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버튼클릭|작품 목록으로 돌아가기}} =='''본문'''== <div style="text-align:justify"> {{Blockquote|늦가을이나 초겨울이면 우...)
 
(본문)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본문'''==
 
=='''본문'''==
 
<div style="text-align:justify">
 
<div style="text-align:justify">
{{Blockquote|늦가을이나 초겨울이면 우리 집 부엌 기둥에 명태 *코가 걸려 있었다. 산골 그을음 투성이의 초가집 부엌 기둥에 한 코로 걸린, 다소곳한 명태 한 쌍의 모습은 '천생연분'이란 제목을 달고 싶은 한 폭의 정물화였다.
+
{{Blockquote|나는 우선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지금 돈으로 한 [https://ecos.bok.or.kr/jsp/use/monetaryvalue/MonetaryValue.jsp 오만 환]쯤 생기기도 하는 생활을 사랑한다. 그러면 그 돈으로 청량리 위생병원에 낡은 몸을 입원시키고 싶다. 나는 깨끗한 침대에 누웠다가 하루에 한두 번씩 덥고 깨끗한 물로 목욕하고 싶다. 그리고 [https://ko.wikipedia.org/wiki/피서영 우리 딸]에게 제 생일날 사 주지 못한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7034 비로드] 바지를 하나 사주고 아내에게는 비하이브 털실 폰드 반을 사주고 싶다.
 +
그리고 내 것으로 점잖고 산뜻한 넥타이를 몇 개 사고 싶다. 돈이 없어서 적조하여진 친구들을 우리 집에 청해오고 싶다. 아내는 신이 나서 도마질을 할 것이다. 나는 오만 환, 아니 십만 환쯤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생기는 생활을 가장 사랑한다. 나는 나의 시간과 기운을 다 팔아버리지 않고, 나의 마지막 십분지 일이라도 남겨서 자유와 한가를 즐길 수 있는 생활을 하고 싶다.  
  
밤이 이슥해서 취기가 도도해진 아버지가 명태 한 코를 들고 와서 마중하는 며느리에게 "옛다"하며 건네주시는 걸 본 적이 있다. 남용하시는 게 아닌가 싶은 아버지의 호기가 참 보기 좋았다.
+
나는 잔디 밟기를 좋아한다. 나는 젖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3740b2f8ec4477ba8b662b5d01463b0 시새]를 밟기 좋아한다. 고무창 댄 구두를 신고 아스팔트 위를 걷기를 좋아한다. 아가의 머리칼 만지기를 좋아한다. 새로 나온 나뭇잎을 만지기 좋아한다. 나는 보드랍고 고운 화롯불 재를 만지기 좋아한다. 나는 남의 아내의 [https://blog.naver.com/tokyobeads/221413636707 수달피 목도리]를 만져 보기 좋아한다. 그리고 아내에게 좀 미안한 생각을 한다.  
  
그 날, "아버님, 저녁 진짓상 차릴까요?" 며느리가 묻자 아버지는 "먹었다" 하시며 두루마기를 벗어서 며느리에게 건네주고 사랑으로 들어가셨다. 며느리는 두루마기 자락을 추녀 밑에 걸어 놓은 등불에 비춰 보더니 즉시 우물로 가지고 가서 빨았다. 아버지는 취한 걸음으로 이강들을 건너서, 은고개를 넘어서, 하골 산모랭이를 돌아서 두루마기 앞섶을 휘날리며 오셨을 것이다. 삶의 어느 경지에 취해서 맘껏 활개젓는 아버지의 손에 들려 온 명태 두 마리가 얼마나 요동을 쳤으면 두루마기 자락을 다 더럽혔을까.
+
나는 아름다운 얼굴을 좋아한다. 웃는 아름다운 얼굴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수수한 얼굴이 웃는 것도 좋아한다. 서영이 엄마가 자기 아이를 바라보고 웃는 얼굴도 좋아한다. 내가 아는 여인들이 인사 대신으로 웃는 웃음을 나는 좋아한다. 그리고 이를 가는 우리 딸 웃는 얼굴을 나는 사랑한다.
 +
 +
나는 아름다운 빛을 사랑한다. 골짜기마다 단풍이 찬란한 [http://blogfiles.naver.net/data13/2006/1/17/48/0603-1._%B8%B8%C6%F8%B5%BF%28%BC%B1%B9%AE%B4%EB%BC%D2%C0%E5%BA%BB%29-gojhan.jpg 만폭동(萬瀑洞)] 앞을 바라보면 걸음이 급하여지고, 뒤를 돌아다보면 더 좋은 단풍을 두고 가는 것 같아서 어쩔 줄 모르고 서 있었다. 예전 우리 유치원 선생님이 주신 색종이 같은 빨간색 보라․자주․초록 이런 황홀한 색깔을 나는 좋아한다. 나는 우리나라 가을 하늘을 사랑한다. 나는 진주 빛․비둘기 빛을 좋아한다. 늙어 가는 학자의 희끗희끗한 머리칼을 좋아한다.  
  
