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ResearchTrendsForKoreanLiteratureInHanmu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논문 데이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 A02513 || [http://www.riss.kr/link?id=A3204055 해암 류경종의 시문학 연구] || 397-427<small>(31)</small> || 25 || 2000 || 김동준
 
| A02513 || [http://www.riss.kr/link?id=A3204055 해암 류경종의 시문학 연구] || 397-427<small>(31)</small> || 25 || 2000 || 김동준
 
|-
 
|-
| A02601 || [http://www.riss.kr/link?id=A3204057 주자와 이규보의 시어에 대하여] || 9-35<small>(27)</small> || 26 || 2000 || 김경수
+
| A02601 || [http://www.riss.kr/link?id=A3204057 주자와 이규보의 시어에 대하여] || 009-035<small>(27)</small> || 26 || 2000 || 김경수
 
|-
 
|-
| A02602 || [http://www.riss.kr/link?id=A3204058 이곡의 「영사시」연구] || 37-57<small>(21)</small> || 26 || 2000 || 박성규
+
| A02602 || [http://www.riss.kr/link?id=A3204058 이곡의 「영사시」연구] || 037-057<small>(21)</small> || 26 || 2000 || 박성규
 
|-
 
|-
| A02603 || [http://www.riss.kr/link?id=A3204059 『매월당시사유록』에 관한 고찰] || 59-85<small>(27)</small> || 26 || 2000 || 임형택
+
| A02603 || [http://www.riss.kr/link?id=A3204059 『매월당시사유록』에 관한 고찰] || 059-085<small>(27)</small> || 26 || 2000 || 임형택
 
|-
 
|-
| A02604 || [http://www.riss.kr/link?id=A3204059 허난설헌의 또 하나의 중국 간행본 『취사원창』] || 87-113<small>(27)</small> || 26 || 2000 || 박현규
+
| A02604 || [http://www.riss.kr/link?id=A3204059 허난설헌의 또 하나의 중국 간행본 『취사원창』] || 087-113<small>(27)</small> || 26 || 2000 || 박현규
 
|-
 
|-
 
| A02605 || [http://www.riss.kr/link?id=A3204061 18 세기의 백두산과 그 문학] || 115-154<small>(40)</small> || 26 || 2000 || 진재교
 
| A02605 || [http://www.riss.kr/link?id=A3204061 18 세기의 백두산과 그 문학] || 115-154<small>(40)</small> || 26 || 2000 || 진재교
80번째 줄: 80번째 줄:
 
| A02615 || [http://www.riss.kr/link?id=A3204071 조선의 매화시] || 419-449<small>(31)</small> || 26 || 2000 || 박혜숙
 
| A02615 || [http://www.riss.kr/link?id=A3204071 조선의 매화시] || 419-449<small>(31)</small> || 26 || 2000 || 박혜숙
 
|-
 
|-
| A02701 || [http://www.riss.kr/link?id=A3204072 한시 분석의 틀로서 허 (虛)와 실 (實)의 문제  :  조선 전기 ' 누정시 ' 를 중심으로] || 5-30<small>(26)</small> || 27 || 2001 || 이종묵
+
| A02701 || [http://www.riss.kr/link?id=A3204072 한시 분석의 틀로서 허 (虛)와 실 (實)의 문제  :  조선 전기 ' 누정시 ' 를 중심으로] || 005-030<small>(26)</small> || 27 || 2001 || 이종묵
 
|-
 
|-
| A02702 || [http://www.riss.kr/link?id=A3204073 한시 번역문체 연구 (1)  :  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 31-63<small>(33)</small> || 27 || 2001 || 고순희
+
| A02702 || [http://www.riss.kr/link?id=A3204073 한시 번역문체 연구 (1)  :  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 031-063<small>(33)</small> || 27 || 2001 || 고순희
 
|-
 
|-
| A02703 || [http://www.riss.kr/link?id=A3204074 금언체시 (禽言體詩) 연구] || 65-103<small>(39)</small> || 27 || 2001 || 정민
+
| A02703 || [http://www.riss.kr/link?id=A3204074 금언체시 (禽言體詩) 연구] || 065-103<small>(39)</small> || 27 || 2001 || 정민
 
|-
 
|-
 
| A02704 || [http://www.riss.kr/link?id=A3204075 조선문사와 명사신의 수창 (酬唱)과 그 양상] || 105-137<small>(33)</small> || 27 || 2001 || 김덕수
 
| A02704 || [http://www.riss.kr/link?id=A3204075 조선문사와 명사신의 수창 (酬唱)과 그 양상] || 105-137<small>(33)</small> || 27 || 2001 || 김덕수
102번째 줄: 102번째 줄:
 
| A02711 || [http://www.riss.kr/link?id=A3204082 오효원 한시의 현실의식 및 여성정감의 특징] || 335-361<small>(27)</small> || 27 || 2001 || 이성호
 
| A02711 || [http://www.riss.kr/link?id=A3204082 오효원 한시의 현실의식 및 여성정감의 특징] || 335-361<small>(27)</small> || 27 || 2001 || 이성호
 
|-
 
|-
| A02801 || [http://www.riss.kr/link?id=A75465822 우언 글쓰기와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5-35<small>(31)</small> || 28 || 2001 || 윤주필
+
| A02801 || [http://www.riss.kr/link?id=A75465822 우언 글쓰기와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005-035<small>(31)</small> || 28 || 2001 || 윤주필
 
|-
 
|-
| A02802 || [http://www.riss.kr/link?id=A75465274 조선시대 유행 두시집 『 두율우주 』 의 문헌학적 연구] || 37-62<small>(26)</small> || 28 || 2001 || 이의강
+
| A02802 || [http://www.riss.kr/link?id=A75465274 조선시대 유행 두시집 『 두율우주 』 의 문헌학적 연구] || 037-062<small>(26)</small> || 28 || 2001 || 이의강
 
|-
 
|-
| A02803 || [http://www.riss.kr/link?id=A75463907 『 정언묘선 』 의 풍격 연구 - 충담소산 , 한미청적 , 청신여락을 중심으로 -] || 63-94<small>(32)</small> || 28 || 2001 || 정재철
+
| A02803 || [http://www.riss.kr/link?id=A75463907 『 정언묘선 』 의 풍격 연구 - 충담소산 , 한미청적 , 청신여락을 중심으로 -] || 063-094<small>(32)</small> || 28 || 2001 || 정재철
 
|-
 
|-
| A02804 || [http://www.riss.kr/link?id=A75464648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 95-121<small>(27)</small> || 28 || 2001 || 안대회
+
| A02804 || [http://www.riss.kr/link?id=A75464648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 095-121<small>(27)</small> || 28 || 2001 || 안대회
 
|-
 
|-
 
| A02805 || [http://www.riss.kr/link?id=A75465278 조선후기 " 천기론 " 의 개념 및 미학이념과 그 문예 , 사상사적 연관] || 123-146<small>(24)</small> || 28 || 2001 || 이동환
 
| A02805 || [http://www.riss.kr/link?id=A75465278 조선후기 " 천기론 " 의 개념 및 미학이념과 그 문예 , 사상사적 연관] || 123-146<small>(24)</small> || 28 || 2001 || 이동환
124번째 줄: 124번째 줄:
 
| A02811 || [http://www.riss.kr/link?id=A75459413 『 기리총화 』 에 대한 일고찰 - 편찬자 확정과 후대 야담집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 || 315-348<small>(34)</small> || 28 || 2001 || 김영진
 
| A02811 || [http://www.riss.kr/link?id=A75459413 『 기리총화 』 에 대한 일고찰 - 편찬자 확정과 후대 야담집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 || 315-348<small>(34)</small> || 28 || 2001 || 김영진
 
|-
 
|-
| A029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32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산문에서의 미학적 특성 - 그 전체적 이해를 위한 하나의 관견] || 7-40<small>(34)</small> || 29 || 2002 || 장원철
+
| A029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32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산문에서의 미학적 특성 - 그 전체적 이해를 위한 하나의 관견] || 007-040<small>(34)</small> || 29 || 2002 || 장원철
 
