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LDC(2023)Research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이동학 KUG2023 (토론 | 기여) (→연구 목적) |
이동학 KUG2023 (토론 | 기여)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본 데이터셋 구축의 목적은 18세기 城市全圖詩 13종에 나타난 전고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그 효과와 목적을 고찰하고자 한다. | 본 데이터셋 구축의 목적은 18세기 城市全圖詩 13종에 나타난 전고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그 효과와 목적을 고찰하고자 한다. | ||
− | 1 | + | 1. 성시전도시에 나타난 전고를 經書, 史書, 諸子書, 賦, 詩 등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인용 목적을 고찰한다. |
+ | 목적으로는 칭송, 풍경의 묘사, 교훈, 겸사 등...경서는 대부분 칭송, 풍경묘사 또는 칭송이라도 경관과 관련된 것은 한시... | ||
+ | |||
40번째 줄: | 42번째 줄: | ||
<big> | <big> | ||
− | + | 성시전도시 13종에 직,간접적으로 인용된 경서, 역사서, 제자서, (문집), 시, 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 |
− | + | 경서는 예기, 주례, 주역, 서경, 시경, 맹자, | |
+ | 역사서는 한서, | ||
+ | 제자서는 노자, 장자, | ||
+ | 시는 두보, 양경지, 노조린, | ||
+ | |||
+ | 이덕무 성시전도칠언고시백운 16건, 박제가 ~건, ~건... 하여 총 ~건의 데이터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 ||
</big> | </big> |
2023년 4월 22일 (토) 18:25 판
목차
Contents
연구 목적
본 데이터셋 구축의 목적은 18세기 城市全圖詩 13종에 나타난 전고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그 효과와 목적을 고찰하고자 한다.
1. 성시전도시에 나타난 전고를 經書, 史書, 諸子書, 賦, 詩 등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인용 목적을 고찰한다. 목적으로는 칭송, 풍경의 묘사, 교훈, 겸사 등...경서는 대부분 칭송, 풍경묘사 또는 칭송이라도 경관과 관련된 것은 한시...
이를 데이터셋으로 구현하였을 때의 장점은~(지면에 비해?)
연구 대상
성시전도시 13종에 직,간접적으로 인용된 경서, 역사서, 제자서, (문집), 시, 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서는 예기, 주례, 주역, 서경, 시경, 맹자, 역사서는 한서, 제자서는 노자, 장자, 시는 두보, 양경지, 노조린,
이덕무 성시전도칠언고시백운 16건, 박제가 ~건, ~건... 하여 총 ~건의 데이터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방법
데이터 샘플링
클래스(Class)
명칭(name) | 설명(description) |
---|---|
클래스명(class name) | 클래스에 관한 설명 |
관계(Relation)
관계정의 | 관계어(name) | 설명(description) |
---|---|---|
수록하다 | contains | 문집과 작품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
속성(Attributes)
속성(name) | 설명(description) | 예시 |
---|---|---|
생년(birthYear) | 특정 인물의 생년을 기록하기 위한 속성. 네 자리 숫자의 연도를 입력. | 1948년 |
연구 데이터
데이터 수집 방법
(수집방법에 관해 서술)
데이터 목록
(추후 구글 시트에 정리)
연구 결과
(데이터 분석 내용에 관해 서술)
연구 소감
(연구를 진행한 소감에 관해 서술)
참고 자료
(참고자료가 있을 경우, 여기에 목록으로 정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