아침에 아버지가 "아가, 두루마기 내 오너라"했을 때, 며느리는 엄한 분부에 차질 없이 대령할 수 있도록 푸새 다림질을 해서 횃대에 걸어 둔 주루마기를 이때다 싶은 마음으로 내다 드렸다. 그 두루마기 자락에 온통 명태 비린내를 칠해 오신 것이다. 그리고 당당히 그 명태를 며느리에게 건네고, 며느리는 공손히 받아서 부엌 기둥에 걸었다. 한 집안 대주(大主)의 권위가 나를 감동시켰다.
+
나는 이른 아침 [https://www.youtube.com/embed/crz9I1YV4Y4 종달새 소리]를 좋아하며, [https://www.youtube.com/embed/_H6LagEH3BI 꾀꼬리 소리]를 반가워하며, 봄 시냇물 흐르는 소리를 즐긴다. 갈대에 부는 바람 소리를 좋아하며, 바다의 파도 소리를 들으면 아직도 가슴이 뛴다. 나는 골목을 지나갈 때에 발을 멈추고 한참이나 서 있게 하는 피아노 소리를 좋아한다.  
  
젊은 날의 어느 늦가을, 갈걷이를 끝내고 어디 갔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막차에서 내린 나는 차부 건너편에 있는 가게 앞에서 발걸음을 멈춰 섰다. 등피를 잘 닦은 남폿불 아래 놓인 어상자에 가지런히 누워 있는 명태들이 왜 그리 정답던지, 마치 우리 사랑채에 모여 놀다가 제사를 보고 가려고 가지런히 누워 곤하게 등걸잠이 든 마실꾼들 같았다. 그 명태를 한 코 샀다. 아버지가 두루마기 자락에 명태 비린내를 묻혀 가지고 왔다고 젊은 자식놈이 그러면 불경(不敬)이다. 옷에 비린내를 묻히지 않으려고 각별히 조심을 해서 명태 한 코를 들고 밤길 십 리를 걸어 집에 오니까 팔이 아팠다. 연만하신 아버지가 취중에 두루마기 자락에 비린내를 묻히지 않고 명태 한 코를 들고 십릿길을 걸어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걸 알았다. 결코 아버지는 당신의 출입 위상을 위해서 정성을 다한 며느리의 침선(針線)을 소홀히 여기신 건 아니었다.
+
나는 젊은 웃음소리를 좋아한다. 다른 사람 없는 방안에서 내 귀에다가 귓속말을 하는 서영이 말소리를 좋아한다. 나는 비 오시는 날 저녁 때, 뒷골목 선술집에서 풍기는 불고기 냄새를 좋아한다. 새로운 양서(洋書) 냄새, 털옷 냄새를 좋아한다. 커피 끓이는 냄새, 라일락 짙은 냄새, 국화․수선화․소나무의 창기를 좋아한다. 봄 흙 냄새를 좋아한다.  
  
다음날 아침 아내가 명탯국을 끓였다. 아버지가 좋아하시면서 "왠 명태냐?"고 하셨다. 아내가 "애비가 사 왔어요" 하자 아버지는 잠깐 나를 쳐다보더니 "우리 집에 나 말고 명태 사 들고 올 사람이 또 있구나!" 하시는 것이었다. 아버지의 그 말씀이 왜 그리 눈물겹게 느껴졌을까. 그 날 아침 햇살 가득 찬 안방에서 아버지와 겸상을 한 담백하고 시원한 명탯국 맛을 생각하면 지금도 마음이 아릿하다.
+
나는 사과를 좋아하고, 호도와 잣과 꿀을 좋아하고, 친구와 향기로운 차를 마시기를 좋아한다. 군밤을 외투 주머니에다 넣고 길을 걸으면서 먹기를 좋아하고, [https://blog.naver.com/fini2/140121417121 겨울날 찰스 강변]을 걸으면서 핥던 콘 아이스 크림을 좋아한다.  
  