|-
 
|-
|}
+
| A02902 || [http://www.riss.kr/link?id=A104151558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소설의 미적 특성과 그 구현 양상에 대한 검토 - 초기 한문소설에서의 몇몇 국면을 중심으로 - ] || 041-073<small>(33)</small> || 29 || 2002 || 정출헌
</font>
+
|-
 +
| A02903 || [http://www.riss.kr/link?id=A75463767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학 , 고지도 , 회화의 미적 교감 - 이조후기 문화사 이해의 한 국면 - ] || 074-118<small>(44)</small> || 29 || 2002 || 진재교
 +
|-
 +
| A02904 || [http://www.riss.kr/link?id=A75463768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조선시대 진환론의 전개 - 산수미와 산수화에 관한 담론 - ] || 119-148<small>(30)</small> || 29 || 2002 || 고연희
 +
|-
 +
| A02905 || [http://www.riss.kr/link?id=A75464338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국포 강박의 시학 - 18 세기 남인계열의 미적 동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 || 149-177<small>(29)</small> || 29 || 2002 || 박무영
 +
|-
 +
| A02906 || [http://www.riss.kr/link?id=A75465900 무한성의 추구와 무애미학 - 한국 불가시의 미학 전통 ( 1 ) - ] || 179-211<small>(33)</small> || 29 || 2002 || 이진오
 +
|-
 +
| A02907 || [http://www.riss.kr/link?id=A75465285 서거정의 문장론 연구] || 213-255<small>(43)</small> || 29 || 2002 || 조영호
 +
|-
 +
| A02908 || [http://www.riss.kr/link?id=A75465901 16 세기 호남 사대부 한시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 박상 , 임억령 , 고경명을 중심으로 - ] || 257-289<small>(33)</small> || 29 || 2002 || 박은숙
 +
|-
 +
| A02909 || [http://www.riss.kr/link?id=A75465415 조선후기 인물기사의 전개와 그 성격] || 291-320<small>(30)</small> || 29 || 2002 || 정환국
 +
|-
 +
| A02910 || [http://www.riss.kr/link?id=A75460262 유몽인의 명실론과 그 문학적 수용 ] || 321-354<small>(34)</small> || 29 || 2002 || 이월영
 +
|-
 +
| A02911 || [http://www.riss.kr/link?id=A75459428 『 어우야담 (於于野譚) 』 의 비판적 정본 연구 ] || 355-408<small>(54)</small> || 29 || 2002 || 신익철, 이형대
 +
|-
 +
| A02912 || [http://www.riss.kr/link?id=A75459716 박지원의 『 발승암기 (髮僧菴記) 』 연구 - 파격의 형식과 우의를 중심으로 ] || 409-432<small>(24)</small> || 29 || 2002 || 박경남
 +
|-
 +
| A02913 || [http://www.riss.kr/link?id=A75459429 이옥 (李鈺)의 문학에서 " 남녀 진정 (眞情) " 과 " 열절 (烈節) " 의 문제 ] || 433-462<small>(30)</small> || 29 || 2002 || 이지양
 +
|-
 +
| A03001 || [http://www.riss.kr/link?id=A19762234 조선후기 女性 墓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 || 007-036<small>(30)</small> || 30 || 2002 || 강혜선
 +
|-
 +
| A03002 || [http://www.riss.kr/link?id=A19762235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 || 037-073<small>(37)</small> || 30 || 2002 || 황미선
 +
|-
 +
| A03003 || [http://www.riss.kr/link?id=A19762236 碑誌文에 나타난 王과 王妃의 人物 形象  :  藏書閣 23冊本 『列聖誌狀通記』 所在 碑誌文을 중심으로 ] || 075-102<small>(28)</small> || 30 || 2002 || 허원기
 +
|-
 +
| A03004 || [http://www.riss.kr/link?id=A19762237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英組·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 103-143<small>(41)</small> || 30 || 2002 || 이은영
 +
|-
 +
| A03005 || [http://www.riss.kr/link?id=A19762238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 || 145-186<small>(42)</small> || 30 || 2002 || 신복호
 +
|-
 +
| A03006 || [http://www.riss.kr/link?id=A19762239 金九容 詩의 淸淨 意象에 내포된 정신적 의미 ] || 187-219<small>(33)</small> || 30 || 2002 || 유호진
 +
|-
 +
| A03007 || [http://www.riss.kr/link?id=A19762240 栗谷 李珥의 古文觀과 그 표현 특성 ] || 221-252<small>(32)</small> || 30 || 2002 || 홍학희
 +
|-
 +
| A03008 || [http://www.riss.kr/link?id=A19762241 鳴皐 任鐄 詩 硏究 ] || 253-285<small>(33)</small> || 30 || 2002 || 이창호
 +
|-
 +
| A03009 || [http://www.riss.kr/link?id=A19762242 조선후기 漢詩와 繪畵의 교섭  :  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 || 287-317<small>(31)</small> || 30 || 2002 || 강명관
 +
|-
 +
| A03010 || [http://www.riss.kr/link?id=A19762243 조선후기 文學과 繪畵의 상호조명  :  상호 친연성 및 천기를 중심으로 ] || 319-351<small>(33)</small> || 30 || 2002 || 박수밀
 +
|-
 +
| A03011 || [http://www.riss.kr/link?id=A19762244 傳奇小說의 전통과 『九雲夢』 ] || 353-379<small>(27)</small> || 30 || 2002 || 정길수
 +
|-
 +
| A03012 || [http://www.riss.kr/link?id=A19762245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 ] || 381-407<small>(27)</small> || 30 || 2002 || 김윤조
 +
|-
 +
| A03013 || [http://www.riss.kr/link?id=A19762246 成海應과 申綽의 考證的 詩經學 硏究 ] || 409-434<small>(26)</small> || 30 || 2002 || 이병찬
 +
|-
 +
| A03014 || [http://www.riss.kr/link?id=A19762247 침계 윤정현의 문학활동  :  여항·서얼·서북지역 문인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 435-469<small>(35)</small> || 30 || 2002 || 김용태
 +
|-
 +
| A03101 || [http://www.riss.kr/link?id=A40032024 許筠의 尺牘에 대한 一考察 ] || 007-047<small>(41)</small> || 31 || 2003 || 김성진
 +
|-
 +
| A03102 || [http://www.riss.kr/link?id=A40032026 燕巖 尺牘小品의 문예미 ] || 049-087<small>(39)</small> || 31 || 2003 || 정민
 +
|-
 +
| A03103 || [http://www.riss.kr/link?id=A40032028 박지원과 이덕무의 戱文 교환에 대하여  :  박지원의 『산해경』東荒經 補經과 이덕무의 注에 나타난 지식론의 문제와 훈고학의 해학적 전용 방식, 그리고 척독 교환의 인간학적 의의 ] || 089-112<small>(24)</small> || 31 || 2003 || 심경호
 +
|-
 +
| A03104 || [http://www.riss.kr/link?id=A40032031 16세기 畿湖士林派의 형성과 그 문학적 지향 ] || 113-140<small>(28)</small> || 31 || 2003 || 우응순
 +
|-
 +
| A03105 || [http://www.riss.kr/link?id=A40032033 16·17세기 漢文學의 美學的 變貌 樣相에 대한 연구  :  林悌와 권필을 중심으로 ] || 141-165<small>(25)</small> || 31 || 2003 || 윤채근
 +
|-
 +
| A03106 || [http://www.riss.kr/link?id=A40032035 草盧 李惟泰의 詩世界 ] || 167-201<small>(35)</small> || 31 || 2003 || 유영봉
 +
|-
 +
| A03107 || [http://www.riss.kr/link?id=A40032037 18세기초 散文理論의 전개양상 一考  :  李宜顯,申維翰,趙龜命의 대비를 중심으로 ] || 203-236<small>(34)</small> || 31 || 2003 || 송혁기
 +
|-
 +
| A03108 || [http://www.riss.kr/link?id=A40032040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 || 237-266<small>(30)</small> || 31 || 2003 || 안대회
 +
|-
 +
| A03109 || [http://www.riss.kr/link?id=A40032042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 || 267-312<small>(46)</small> || 31 || 2003 || 강현경
 +
|-
 +
| A03110 || [http://www.riss.kr/link?id=A40032044 朴珪壽의 宮詞 「鳳韶餘響」에 대하여 ] || 313-337<small>(25)</small> || 31 || 2003 || 김명호
 +
