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金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버튼클릭|이규보 작품 목록}} ==고전번역원 자료==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
 
(고전번역원 자료)
2번째 줄: 2번째 줄:
  
 
==고전번역원 자료==
 
==고전번역원 자료==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060_010_0300_2000_001_XML 동국이상국전집 제04권 서(序) :金函]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060_010_0300_2000_001_XML 동국이상국전집 제04권 : 金函]
  
 
==원문과 번역문==
 
==원문과 번역문==

2017년 11월 10일 (금) 17:43 판

이규보 작품 목록

고전번역원 자료

원문과 번역문

「金函」 「금함(金函)」
遺事曰, 明皇憂勤國政, 諫無不從。或有章䟽諷諫, 則探其理道優長者, 貯於金函中, 日置於右, 時取讀之, 未嘗懈忽也。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문헌』에, "당나라 현종(玄宗)인물이 나라의 정사(政事)를 걱정하고 부지런히 하여, 간언하는 말은 따르지 않음이 없었다. 혹 넌지시 잘못을 지적하고 고치길 요구하는 소장(疏章)이 있으면, 치도(治道)에 우수한 것을 뽑아서 금함(金函)물품 속에 넣어, 날마다 옆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 어느 때고 게을리 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開元幾致大平期 개원(開元)개념이 거의 태평성대에 가 닿았던 것은,
揔爲虛懷納諫詞 모조리 생각을 비우고 간언(諫言)을 받아들여서였네.
若置金函長鑒戒 만약 금함(金函)물품을 두고 오래도록 거울로 삼아 경계하였다면,
翠華爭肯幸峨嵋。 어가(御駕)가 어찌 감히 아미산(峨嵋山)까지 행차하였겠는가.[1]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poetry : 금함(金函) person : 당나라 현종(玄宗)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poetry : 금함(金函) bibliography :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poetry : 금함(金函)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A는 B를 부분으로 갖는다 A dcterms:hasPart B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concept : 개원(開元)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object : 금함(金函)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object : 취화기(翠華旗)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place : 아미산(峨嵋山) A는 B를 언급한다 A ekc:mentions B
verse : 翠華爭肯幸峨嵋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verse : 開元幾致大平期 A는 B에 연속한 구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expression : 鑒戒 verse : 若置金函長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鑒戒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expression : 諫詞 verse : 揔爲虛懷納諫詞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expression : 諫詞 A는 B에 포함된다 A isElementOf B
character : imagery : 거울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character : imagery : 반성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character : imagery : 인재등용 A는 B를 연상시킨다 A evokes B

주석

  1. 755년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켜 수도 장안까지 들이치자, 현종이 사천을 향해 피난갔던 사실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