내 친구 중에는 명탯국을 안 먹는 자가 있어서 나는 일단 그를 경멸한다. 명태는 맛이 없는 생선이라는 것이다. 생선 맛이야 비린 맛일 터인데, 그놈은 비린 맛을 되게 좋아하는 놈이다. 사실 맨 북어포를 먹어보면 알지만 솜을 씹는 것처럼 맛이 없긴 하다. 그런데 고추장을 찍어 먹으면 숨어 있던 북어살의 구수한 맛이 입안 가득 살아난다. 그래서 말이지만 명태가 맛이 없는 것은 우리 입맛에 순응하기 위한 담백성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명태의 그 담백성을 몰개성적이라고 매도한다면 잘못이다. 생선은 비린 만큼 교만하다. 비린 생선들은 비린 그의 개성을 우선 존중해 주지 않으면 우리가 의도하는 맛을 내주지 않는다. 그러나 명태는 맛에 대한 자기 주장을 관철하려 들지 않는다. 줏대도 없는 놈이라고 할지 모르지만, 그건 줏대가 없는 것이 아니고 줏대없는 그의 본성 자체가 그의 줏대인 것이다. 나는 여태껏 썩은 명태를 보지 못했다. 오늘날의 명태 말고, 냉동 산업과 운송 여건이 불비한 시절, 동해안에서 태산 준령을 넘어 충청도 산읍 5일장의 어물전까지 실려 온 명태를 두고 하는 말이다.
+
나는 아홉 평 건물에 땅이 오십 평이나 되는 나의 집을 좋아한다. 재목은 쓰지 못하고 흙으로 지은 집이지만 내 집이니까 좋아한다. 화초를 심을 뜰이 있고, 집 내어놓으라는 말을 아니 들을 터이니 좋다. 내 책들은 언제나 제 자리에 있을 수 있고, 앞으로 오랫동안 이 집에서 살면 집을 몰라서 놀러 오지 못할 친구는 없을 것이다.  
  
당연하다. 명태는 썩지 않는 철에만 잡히기 때문이다. 명태는 바닷물이 섭씨 1도에서 5도가 되어야 산란을 하러 북태평양에서 동해로 떼지어 내려오는데, 그때가 명태의 어획기다. 부패의 철을 비켜서 어획기를 설정한 주체는 어부가 아니라 명태다. 가급적 주검을 부패시키지 않으려는 명태의 의지가 진화된 결과로 보고 싶다. 어차피 그물코에 걸릴 수밖에 없는 회유성(回游性)이 운명일 바에는 주검을 부패시켜 가지고 혐오스러워하는 사람의 손길에 뒤채이며 어물전의 천덕꾸러기가 될 필요는 없다는 게 명태의 결론이었을지 모른다.
+
나는 삼일절이나 광복절 아침에는 [https://ww.namu.la/s/6a64570a6cfe5d03286323f87cf6dacdd6f1d674469dcc53542d5a07662beff720864426c923a38c87310612d119ef28687e9986ccf16254f2509ad6cfab96781926a1121785a49209603c8547e13b7d1053f490a2358d187d7bb28a8d7eb712 실크 헤트(hat)]를 쓰고 [http://folkency.nfm.go.kr/kr/dic/61/picture/74022 모닝]을 입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그러나 그것은 될 수 없는 일이다. 여름이면 [http://folkency.nfm.go.kr/kr/mainSearch/%EA%B3%A0%EC%9D%98%EC%A0%81%EC%82%BC 베 고의 적삼]을 입고 농립(農笠)을 쓰고 짚신을 신고 산길을 가기 좋아한다. 나는 신발을 좋아한다.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7222 태사(太史)신], 이름을 쓴 까만 운동화, 깨끗하게 씻어 논 파란 고무신, 흙이 약간 묻은 탄탄히 삼은 짚신, 나의 생활을 구성하는 모든 작고 아름다운 것들을 사랑한다. 고운 얼굴을 욕망 없이 바라다보며, 남의 공적을 부러움 없이 찬양하는 것을 좋아한다. 여러 사람을 좋아하며 아무도 미워하지 아니하며, 몇몇 사람을 끔찍이 사랑하며 살고 싶다. 그리고 나는 점잖게 늙어가고 싶다. 내가 늙고 서영이가 크면 눈 내리는 서울 거리를 같이 걷고 싶다.  
 
'썩어도 준치'란 말이 있다. 참 가소롭기 그지없는 말이다. 명태가 들으면 '무슨 소리야, 썩으면 썩은 것이지-'하고 실소를 금치 못할 것이다. 부패 직전의 살코기에서는 글리코겐이 분해되여 젖산을 발생시켜서 구수하고 단맛을 낸다는 요리학적 설명이 있긴 하지만, 그건 숙성을 뜻하는 것이지 부패를 이른 말이 아니다. 자연에서 생선의 숙성은 순식간에 지나가는 과정에 불과하다. 숙성을 보전하는 것은 기술이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요리사의 몫이지 준치의 몫은 아니다.
 