|-
 +
| A03111 || [http://www.riss.kr/link?id=A40032046 高麗 禪詩와 日本 五山詩의 比較 硏究 ] || 339-390<small>(52)</small> || 31 || 2003 || 인권환
 +
|-
 +
| A03112 || [http://www.riss.kr/link?id=A40032048 한·중 寓言의 욕망 구현 양상 ] || 391-411<small>(22)</small> || 31 || 2003 || 김영
 +
|-
 +
| A03201 || [http://www.riss.kr/link?id=A40032051 『大東韻府群玉』의 역사적 기원과 위상 ] || 007-022<small>(16)</small> || 32 || 2003 || 임형택
 +
|-
 +
| A03202 || [http://www.riss.kr/link?id=A40032053 『詳說古文眞寶大全』 연구  :  도학적 문학관의 적용 양상 ] || 023-057<small>(35)</small> || 32 || 2003 || 정재철
 +
|-
 +
| A03203 || [http://www.riss.kr/link?id=A40032055 『삽교예학록』의 散文修辭學 硏究 ] || 059-086<small>(28)</small> || 32 || 2003 || 정우봉
 +
|-
 +
| A03204 || [http://www.riss.kr/link?id=A40032058 『東槎餘談』에 실린 李彦瑱의 필담 자료와 그 의미 ] || 087-123<small>(37)</small> || 32 || 2003 || 정민
 +
|-
 +
| A03205 || [http://www.riss.kr/link?id=A40032060 申緯의 『焚餘錄』 硏究 ] || 125-163<small>(39)</small> || 32 || 2003 || 이현일
 +
|-
 +
| A03206 || [http://www.riss.kr/link?id=A40032062 고려 중기 禪 사상과 문학 사상의 관련 양상 연구 ] || 165-205<small>(41)</small> || 32 || 2003 || 김승룡
 +
|-
 +
| A03207 || [http://www.riss.kr/link?id=A40032064 고려후기 주역 인식의 특성과 그 의미  :  白文寶를 중심으로 ] || 207-239<small>(33)</small> || 32 || 2003 || 김보경
 +
|-
 +
| A03208 || [http://www.riss.kr/link?id=A40032065 이승소의 한시를 통해 본 15세기 관료의식의 한 국면  :  애상적 인생 성찰과 귀거래 의식을 중심으로 ] || 241-283<small>(43)</small> || 32 || 2003 || 조영호
 +
|-
 +
| A03209 || [http://www.riss.kr/link?id=A40032066 최립 古文辭의 性格에 관하여 ] || 285-315<small>(31)</small> || 32 || 2003 || 김우정
 +
|-
 +
| A03210 || [http://www.riss.kr/link?id=A40032067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 || 317-352<small>(36)</small> || 32 || 2003 || 박무영
 +
|-
 +
| A03211 || [http://www.riss.kr/link?id=A40032068 朝鮮後期 女性文學硏究 Ⅲ  :  朴竹西의 漢詩를 중심으로 ] || 353-413<small>(61)</small> || 32 || 2003 || 김여주
 +
|-
 +
| A03212 || [http://www.riss.kr/link?id=A40032069 근대문학 형성기 卞榮晩의 사상적 지향과 문학세계 ] || 415-449<small>(35)</small> || 32 || 2003 || 신익철
 +
|-
 +
| A03301 || [http://www.riss.kr/link?id=A75465416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한국 한문학과 생태의 문제 ] || 007-031<small>(25)</small> || 33 || 2004 || 김상홍
 +
|-
 +
| A03302 || [http://www.riss.kr/link?id=A75459442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퇴계 이황의 유기체 우주론과 생태사상 ] || 033-065<small>(33)</small> || 33 || 2004 || 이종호
 +
|-
 +
| A03303 || [http://www.riss.kr/link?id=A75465531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장유의 사유방식에 대한 한 이해 -생태학적 인식의 모색- ] || 067-092<small>(26)</small> || 33 || 2004 || 우응순
 +
|-
 +
| A03304 || [http://www.riss.kr/link?id=A75465825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노장의 생태사상과 우언 ] || 093-112<small>(20)</small> || 33 || 2004 || 김영
 +
|-
 +
| A03305 || [http://www.riss.kr/link?id=A75464649 15세기 필기에서의 서사 수용 양상 ] || 113-140<small>(28)</small> || 33 || 2004 || 신상필
 +
|-
 +
| A03306 || [http://www.riss.kr/link?id=A75465903 기재 신광한 시의 형식적 특질 ] || 141-178<small>(38)</small> || 33 || 2004 || 임채명
 +
|-
 +
| A03307 || [http://www.riss.kr/link?id=A75463775 이계가와 우이동 ] || 179-203<small>(25)</small> || 33 || 2004 || 이군선
 +
|-
 +
| A03308 || [http://www.riss.kr/link?id=A75463776 이덕무 척독 연구 -"내면", 혹은 "사적 자아"의 발견- ] || 205-234<small>(30)</small> || 33 || 2004 || 홍인숙
 +
|-
 +
| A03309 || [http://www.riss.kr/link?id=A75459435 "상소문"의 문예미학 탐색 ] || 235-263<small>(29)</small> || 33 || 2004 || 신두환
 +
|-
 +
| A034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43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이규보 연보연구 ] || 007-035<small>(29)</small> || 34 || 2004 || 박성규
 +
|-
 +
| A03402 || [http://www.riss.kr/link?id=A75463803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정언묘선』의 사유체계 및 심미의식  ] || 037-073<small>(37)</small> || 34 || 2004 || 정재철
 +
|-
 +
| A03403 || [http://www.riss.kr/link?id=A75463804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유몽인(柳夢寅) 산문이론의 구조와 의미 -이른바 "진한고문파" 이론에 대한 재검토를 겸하여- ] || 075-116<small>(42)</small> || 34 || 2004 || 금동현
 +
|-
 +
| A03404 || [http://www.riss.kr/link?id=A75465904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조선후기 한문학과 원굉도(袁宏道) ] || 117-156<small>(40)</small> || 34 || 2004 || 심경호
 +
|-
 +
| A03405 || [http://www.riss.kr/link?id=A75465417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조선조 문인의 두시 「동곡칠가」 수용과 해석 ] || 157-188<small>(32)</small> || 34 || 2004 || 이의강
 +
|-
 +
| A03406 || [http://www.riss.kr/link?id=A75465418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중국에서의 한국 한문학 연구 현황과 과제 ] || 189-211<small>(23)</small> || 34 || 2004 || 채미화
 +
|-
 +
| A03407 || [http://www.riss.kr/link?id=A75465826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선탄 시세계의 한 국면 ] || 215-246<small>(32)</small> || 34 || 2004 || 이상동
 +
|-
 +
| A03408 || [http://www.riss.kr/link?id=A75463805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박은 시의 수사기교 연구(1) -요체의 분석을 중심으로- ] || 247-275<small>(29)</small> || 34 || 2004 || 홍순석
 +
|-
 +
| A03409 || [http://www.riss.kr/link?id=A75465905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노수신의 인심도심설에 내포된 육왕학의 심성수양론 ] ||277-315<small>(39)</small> || 34 || 2004 || 신향림
 +
|-
 +
| A03410 || [http://www.riss.kr/link?id=A75459444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용주 조경(趙絅)의 문학관에 대한 연구 ] || 317-346<small>(30)</small> || 34 || 2004 || 정경훈
 +
|-
 +
| A03411 || [http://www.riss.kr/link?id=A75459445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김만중 사유의 세계표상 양식과 『구운몽』 -공의 의미와 통속성을 중심으로- ] || 347-388<small>(42)</small> || 34 || 2004 || 윤채근
 +
|-
 +
| A03412 || [http://www.riss.kr/link?id=A75465419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도암(陶菴) 이재(李縡) 시의 문예미 ] || 389-414<small>(26)</small> || 34 || 2004 || 정순희
 +
|-
 +
| A03413 || [http://www.riss.kr/link?id=A75459446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약산 오광운 시의 문예미학적 특징 -경이로움과 정취를 중심으로- ] || 415-440<small>(26)</small> || 34 || 2004 || 김종진
