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金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버튼클릭|이규보 작품 목록}} ==고전번역원 자료==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
 
(원문과 번역문)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고전번역원 자료==
 
==고전번역원 자료==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060_010_0300_2000_001_XML 동국이상국전집 제04권 서(序) :金函]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060_010_0300_2000_001_XML 동국이상국전집 제04권 : 金函]
  
 
==원문과 번역문==
 
==원문과 번역문==
14번째 줄: 14번째 줄:
 
|번역문0='''<span style="color: navy">「금함(金函)」</span>'''
 
|번역문0='''<span style="color: navy">「금함(金函)」</span>'''
 
|번역문1=<div style="text-align:justify">『{{문헌|[[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인물|[[당나라 현종(玄宗)]]}}이 나라의 정사(政事)를 걱정하고 부지런히 하여, 간언하는 말은 따르지 않음이 없었다. 혹 넌지시 잘못을 지적하고 고치길 요구하는 소장(疏章)이 있으면, 치도(治道)에 우수한 것을 뽑아서 {{물품|[[금함(金函)]]}} 속에 넣어, 날마다 옆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 어느 때고 게을리 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div>
 
|번역문1=<div style="text-align:justify">『{{문헌|[[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인물|[[당나라 현종(玄宗)]]}}이 나라의 정사(政事)를 걱정하고 부지런히 하여, 간언하는 말은 따르지 않음이 없었다. 혹 넌지시 잘못을 지적하고 고치길 요구하는 소장(疏章)이 있으면, 치도(治道)에 우수한 것을 뽑아서 {{물품|[[금함(金函)]]}} 속에 넣어, 날마다 옆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 어느 때고 게을리 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div>
|번역문2={{개념|[[개원(開元)]]}}이 거의 태평성대에 가 닿았던 것은,  
+
|번역문2={{개념|[[개원(開元)]]}}이 거의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것은,  
|번역문3=모조리 생각을 비우고 간언(諫言)을 받아들여서였네.
+
|번역문3=모든 생각을 비우고 간언(諫言)을 받아들여서였네.
|번역문4=만약 {{물품|[[금함(金函)]]}}을 두고 오래도록 거울로 삼아 경계하였다면,  
+
|번역문4=만약 {{물품|[[금함(金函)]]}}을 두고 길이 거울 삼아 경계하였다면,  
 
|번역문5=어가(御駕)가 어찌 감히 아미산(峨嵋山)까지 행차하였겠는가.<ref>755년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 장안까지 들이치자, 현종이 사천을 향해 피난갔던 사실을 가리킨다.</ref>
 
|번역문5=어가(御駕)가 어찌 감히 아미산(峨嵋山)까지 행차하였겠는가.<ref>755년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 장안까지 들이치자, 현종이 사천을 향해 피난갔던 사실을 가리킨다.</ref>
 
}}
 
}}

2017년 11월 10일 (금) 22:27 기준 최신판

이규보 작품 목록

고전번역원 자료

원문과 번역문

「金函」 「금함(金函)」
遺事曰, 明皇憂勤國政, 諫無不從。或有章䟽諷諫, 則探其理道優長者, 貯於金函中, 日置於右, 時取讀之, 未嘗懈忽也。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문헌』에, "당나라 현종(玄宗)인물이 나라의 정사(政事)를 걱정하고 부지런히 하여, 간언하는 말은 따르지 않음이 없었다. 혹 넌지시 잘못을 지적하고 고치길 요구하는 소장(疏章)이 있으면, 치도(治道)에 우수한 것을 뽑아서 금함(金函)물품 속에 넣어, 날마다 옆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 어느 때고 게을리 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開元幾致大平期 개원(開元)개념이 거의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것은,
揔爲虛懷納諫詞 모든 생각을 비우고 간언(諫言)을 받아들여서였네.
若置金函長鑒戒 만약 금함(金函)물품을 두고 길이 거울 삼아 경계하였다면,
翠華爭肯幸峨嵋。 어가(御駕)가 어찌 감히 아미산(峨嵋山)까지 행차하였겠는가.[1]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poetry : 금함(金函) person : 당나라 현종(玄宗)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poetry : 금함(金函) bibliography :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concept : 개원(開元)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object : 금함(金函)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object : 취화기(翠華旗)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place : 아미산(峨嵋山)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expression : 鑒戒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expression : 諫詞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諫詞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imagery : 거울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character : imagery : 반성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character : imagery : 인재등용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주석

  1. 755년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 장안까지 들이치자, 현종이 사천을 향해 피난갔던 사실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