  
썩어도 준치'란 말은 청문회장에 나온 사람의 뻔뻔스러운 변명 같아서 부패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준치는 4월에서 7월까지 부패가 촉진되는 철에 잡힌다. 제 주검의 선도(蘚度)에 대한 대책도 없는 주제에 '썩어도 준치'라니, 명태에 비하면 비천하기 이를 데 없는 본성이다.
 
  
보릿고개가 준치의 어획기다. 배가 고픈 백성들은 준치의 어획을 고마워하며 먹었으리라. 어쩌다 숙성된 준치를 먹었을지 모르지만 대개 썩은 준치를 먹고 삶의 비애를 개탄하는 마음으로 짐짓 '썩어도 준치'라고 역설적인 감탄을 했을지 모른다. 얼마나 우리들의 슬픈 시대를 단적으로 대변하는 감탄구인가.
 
  
명태는 무욕으로 일관한 제 생의 담백한 육질을 신선하게 보전해서 사람들에게 보시(布施)했다. 명태는 제 속을 비워 창난젓과 명란젓을 담게 하고 몸뚱이만 바닷가의 덕장에서 바닷바람에 말려 북어가 되고, 대관령 너머 눈벌판의 덕장에서 더덕북어가 되었는데, 알다시피 제상의 좌포(左脯)로 진설되거나, 고사상 떡시루 위에 실타래를 감고 누워 사람들의 국궁재배(鞠躬再拜)를 받는 귀물(貴物)로 받들어졌다.
 
  
명태를 생각하면 언뜻 늦가을 텃밭의 황토 흙에 하반신을 묻고 상반신을 햇살에 파랗게 드러낸 채 서 있던 청정한 무가 떠오른다. 그 순박무구하고 건강하기가 과년한 산골 큰애기 같은 조선무가 없으면 명태의 담백한 맛을 살려내기 힘들었을지 모른다. 산골 동네 텃밭에서 그 청정한 무가 가으내 담백한 맛의 진수를 보여 주려고 뼈무르면서 명태를 기다렸다. 순박한 무와 단백한 생선의 만남, 그야말로 산해(山海)가 진미로 만나는 것이다.
+
|출처=피천득, 『나의 사랑하는 생활』(1969).  
 
 
문득 아버지의 호기가 그립다. 아침 햇살 가득 차 오르던 산골 초가집 부엌 기둥에 걸려 있던 순박한 명태 한 코가 집안 대주의 권위로 바라보이던 시절이 그립다.
 
 
|출처=목성균, 『돼지불알』(2010).
 
 
}}
 
}}
 
</div>
 
</div>
 +
 +
=='''학습목표'''==
 +
'''1. 작품에 쓰인 표현들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
'''2. 작품을 읽은 후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감상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워드 클라우드'''==
 
=='''워드 클라우드'''==
 +
[[파일:120.png|800px]]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네트워크'''==
 +
{{NetworkGraph | title=피천득의_「나의_사랑하는_생활」.lst}}
 +
{{버튼클릭|[[피천득의_「나의_사랑하는_생활」.lst|데이터 네트워크 편집 페이지로 가기]]}}

2019년 11월 25일 (월) 20:54 기준 최신판

작품 목록으로 돌아가기

본문

Quote-left.png 나는 우선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지금 돈으로 한 오만 환쯤 생기기도 하는 생활을 사랑한다. 그러면 그 돈으로 청량리 위생병원에 낡은 몸을 입원시키고 싶다. 나는 깨끗한 침대에 누웠다가 하루에 한두 번씩 덥고 깨끗한 물로 목욕하고 싶다. 그리고 우리 딸에게 제 생일날 사 주지 못한 비로드 바지를 하나 사주고 아내에게는 비하이브 털실 한 폰드 반을 사주고 싶다.

그리고 내 것으로 점잖고 산뜻한 넥타이를 몇 개 사고 싶다. 돈이 없어서 적조하여진 친구들을 우리 집에 청해오고 싶다. 아내는 신이 나서 도마질을 할 것이다. 나는 오만 환, 아니 십만 환쯤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돈이 생기는 생활을 가장 사랑한다. 나는 나의 시간과 기운을 다 팔아버리지 않고, 나의 마지막 십분지 일이라도 남겨서 자유와 한가를 즐길 수 있는 생활을 하고 싶다.