 +
|-
 +
| A03414 || [http://www.riss.kr/link?id=A75459447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인조말, 효종조의 문풍 변화 -『심양장계(瀋陽狀啓)』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 441-477<small>(37)</small> || 34 || 2004 || 남은경
 +
|-
 +
| A03501 || [http://www.riss.kr/link?id=A75465532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산문론에서 "실(實)"의 문제 ] || 007-033<small>(27)</small> || 35 || 2005 || 김철범
 +
|-
 +
| A03502 || [http://www.riss.kr/link?id=A75465420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 || 035-077<small>(43)</small> || 35 || 2005 || 정민
 +
|-
 +
| A03503 || [http://www.riss.kr/link?id=A75459448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성령론의 재조명 - 최성환의 성령론을 중심으로 - ] || 079-108<small>(30)</small> || 35 || 2005 || 정우봉
 +
|-
 +
| A03504 || [http://www.riss.kr/link?id=A75465421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중인문학의 재조명 - 조희룡을 중심으로 ] || 109-136<small>(28)</small> || 35 || 2005 || 윤재민
 +
|-
 +
| A03505 || [http://www.riss.kr/link?id=A75459449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추사 김정희의 유희적 시세계 ] || 137-166<small>(30)</small> || 35 || 2005 || 이철희
 +
|-
 +
| A03506 || [http://www.riss.kr/link?id=A75463806 옥봉 백광훈 시의 함축적 성격 ] || 169-213<small>(45)</small> || 35 || 2005 || 김종서
 +
|-
 +
| A03507 || [http://www.riss.kr/link?id=A75465906 조선중기 한시에서의 전형 의상(意象)의 계승과 미감의 확충(1) - 변새풍,유협풍(邊塞風,游俠風) 의상을 중심으로 ] || 215-250<small>(36)</small> || 35 || 2005 || 임준철
 +
|-
 +
| A03508 || [http://www.riss.kr/link?id=A75464650 약천 남구만 시의 품격 ] || 251-284<small>(34)</small> || 35 || 2005 || 성당제
 +
|-
 +
| A03509 || [http://www.riss.kr/link?id=A75464665 신유한의 문예인식과 문장론 ] || 285-317<small>(33)</small> || 35 || 2005 || 이종호
 +
|-
 +
| A03510 || [http://www.riss.kr/link?id=A75465827 임윤지당의 정치담론 - 조선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 || 319-352<small>(34)</small> || 35 || 2005 || 이혜순
 +
|-
 +
| A03511 || [http://www.riss.kr/link?id=A75465422 「호질(虎叱)」, 청나라 인식에 관한 우언 ] || 353-394<small>(42)</small> || 35 || 2005 || 이현식
 +
|-
 +
| A03512 || [http://www.riss.kr/link?id=A75465908 성해응의 열녀전에 대하여 - 열녀인식과 그 형상을 중심으로 - ] || 395-430<small>(36)</small> || 35 || 2005 || 손혜리
 +
|-
 +
| A03513 || [http://www.riss.kr/link?id=A75465533 명미당 이건창의 의식세계의 한 국면 - 「녹언(鹿言)」을 중심으로 - ] || 431-456<small>(26)</small> || 35 || 2005 || 송희준
 +
|-
 +
| A03601 || [http://www.riss.kr/link?id=A75460893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조발제 : 동아시아 근대지향의 태동과 조선지식인의 자각 - 연암(燕岩)에서 노신(魯迅)에 이르기까지 - ] || 013-036<small>(24)</small> || 36 || 2005 || 김병민
 +
|-
 +
| A03602 || [http://www.riss.kr/link?id=A75459717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의 사유에 있어서 "탈근대적 비전"에 대한 탐구 - 주체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 ] || 037-060<small>(24)</small> || 36 || 2005 || 고미숙
 +
|-
 +
| A03603 || [http://www.riss.kr/link?id=A75465423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의 생활 특징과 문화예술사상 ] || 061-084<small>(24)</small> || 36 || 2005 || 이지양
 +
|-
 +
| A03604 || [http://www.riss.kr/link?id=A75459450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과 그의 단편들 - 조선후기 사회에서 지식인의 역할 - ] || 085-116<small>(32)</small> || 36 || 2005 || 에마뉴엘페트라이시
 +
|-
 +
| A03605 || [http://www.riss.kr/link?id=A75465424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초정(楚亭) 박제가의 인간면모와 일상 - 소실(小室)을 맞는 시문을 중심으로 - ] || 117-150<small>(34)</small> || 36 || 2005 || 안대회
 +
|-
 +
| A03606 || [http://www.riss.kr/link?id=A75463807 남명(南冥) 시에 나타난 "상달(上達)"의 정신경계에 대하여 ] || 169-208<small>(40)</small> || 36 || 2005 || 유호진
 +
|-
 +
| A03607 || [http://www.riss.kr/link?id=A75464666 조선 전기 사문학(詞文學) 인식과 그 특성 ] || 209-248<small>(40)</small> || 36 || 2005 || 이승매
 +
|-
 +
| A03608 || [http://www.riss.kr/link?id=A75463808 허균(許筠) 사(詞) 분석 ] || 249-272<small>(24)</small> || 36 || 2005 || 박현규
 +
|-
 +
| A03609 || [http://www.riss.kr/link?id=A75463809 『서경시화(西京詩話)』연구 -지역문학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 || 273-302<small>(30)</small> || 36 || 2005 || 장유승
 +
|-
 +
| A03610 || [http://www.riss.kr/link?id=A75459718 대청(對淸) 사행(使行)과 형가(荊軻)의 문학적 형상 ] || 303-332<small>(30)</small> || 36 || 2005 || 이승수
 +
|-
 +
| A03611 || [http://www.riss.kr/link?id=A75465425 박제가 회인시(懷人詩) 연구 ] || 333-362<small>(30)</small> || 36 || 2005 || 정일남
 +
|-
 +
| A03612 || [http://www.riss.kr/link?id=A75465829 19세기 차기체(箚記體) 필기의 글쓰기 양상 - 『지수념필(智水拈筆)』를 통해 본 지식의 생성과 유통 - ] || 363-416<small>(54)</small> || 36 || 2005 || 진재교
 +
|-
 +
| A03613 || [http://www.riss.kr/link?id=A75465534 산문 작품을 통해 본 옥수(玉垂) 조면호(趙冕鎬)의 문학적 지향 ] || 417-449<small>(33)</small> || 36 || 2005 || 김용태
 +
|-
 +
| A03701 || [http://www.riss.kr/link?id=A75463908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기조 발제 :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방향 ] || 021-030<small>(10)</small> || 37 || 2006 || 이동환
 +
|-
 +
| A03702 || [http://www.riss.kr/link?id=A75463909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기조 발제 : 한문학 유산과 그 문화론적 인식 방향 ] || 031-046<small>(16)</small> || 37 || 2006 || 임형택
 +
|-
 +
| A03703 || [http://www.riss.kr/link?id=A75459451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학 연구의 방향과 "민족" ] || 047-064<small>(18)</small> || 37 || 2006 || 김시업
 +
|-
 +
| A03704 || [http://www.riss.kr/link?id=A75465428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의 서사전통과 근대계몽기 신문의 서사 -서사의 근대적 모색- ] || 065-101<small>(37)</small> || 37 || 2006 || 진재교
 +
|-
 +
| A03705 || [http://www.riss.kr/link?id=A75465830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국한문학 연구에 있어서 동아시아 담론의 의미 ] || 103-133<small>(31)</small> || 37 || 2006 || 황위주
 +
|-
 +
| A03706 || [http://www.riss.kr/link?id=A75465535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학 연구와 일상 ] || 135-157<small>(23)</small> || 37 || 2006 || 강명관
 +
|-
 +
