화󰡕 50,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7.
  • 안승환, 「19세기 단성 재지사족 김인섭의 사회관계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하재일기(荷齋日記), 지규식(池圭植)

『하재일기』와 관련해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는 다음과 같다.

  • 방병선,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강좌미술사󰡕 34,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 차은정, 「한말 貢人의 선물 교환과 사회관계 -「荷齋日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5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김종철,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19세기 말기 판소리 창자와 향유층의 동향」, 󰡔판소리연구󰡕 32, 판소리학회, 2011.
  • 김헌주, 「마을주민의 시선에서 본 의병운동(1894~1909)」, 󰡔한국사학보󰡕 49, 고려사학회, 2012.
  • 박은숙, 「燔磁會社의 사원 개별운영체제와 彩器 생산」, 󰡔한국사연구󰡕 159, 한국사연구회, 2012.
  • 박은숙, 「社員 池圭植의 러일전쟁과 을사조약을 둘러싼 시국 인식」, 󰡔한국인물사연구󰡕 17, 한국인물사연구소, 2012.
  • 김남희,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김소영, 「전통과 근대를 살아간 인물, 荷齋 池圭植의 ‘일상’을 통해 본 그의 사상과 종교」, 󰡔한국인물사연구󰡕 19,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 박은숙, 「경기도 분원 마을 池圭植의 자녀 혼사와 사돈 관계(1891~1910)」, 󰡔한국인물사연구󰡕 19,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 유호선, 「󰡔荷齋日記󰡕를 통해 본 貢人 池圭植의 삶과 문학」, 󰡔한국인물사연구󰡕 19,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 김남희, 「조선 말기 望同窯의 기원과 전개」, 󰡔한국학연구󰡕 49,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방병선, 「1870년대 이후 分院 官窯 변천」, 󰡔한국학연구󰡕 49,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윤양노, 「󰡔荷齋日記󰡕로 본 개항기 의생활 문화」, 󰡔한복문화󰡕 17, 한복문화학회, 2014.
  • 이정현, 「󰡔하재일기󰡕를 통해 본 구한말 의약생활의 변화」,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7,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4.
  • 류채형, 「󰡔荷齋日記󰡕 에 나타난 19세기 말 20세기 초 貢人 池圭植의 祭祀 설행」, 󰡔역사교육논집󰡕 61, 역사교육학회, 2016.
  • 류채형, 「󰡔荷齋日記󰡕에 나타난 19세기 貢人 池圭植 가문의 祭祀 실태와 특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구혜인, 「분원공소기(分院貢所期, 1883-1895) 왕실용 백자의 진상체계와 진상용 백자의 성격 -󰡔분원자기공소절목󰡕과 󰡔하재일기󰡕의 비교분석을 통해-」, 󰡔역사와 담론󰡕 81, 호서사학회, 2017.
  • 송재용,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일고찰」, 󰡔동양고전연구󰡕 69, 동양고전학회, 2017.
  • 송재용,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ㆍ혼ㆍ상ㆍ제례 연구」, 󰡔동양고전연구󰡕 70, 동양고전학회, 2018.
  • 송재용, 「󰡔荷齋日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동아시아고대학󰡕 49,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 신경미,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19세기 말∼20세기 초 지역 지식인의 변화」, 󰡔인문과학연구󰡕 26,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주제별 연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