나는 잔디 밟기를 좋아한다. 나는 젖은 시새를 밟기 좋아한다. 고무창 댄 구두를 신고 아스팔트 위를 걷기를 좋아한다. 아가의 머리칼 만지기를 좋아한다. 새로 나온 나뭇잎을 만지기 좋아한다. 나는 보드랍고 고운 화롯불 재를 만지기 좋아한다. 나는 남의 아내의 수달피 목도리를 만져 보기 좋아한다. 그리고 아내에게 좀 미안한 생각을 한다.

나는 아름다운 얼굴을 좋아한다. 웃는 아름다운 얼굴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수수한 얼굴이 웃는 것도 좋아한다. 서영이 엄마가 자기 아이를 바라보고 웃는 얼굴도 좋아한다. 내가 아는 여인들이 인사 대신으로 웃는 웃음을 나는 좋아한다. 그리고 이를 가는 우리 딸 웃는 얼굴을 나는 사랑한다.

나는 아름다운 빛을 사랑한다. 골짜기마다 단풍이 찬란한 만폭동(萬瀑洞) 앞을 바라보면 걸음이 급하여지고, 뒤를 돌아다보면 더 좋은 단풍을 두고 가는 것 같아서 어쩔 줄 모르고 서 있었다. 예전 우리 유치원 선생님이 주신 색종이 같은 빨간색 보라․자주․초록 이런 황홀한 색깔을 나는 좋아한다. 나는 우리나라 가을 하늘을 사랑한다. 나는 진주 빛․비둘기 빛을 좋아한다. 늙어 가는 학자의 희끗희끗한 머리칼을 좋아한다.

나는 이른 아침 종달새 소리를 좋아하며, 꾀꼬리 소리를 반가워하며, 봄 시냇물 흐르는 소리를 즐긴다. 갈대에 부는 바람 소리를 좋아하며, 바다의 파도 소리를 들으면 아직도 가슴이 뛴다. 나는 골목을 지나갈 때에 발을 멈추고 한참이나 서 있게 하는 피아노 소리를 좋아한다.

나는 젊은 웃음소리를 좋아한다. 다른 사람 없는 방안에서 내 귀에다가 귓속말을 하는 서영이 말소리를 좋아한다. 나는 비 오시는 날 저녁 때, 뒷골목 선술집에서 풍기는 불고기 냄새를 좋아한다. 새로운 양서(洋書) 냄새, 털옷 냄새를 좋아한다. 커피 끓이는 냄새, 라일락 짙은 냄새, 국화․수선화․소나무의 창기를 좋아한다. 봄 흙 냄새를 좋아한다.

나는 사과를 좋아하고, 호도와 잣과 꿀을 좋아하고, 친구와 향기로운 차를 마시기를 좋아한다. 군밤을 외투 주머니에다 넣고 길을 걸으면서 먹기를 좋아하고, 겨울날 찰스 강변을 걸으면서 핥던 콘 아이스 크림을 좋아한다.

나는 아홉 평 건물에 땅이 오십 평이나 되는 나의 집을 좋아한다. 재목은 쓰지 못하고 흙으로 지은 집이지만 내 집이니까 좋아한다. 화초를 심을 뜰이 있고, 집 내어놓으라는 말을 아니 들을 터이니 좋다. 내 책들은 언제나 제 자리에 있을 수 있고, 앞으로 오랫동안 이 집에서 살면 집을 몰라서 놀러 오지 못할 친구는 없을 것이다.

나는 삼일절이나 광복절 아침에는 실크 헤트(hat)를 쓰고 모닝을 입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그러나 그것은 될 수 없는 일이다. 여름이면 베 고의 적삼을 입고 농립(農笠)을 쓰고 짚신을 신고 산길을 가기 좋아한다. 나는 신발을 좋아한다. 태사(太史)신, 이름을 쓴 까만 운동화, 깨끗하게 씻어 논 파란 고무신, 흙이 약간 묻은 탄탄히 삼은 짚신, 나의 생활을 구성하는 모든 작고 아름다운 것들을 사랑한다. 고운 얼굴을 욕망 없이 바라다보며, 남의 공적을 부러움 없이 찬양하는 것을 좋아한다. 여러 사람을 좋아하며 아무도 미워하지 아니하며, 몇몇 사람을 끔찍이 사랑하며 살고 싶다. 그리고 나는 점잖게 늙어가고 싶다. 내가 늙고 서영이가 크면 눈 내리는 서울 거리를 같이 걷고 싶다.



Quote-right.png
출처: 피천득, 『나의 사랑하는 생활』(1969).


학습목표

1. 작품에 쓰인 표현들의 특징을 알 수 있다.

2. 작품을 읽은 후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감상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워드 클라우드

120.png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네트워크 편집 페이지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