| A03707 || [http://www.riss.kr/link?id=A75459456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국한문학의 여성문학적 성과와 전망 ] || 159-187<small>(29)</small> || 37 || 2006 || 임유경
 +
|-
 +
| A03708 || [http://www.riss.kr/link?id=A75460266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산수(山水)와 생태와 문학 ] || 189-218<small>(30)</small> || 37 || 2006 || 이종묵
 +
|-
 +
| A03709 || [http://www.riss.kr/link?id=A75459464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기조발제 : 한문 해석 인식론(認識論)과 한국 문화콘텐츠의 발양 ] || 221-262<small>(42)</small> || 37 || 2006 || 김용옥
 +
|-
 +
| A03710 || [http://www.riss.kr/link?id=A75459719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한문학에 나타난 우리 음악과 무용 ] || 263-283<small>(42)</small> || 37 || 2006 || 이지양
 +
|-
 +
| A03711 || [http://www.riss.kr/link?id=A75465429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어려운 국악, 절반의 책임은 한문 ] || 285-304<small>(30)</small> || 37 || 2006 || 최영미
 +
|-
 +
| A03712 || [http://www.riss.kr/link?id=A75465910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연행로(燕行路)를 중심으로- ] || 305-325<small>(21)</small> || 37 || 2006 || 이승수
 +
|-
 +
| A03713 || [http://www.riss.kr/link?id=A75465430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역사 다큐멘터리와 한문학의 만남 -KBS 『역사스페셜』을 중심으로- ] || 327-335<small>(9)</small> || 37 || 2006 || 남성우
 +
|-
 +
| A03714 || [http://www.riss.kr/link?id=A75464340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야담 문학의 활용과 TV 드라마,영화의 창조적 상상력 -『어우야담』과 <왕의 여자>,<황진이>의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 || 337-354<small>(18)</small> || 37 || 2006 || 신익철
 +
|-
 +
| A03715 || [http://www.riss.kr/link?id=A75463811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영화, TV드라마 사극과 한문학 ] || 355-366<small>(12)</small> || 37 || 2006 || 안영동
 +
|-
 +
| A03716 || [http://www.riss.kr/link?id=A75464341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열하일기, 그 "매끄러운 공간" 속으로 -열하일기와 애니메이션의 마주침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 367-382<small>(16)</small> || 37 || 2006 || 고미숙
 +
|-
 +
| A03717 || [http://www.riss.kr/link?id=A75463812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옛날이야기에서 애니메이션 소재 찾기 ] || 383-398<small>(16)</small> || 37 || 2006 || 이정호
 +
|-
 +
| A03718 || [http://www.riss.kr/link?id=A75465431 조선 중기 복고적 산문의 두 경향 -최립과 유몽인(柳夢寅)을 중심으로- ] || 399-428<small>(30)</small> || 37 || 2006 || 김우정
 +
|-
 +
| A03719 || [http://www.riss.kr/link?id=A75465840 선집편찬(選集編纂)으로 본 17세기 명시(明詩) 독서 경향의 실상 ] || 429-457<small>(29)</small> || 37 || 2006 || 최은주
 +
|-
 +
| A03720 || [http://www.riss.kr/link?id=A75465536 『천예록(天倪錄)』 원형재구(原形再構)와 향유양상(享有樣相) 일고 ] || 459-501<small>(43)</small> || 37 || 2006 || 김준형
 +
|-
 +
| A038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66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반계일고(磻溪逸稿)』의 고찰 -실학과 실학파문학의 원류- ] || 007-029<small>(23)</small> || 38 || 2006 || 임형택
 +
|-
 +
| A03802 || [http://www.riss.kr/link?id=A75459472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한국한문문헌 속의 참요 -특히 민중적 대항 언론과 정치적 의제(擬製)에 관하여- ] || 031-067<small>(37)</small> || 38 || 2006 || 심경호
 +
|-
 +
| A03803 || [http://www.riss.kr/link?id=A75459473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이규보의 『굴원불의사론(屈原不宜死論)』에 나타난 역사의식의 문제점] || 069-114<small>(46)</small> || 38 || 2006 || 윤인현
 +
|-
 +
| A03804 || [http://www.riss.kr/link?id=A75459474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화사」의 사서 체재(體裁)와 그 의미 -치란(治亂)의 반복 구성을 중심으로-] || 115-139<small>(25)</small> || 38 || 2006 || 조현우
 +
|-
 +
| A03805 || [http://www.riss.kr/link?id=A75465432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 -규장각 소장 갱재축과 연운축(聯韻軸)을 중심으로- ] || 141-176<small>(36)</small> || 38 || 2006 || 김남기
 +
|-
 +
| A03806 || [http://www.riss.kr/link?id=A75460894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이서,역관 계층 소설 관련 양상의 현실적 근거와 그 실제 ] || 177-202<small>(26)</small> || 38 || 2006 || 신상필
 +
|-
 +
| A03807 || [http://www.riss.kr/link?id=A75465433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시경』 구조 체계화와 모순 해결 양상 연구 -한국의 『시경』 국풍론을 중심으로- ] || 203-231<small>(29)</small> || 38 || 2006 || 이병찬
 +
|-
 +
| A03808 || [http://www.riss.kr/link?id=A75459467 이규보의 논변류(論辨類) 산문 연구 ] || 233-262<small>(30)</small> || 38 || 2006 || 서정화
 +
|-
 +
| A03809 || [http://www.riss.kr/link?id=A75464667 조선 사림의 시가에 나타난 "졸박(拙樸)"의 문예미학 ] || 263-297<small>(35)</small> || 38 || 2006 || 신두환
 +
|-
 +
| A03810 || [http://www.riss.kr/link?id=A75463910 『문결』의 창작론(創作論)과 그 문론사적 의의 ] || 299-332<small>(34)</small> || 38 || 2006 || 유동재
 +
|-
 +
| A03811 || [http://www.riss.kr/link?id=A75464668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의 산문미 재론 ] || 333-364<small>(32)</small> || 38 || 2006 || 이승수
 +
|-
 +
| A03812 || [http://www.riss.kr/link?id=A75463813 다산의 장기 유배기(流配期) 시에 함축된 내면의식의 제양상 ] || 365-395<small>(31)</small> || 38 || 2006 || 김봉남
 +
|-
 +
| A039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88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 || 007-050<small>(44)</small> || 39 || 2007 || 이종호
 +
|-
 +
| A03902 || [http://www.riss.kr/link?id=A75459725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지역(地域) 한문학(漢文學) 연구(硏究)의 실상(實相)과 문제점(問題點) ] || 051-083<small>(33)</small> || 39 || 2007 || 정만호
 +
|-
 +
| A03903 || [http://www.riss.kr/link?id=A75465434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호서지역 여성 한문학의 사적 전개 ] || 085-116<small>(32)</small> || 39 || 2007 || 문희순
 +
|-
 +
| A03904 || [http://www.riss.kr/link?id=A75460899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16세기 호남(湖南) 시(詩)의 미적(美的) 특징(特徵) ] || 117-157<small>(41)</small> || 39 || 2007 || 김종서
 +
|-
 +
| A03905 || [http://www.riss.kr/link?id=A75465537 율곡 시의 원전 비평 -원접사(遠接使) 때의 차운시들에 대해서- ] || 161-186<small>(26)</small> || 39 || 2007 || 김주수
 +
|-
 +
| A03906 || [http://www.riss.kr/link?id=A75465911 선조,광해 연간 문풍(文風)의 변화와 그 의미 -전후칠자(前後七子) 수용 논의의 반성적 고찰을 겸하여- ] || 187-222<small>(36)</small> || 39 || 2007 || 김우정
