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LDC(2023)Research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23번째 줄: 23번째 줄: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black; width:100%; height:3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div style="float:center; background:black; width:100%; height:3px; text-align:right; padding:2px 2px 2px;"></div><br/>
 
<big>
 
<big>
「성시전도시」는 1792년 정조가 신하들로 하여 '성시전도'를 시제로 하여 지어 올리게 한 일백운 칠언고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성시전도시」는 총 13종이다. 본 연구는 「성시전도시」에 묘사되는 자연경관과 그 주변 정경情景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연경관'이란, 강산을 필두로 산봉우리, 냇가와 개울,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성한 자연경관까지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주변 정경'이란, 앞서 언급된 자연경관의 주변 정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건설한 궁궐, 성곽, 누각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과 조형물을 일컫는다. <br/> <br/> 본 연구를 통해  「성시전도시」에 묘사된 자연경관 각각의 항목들의 비중 차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낙산, 무악산, 남산, 북악산이 언급된 횟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 중 어떤 산이 조선시대에 비중있게 다뤄졌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연경관과 그 주변에 조성한 인위적 건축ꞏ조형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 건축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국에는 이를 통해 조선인들이 한양 경관을 보고 느꼈던 정경을 추적하고 공감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성시전도시」는 1792년 정조가 신하들로 하여 '성시전도'를 시제로 하여 지어 올리게 한 일백운 칠언고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성시전도시」는 총 13종이다. 본 연구는 「성시전도시」에 묘사되는 자연경관과 그 주변 정경情景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연경관'이란, 강산을 필두로 산봉우리, 냇가와 개울,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성한 자연경관까지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주변 정경'이란, 앞서 언급된 자연경관의 주변 정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건설한 궁궐, 성곽, 누각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과 조형물을 일컫는다. <br/> <br/> 본 연구를 통해  「성시전도시」에 묘사된 자연경관 각각의 항목들의 비중 차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낙산, 무악산, 남산, 북악산이 언급된 횟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 중 어떤 산이 조선시대에 비중있게 다뤄졌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연경관과 그 주변에 조성한 인위적 건축ꞏ조형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 건축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국에는 이를 통해 조선인들이 한양 경관을 보고 느꼈던 정경을 추적하고 공감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big>
 
</big>
 
<br/><br/><br/>
 
<br/><br/><br/>

2023년 4월 26일 (수) 03:25 판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3) 강의 페이지로 가기


성시전도시에 묘사된 자연경관과 주변 情景

-부제-




목차

Contents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데이터 연구결과 연구소감 참고자료



연구 목적


「성시전도시」는 1792년 정조가 신하들로 하여 '성시전도'를 시제로 하여 지어 올리게 한 일백운 칠언고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성시전도시」는 총 13종이다. 본 연구는 「성시전도시」에 묘사되는 자연경관과 그 주변 정경情景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연경관'이란, 강산을 필두로 산봉우리, 냇가와 개울,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성한 자연경관까지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주변 정경'이란, 앞서 언급된 자연경관의 주변 정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건설한 궁궐, 성곽, 누각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과 조형물을 일컫는다. 

본 연구를 통해 「성시전도시」에 묘사된 자연경관 각각의 항목들의 비중 차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낙산, 무악산, 남산, 북악산이 언급된 횟수 차이를 비교하여 이들 중 어떤 산이 조선시대에 비중있게 다뤄졌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자연경관과 그 주변에 조성한 인위적 건축ꞏ조형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 건축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국에는 이를 통해 조선인들이 한양 경관을 보고 느꼈던 정경을 추적하고 공감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데이터 샘플링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클래스(Class)

명칭(name) 설명(description)
클래스명(class name) 클래스에 관한 설명


관계(Relation)

관계정의 관계어(name) 설명(description)
수록하다 contains 문집과 작품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속성(Attributes)

속성(name) 설명(description) 예시
생년(birthYear) 특정 인물의 생년을 기록하기 위한 속성. 네 자리 숫자의 연도를 입력. 1948년


연구 데이터


데이터 수집 방법

(수집방법에 관해 서술)

데이터 목록

(추후 구글 시트에 정리)



연구 결과


(데이터 분석 내용에 관해 서술)

연구 소감


(연구를 진행한 소감에 관해 서술)

참고 자료


(참고자료가 있을 경우, 여기에 목록으로 정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