 +
|-
 +
| A03907 || [http://www.riss.kr/link?id=A75465538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비지문(碑誌文)의 전범(典範)과 서술 양상에 대한 고찰 ] || 223-259<small>(37)</small> || 39 || 2007 || 안득용
 +
|-
 +
| A03908 || [http://www.riss.kr/link?id=A75465912 이언진 한시(漢詩)의 실험성과 「동호거실」 ] || 261-292<small>(32)</small> || 39 || 2007 || 김동준
 +
|-
 +
| A03909 || [http://www.riss.kr/link?id=A75464669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한시(漢詩)에 관(關)한 한 고찰(考察) ] || 293-322<small>(30)</small> || 39 || 2007 || 이종문
 +
|-
 +
| A03910 || [http://www.riss.kr/link?id=A75465913 박제가 시미론(詩味論) 연구 ] || 323-344<small>(22)</small> || 39 || 2007 || 정일남
 +
|-
 +
| A03911 || [http://www.riss.kr/link?id=A75464342 박종채 『과정록』의 내용 형성과 글쓰기 방식 ] || 345-386<small>(42)</small> || 39 || 2007 || 이강옥
 +
|-
 +
| A03912 || [http://www.riss.kr/link?id=A75464670 이조(李朝) 후기(後期) 차기체(箚記體) 필기(筆記) 연구(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 || 387-425<small>(39)</small> || 39 || 2007 || 진재교
 +
|-
 +
| A03913 || [http://www.riss.kr/link?id=A75465914 일제강점기 재조일인(在朝日人)의 한시(漢詩) 고찰 -『이문회지(以文會誌)』를 중심으로- ] || 427-457<small>(31)</small> || 39 || 2007 || 박영미
 +
|-
 +
| A04001 || [http://www.riss.kr/link?id=A75465435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성리학(性理學)과 문예미학(文藝美學)에 관한 담론(談論) ] || 009-044<small>(36)</small> || 40 || 2007 || 신두환
 +
|-
 +
| A04002 || [http://www.riss.kr/link?id=A75459489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삶과 시세계의 변이과정 연구 ] || 045-086<small>(42)</small> || 40 || 2007 || 이정화
 +
|-
 +
| A04003 || [http://www.riss.kr/link?id=A75465436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설(說)" 연구(硏究) -"설(說)"에 나타난 서애(西厓)의 면모 고찰- ] || 087-121<small>(35)</small> || 40 || 2007 || 정시영
 +
|-
 +
| A04004 || [http://www.riss.kr/link?id=A75460268 김시습(金時習)의 불교시(佛敎詩)에 관한 소고(小考) -사유록(四遊錄) 창작기(創作期)의 시(詩)들을 중심으로- ] || 123-151<small>(29)</small> || 40 || 2007 || 김윤섭
 +
|-
 +
| A04005 || [http://www.riss.kr/link?id=A75460269 『매창집』에 관련된 인물과 창작 시기에 대하여 ] || 153-176<small>(24)</small> || 40 || 2007 || 허경진
 +
|-
 +
| A04006 || [http://www.riss.kr/link?id=A75465539 이현환(李玄煥)의 「영주창화록서(瀛州唱和錄序)」 개작(改作)의 양상 ] || 177-208<small>(32)</small> || 40 || 2007 || 박용만
 +
|-
 +
| A04007 || [http://www.riss.kr/link?id=A75459726 「호질(虎叱)」에 대한 재성찰 ] || 209-242<small>(34)</small> || 40 || 2007 || 정학성
 +
|-
 +
| A04008 || [http://www.riss.kr/link?id=A75465540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의 『경신당협대(竟信堂夾袋)』 소고(小考) ] || 243-280<small>(38)</small> || 40 || 2007 || 박종훈
 +
|-
 +
| A04009 || [http://www.riss.kr/link?id=A75465917 홍제(弘齊)의 시세계(詩世界)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 281-314<small>(34)</small> || 40 || 2007 || 조동영
 +
|-
 +
| A04010 || [http://www.riss.kr/link?id=A75463824 박규수(朴珪壽)의 「숙수념행(孰遂念行)」에 대하여 ] || 315-337<small>(23)</small> || 40 || 2007 || 김명호
 +
|-
 +
| A04011 || [http://www.riss.kr/link?id=A75465918 평비본(評批本) 『고시비평(古詩批評)』 연구 ] || 339-375<small>(37)</small> || 40 || 2007 || 정우봉
 +
|-
 +
| A04012 || [http://www.riss.kr/link?id=A75463825 미발표 한문소설 「종생전(宗生傳)」에 대하여 -전기소설적 특성을 중심으로- ] || 377-424<small>(48)</small> || 40 || 2007 || 류준경
 +
|-
 +
| A04013 || [http://www.riss.kr/link?id=A75464343 18세기 서사양식의 교섭양상에 대하여 -"강상효녀(江上孝女)"를 대상으로 한 작품중심으로- ] || 425-464<small>(40)</small> || 40 || 2007 || 손혜리
 +
|-
 +
| A04014 || [http://www.riss.kr/link?id=A75463911 조선후기 언어 문자관의 토대와 전개 -18세기 연암그룹 및 다산, 항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465-499<small>(35)</small> || 40 || 2007 || 박수밀
 +
|-
 +
| A04015 || [http://www.riss.kr/link?id=A75463912 관도(貫道),재도(載道),도문일치(道文一致)의 상호관계 및 개념,성격 재고(再考) ] || 501-527<small>(27)</small> || 40 || 2007 || 이상하
 +
|-
 +
| A04016 || [http://www.riss.kr/link?id=A75460047 『수호전(水滸傳)』 임충(林沖) 서사의 김성탄(金聖嘆) 독법(讀法) ] || 529-559<small>(31)</small> || 40 || 2007 || 이승수
 +
|-
 +
| A04101 || [http://www.riss.kr/link?id=A75463826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연구의 신기획: 주제와 방법 : 한국한문학 연구의 발전적 전망 ] || 009-017<small>(9)</small> || 41 || 2008 || 박성규
 +
|-
 +
| A04102 || [http://www.riss.kr/link?id=A75463913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단대사적 접근 : 18세기 한문학 연구와 문화사적 시야 ] || 019-041<small>(23)</small> || 41 || 2008 || 정민
 +
|-
 +
| A04103 || [http://www.riss.kr/link?id=A75465919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기획주제 : 19세기 한문학의 계열과 논점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를 중심으로- ] || 043-072<small>(30)</small> || 41 || 2008 || 박무영
 +
|-
 +
| A04104 || [http://www.riss.kr/link?id=A75465437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교류사적 시야 : 동아시아에서의 서적의 유통과 지식의 생성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의 인적 교류와 서적의 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 || 073-114<small>(42)</small> || 41 || 2008 || 진재교
 +
|-
 +
| A04105 || [http://www.riss.kr/link?id=A75461999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교류사적 시야 : 통신사를 통한 한,일 문학 교류의 전개 양상 -『천초문고서목해제(淺草文庫書目解題)』 소재 필담창화집을 자료로 하여- ] || 115-140<small>(26)</small> || 41 || 2008 || 구지현
 +
|-
 +
| A04106 || [http://www.riss.kr/link?id=A75465438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권역의 독자성과 소통의 모색 : 정자(亭子)와 원림(園林)을 통한 문학적 교유와 소통 -울산 소개 집청정(集淸亭)의 경우를 예로 하여- ] || 141-167<small>(27)</small> || 41 || 2008 || 성범중
 +
|-
 +
| A04107 || [http://www.riss.kr/link?id=A75459490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권역의 독자성과 소통의 모색 : 조선후기 령남(嶺南)의 경학연구(經學硏究)와 소통(疏通)의 모색(摸索) ] || 169-204<small>(36)</small> || 41 || 2008 || 최석기
 +
|-
 +
| A04108 || [http://www.riss.kr/link?id=A75459727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고려시대(高麗時代)까지의 한문학 연구(漢文學 硏究)의 현황(現況)과 자료정리 과제(資料整理 果題) ] || 205-225<small>(21)</small> || 41 || 2008 || 이종문
 +
|-
 +
| A04109 || [http://www.riss.kr/link?id=A7545949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금석문과 한문학 연구 ] || 227-273<small>(47)</small> || 41 || 2008 || 심경호
 +
|-
 +
| A04110 || [http://www.riss.kr/link?id=A7545973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해외 고문헌 조사의 현황과 향후 과제 ] || 273-308<small>(36)</small> || 41 || 2008 || 황위주
 +
|-
 +
| A04111 || [http://www.riss.kr/link?id=A7546554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미발굴 한문희곡 「백상루기(百祥樓記)」연구 ] || 309-341<small>(33)</small> || 41 || 2008 || 정우봉
 +
|-
 +
| A04112 || [http://www.riss.kr/link?id=A75465920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위백규의 원체산문(原體散文) 「원사물(原事物)」고(考) ] || 343-374<small>(32)</small> || 41 || 2008 || 박동주
 +
|-
 +
| A04113 || [http://www.riss.kr/link?id=A75465542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계곡(谿谷) 장유(張維) 문학(文學)에 나타난 『장자(莊子)』 우언(寓言) 수용양상(受容樣相)과 그 의미(意味) ] || 375-407<small>(33)</small> || 41 || 2008 || 학군봉
 +
|-
 +
| A04114 || [http://www.riss.kr/link?id=A75465923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율곡 시에 나타난 "졸박(拙樸)"의 미의식 -『정언묘선』「원자집」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 409-443<small>(35)</small> || 41 || 2008 || 김주수
 +
|-
 +
| A04115 || [http://www.riss.kr/link?id=A75465439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삽교, 안석경(安錫儆)의 「검녀(劒女)」 연구(硏究) -여협서사(女俠敍事) 전통(傳統)의 계승(繼承)과 변용(變容)- ] || 445-475<small>(31)</small> || 41 || 2008 || 강혜규
 +
|-
 +
| A04116 || [http://www.riss.kr/link?id=A75462102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흠영(欽英)』일기에 재현된 경험적 시간의 의미 ] || 477-506<small>(30)</small> || 41 || 2008 || 김하라
 +
|-
 +
| A04117 || [http://www.riss.kr/link?id=A75463827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부(賦)에 대한 한 연구 -도우(道友)와 우국애정(憂國哀情)- ] || 507-532<small>(26)</small> || 41 || 2008 || 신태영
 +
|-
 +
| A04118 || [http://www.riss.kr/link?id=A7546383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한자(漢子) 이음(異音) 연구(硏究) ] || 533-564<small>(32)</small> || 41 || 2008 || 김영봉
 +
|-
 +
| A04119 || [http://www.riss.kr/link?id=A75463832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필기(筆記), 야담집(野談集)에의 수용(受容) 양상(樣相) -『교거쇄편』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 || 565-593<small>(29)</small> || 41 || 2008 || 정명기
 +
|-
 +
| A04120 || [http://www.riss.kr/link?id=A75463833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근대전환기 야담의 전대 야담 수용 태도 ] || 595-631<small>(37)</small> || 41 || 2008 || 김준형
 +
|-
 +
| A04201 || [http://www.riss.kr/link?id=A75459494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시대의 성담론과 성(性) ] || 009-043<small>(35)</small> || 42 || 2008 || 강명관
 +
|-
 +
| A04202 || [http://www.riss.kr/link?id=A75460900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 후기 남성훼절 서사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 -정념(情念) 담론에서 이익(利益) 담론으로- ] || 045-086<small>(42)</small> || 42 || 2008 || 윤채근
 +
|-
 +
| A04203 || [http://www.riss.kr/link?id=A75465924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조 후기 문예공간에서 성적 욕망의 빛과 그늘 -예교, 금기와 위반의 길항(拮抗)과 그 변증법(辨證法)- ] || 087-126<small>(40)</small> || 42 || 2008 || 진재교
 +
|-
 +
| A04204 || [http://www.riss.kr/link?id=A75465440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후기 성 담론과 한문소설에 재현된 섹슈얼리티 ] || 127-153<small>(27)</small> || 42 || 2008 || 김경미
 +
|-
 +
| A04205 || [http://www.riss.kr/link?id=A75465925 권필(權韠)과 허균(許筠)의 교유(交遊)와 그 당대적(當代的) 의미(意味) ] || 155-186<small>(32)</small> || 42 || 2008 || 김창호
 +
|-
 +
| A04206 || [http://www.riss.kr/link?id=A75463837 지천 최명길의 문학과 사상에 관하여 ] || 187-222<small>(36)</small> || 42 || 2008 || 심경호
 +
|-
 +
| A04207 || [http://www.riss.kr/link?id=A75463838 17세기 초 문관출신 명사(明使) 접반(接伴)과 한중(韓中) 문학교류 ] || 223-254<small>(32)</small> || 42 || 2008 || 노경희
 +
|-
 +
| A04208 || [http://www.riss.kr/link?id=A75463840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의 퇴계설(退溪說) 비판(批判) -『퇴계사서질의의의(退溪四書質疑疑義)』 “논어(論語)” 분석을 중심으로- ] || 255-282<small>(28)</small> || 42 || 2008 || 전재동
 +
|-
 +
| A04209 || [http://www.riss.kr/link?id=A75463839 영조조(英祖朝) 집권(執權) 노론계(老論系) 문인(文人)의 자기검열(自己檢閱) 양상(樣相)에 대하여 -황경원,남유용,이천보(黃景源,南有容,李天輔)를 중심으로- ] || 283-311<small>(29)</small> || 42 || 2008 || 백진우
 +
|-
 +
| A04210 || [http://www.riss.kr/link?id=A75463844 박지원 산문의 문체적 특성 일고(一考) -어휘와 주제의 관련 양상을 통해- ] || 313-332<small>(20)</small> || 42 || 2008 || 정순희
 +
|-
 +
| A04211 || [http://www.riss.kr/link?id=A75465543 유한준(兪漢雋),박윤원(朴胤源)의 도문분리 논쟁과 유한준(兪漢雋)의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 || 333-363<small>(31)</small> || 42 || 2008 || 박경남
 +
|-
 +
| A04212 || [http://www.riss.kr/link?id=A75462103 우촌(雨村) 남상교(南尙敎) 시(詩) 연구(硏究) ] || 365-400<small>(36)</small> || 42 || 2008 || 이현일
 +
|-
 +
| A04213 || [http://www.riss.kr/link?id=A75465544 한시에 표상된 근대의 풍경 -정만조의 일본 기행 한시를 중심으로- ] || 401-428<small>(28)</small> || 42 || 2008 || 박영미
 +
|-
 +
| A04214 || [http://www.riss.kr/link?id=A75459470 한문학의 전통과 박목월의 『윤사월』 ] || 429-458<small>(30)</small> || 42 || 2008 || 구본현
 +
|-
 +
| A04215 || [http://www.riss.kr/link?id=A75460901 “해태”고 ] || 459-492<small>(34)</small> || 42 || 2008 || 김언종
 +
|-
 +
| A04301 || [http://www.riss.kr/link?id=A76495583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 009-020<small>(12)</small> || 43 || 2009 || 박성규
 +
|-
 +
| A04302 || [http://www.riss.kr/link?id=A76495582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한국문학의 바다, 그 재발견의 의미 ] || 021-048<small>(28)</small> || 43 || 2009 || 최영호
 +
|-
 +
| A04303 || [http://www.riss.kr/link?id=A76495584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수로조천록(水路朝天錄)과 통신사행록의 바다 체험 비교 ] || 049-079<small>(31)</small> || 43 || 2009 || 허경진
 +
|-
 +
| A04304 || [http://www.riss.kr/link?id=A76495587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표류선, 청하지 않은 손님 -외국 선박의 조선 표류 관련기록 탐토(探討)- ] || 081-108<small>(28)</small> || 43 || 2009 || 정민
 +
|-
 +
| A04305 || [http://www.riss.kr/link?id=A76495585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신경준(申景濬)의 국토지리관과 해로(海路),선박(船舶)에 대한 인식 ] || 109-135<small>(27)</small> || 43 || 2009 || 신익철
 +
|-
 +
| A04306 || [http://www.riss.kr/link?id=A76495588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한국(韓國) 한시(漢詩)에 나타난 "바다" 소재와 주제 ] || 137-182<small>(46)</small> || 43 || 2009 || 윤인현
 +
|-
 +
| A04307 || [http://www.riss.kr/link?id=A76495586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조일(朝日) 문사(文士)의 눈에 비친 남해(南海) 그리고 현해탄(玄海灘) -주로 사행(使行) 관련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 183-223<small>(41)</small> || 43 || 2009 || 임채명
 +
|-
 +
| A04308 || [http://www.riss.kr/link?id=A76495589 다산(茶山)의 소순(蘇洵),소철(蘇轍) 논(論) ] || 225-252<small>(28)</small> || 43 || 2009 || 김상홍
 +
|-
 +
| A04309 || [http://www.riss.kr/link?id=A76495591 일본(日本) 고학파(古學派)의 『맹자(孟子)』해석(解釋)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맹자요의(孟子要義)』-인의예지(仁義禮智)에 대한 해석(解釋)을 중심으로- ] || 253-292<small>(40)</small> || 43 || 2009 || 함영대
 +
|-
 +
| A04310 || [http://www.riss.kr/link?id=A76495590 류몽인(柳夢寅) 산문(散文)에 나타난 비극성(悲劇性) ] || 293-323<small>(31)</small> || 43 || 2009 || 안득용
 +
|-
 +
| A04311 || [http://www.riss.kr/link?id=A76495592 청(淸) 김상헌(金尙憲) 《조천록(朝天錄)》고찰(考察) -한시작품을 중심으로- ] || 325-364<small>(40)</small> || 43 || 2009 || 황만기
 +
|-
 +
| A04312 || [http://www.riss.kr/link?id=A76495593 초정(楚亭) 박제가(朴濟家)의 비지문(碑誌文) 연구 ] || 365-392<small>(28)</small> || 43 || 2009 || 이홍식
 +
|-
 +
| A04313 || [http://www.riss.kr/link?id=A76495581 19세기 시학상의 유륙입두(由陸入杜)와 유소입두론(由蘇入杜論) ] || 393-427<small>(35)</small> || 43 || 2009 || 남영진
 +
|-
 +
| A04401 || [http://www.riss.kr/link?id=A76621612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과 중국(中國)  ] || 009-021<small>(13)</small> || 44 || 2009 || 박성규
 +
|-
 +
| A04402 || [http://www.riss.kr/link?id=A76621617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시(詩)의 초사(楚辭) 수용 일고(一考)  ] || 023-050<small>(28)</small> || 44 || 2009 || 정일남
 +
|-
 +
| A04403 || [http://www.riss.kr/link?id=A76621614 손곡(蓀谷) 이달(李達)의 악부시(樂府詩) 수용(受容)과 미적(美的) 성취(成就)  ] || 051-084<small>(34)</small> || 44 || 2009 || 김종서
 +
|-
 +
| A04404 || [http://www.riss.kr/link?id=A76621615 조선조(朝鮮朝)의 서곤체(西崑體) 수용과 창작 양상 ] || 085-113<small>(29)</small> || 44 || 2009 || 박병익
 +
|-
 +
| A04405 || [http://www.riss.kr/link?id=A76621616 조선중기 문장가의 한유문 토석과 그 의미  ] || 115-144<small>(30)</small> || 44 || 2009 || 정재철
 +
|-
 +
| A04406 || [http://www.riss.kr/link?id=A76621618 한국 시가론(詩歌論)에서의 『시경(詩經)』시(詩) 이론의 영향  ] || 145-183<small>(39)</small> || 44 || 2009 || 윤인현
 +
|-
 +
| A04407 || [http://www.riss.kr/link?id=A76621613 다산(茶山) 논어설(論語說)의 경개(梗槪)와 그 정수(精髓)에 대하여 -다산(茶山)의 "여소부자(予所否者), 천염지(天厭之)" 해(解)  ] || 185-205<small>(21)</small> || 44 || 2009 || 김언종
 +
|-
 +
| A04408 || [http://www.riss.kr/link?id=A76621611 하평촉사(賀平蜀使) 시기(1372~73) 정몽주(鄭夢周)의 행적(行蹟)과 작품고(作品考)  ] || 207-233<small>(27)</small> || 44 || 2009 || 박현규
 +
|-
 +
| A04409 || [http://www.riss.kr/link?id=A76621619 허균(許筠)의 염정시(艶情詩)에 대하여  ] || 235-270<small>(36)</small> || 44 || 2009 || 유호진
 +
|-
 +
| A04410 || [http://www.riss.kr/link?id=A76621620 홍원(洪原) 기녀(妓女) 조생(趙生) 관련 『조생첩(趙生帖)』일고(一考)  ] || 271-297<small>(27)</small> || 44 || 2009 || 박종훈
 +
|-
 +
| A04411 || [http://www.riss.kr/link?id=A76621606 「여의침명(如意枕銘)」에 나타난 욕망에 관한 재인식  ] || 299-322<small>(24)</small> || 44 || 2009 || 최원경
 +
|-
 +
| A04412 || [http://www.riss.kr/link?id=A76621608 18세기 서화제발(書畵題跋) 연구(2) -숙종,경종시대: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와 동계(東谿) 조구명(趙龜命)을 중심으로  ] || 323-377<small>(55)</small> || 44 || 2009 || 정은진
 +
|-
 +
| A04413 || [http://www.riss.kr/link?id=A76621607 『옥수기(玉樹記)』의 작품세계와 심능숙(沈能淑)의 세계관  :  선가(仙家) 지향(志向)을 중심으로  ] || 379-403<small>(25)</small> || 44 || 2009 || 장효현
 +
|-
 +
| A04414 || [http://www.riss.kr/link?id=A76621610 조선말(朝鮮末) 영남(領南) 지식인(知識人)의 문(文)에 대한 인식(認識)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과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학론쟁(文學論爭)을 중심으로  ] || 405-439<small>(35)</small> || 44 || 2009 || 신승훈
 +
|-
 +
| A04415 || [http://www.riss.kr/link?id=A76621609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봄  ] || 441-489<small>(49)</small> || 44 || 2009 || 이성혜
 +
|-
 +
| A04501 || [http://www.riss.kr/link?id=A82367321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정조(正祖)의 『사부수권(四部手圈)』소고(小考)  ] || 011-039<small>(29)</small> || 45 || 2010 || 조동영
 +
|-
 +
| A04502 || [http://www.riss.kr/link?id=A82367322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정약용(丁若鏞), 『상서고훈(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 || 041-077<small>(37)</small> || 45 || 2010 || 이상욱
 +
|-
 +
| A04503 || [http://www.riss.kr/link?id=A82367413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17세기 초 문학작품의 역학(易學) 차용 양상 -신흠(申欽) 주변인물을 중심으로-  ] || 079-111<small>(33)</small> || 45 || 2010 || 김은정
 +
|-
 +
| A04504 || [http://www.riss.kr/link?id=A82367414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논어(論語)』경학에서의 "학(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 -조선 주자학자의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장(章) 주석을 중심으로-  ] || 113-155<small>(43)</small> || 45 || 2010 || 류준필
 +
|-
 +
| A04505 || [http://www.riss.kr/link?id=A82367415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맹자혹문정의통고(孟子或問精義通攷)』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학술정신(學術精神)  ] || 157-185<small>(25)</small> || 45 || 2010 || 함영대
 +
|-
 +
| A04506 || [http://www.riss.kr/link?id=A82367416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 189-202<small>(14)</small> || 45 || 2010 || 정학성
 +
|-
 +
| A04507 || [http://www.riss.kr/link?id=A82367417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 || 203-230<small>(28)</small> || 45 || 2010 || 이홍식
 +
|-
 +
| A04508 || [http://www.riss.kr/link?id=A82367418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한국한문학 속의 경계, 좌절, 반성의 공간 -심양(瀋陽)  ] || 231-269<small>(39)</small> || 45 || 2010 || 남은경
 +
|-
 +
| A04509 || [http://www.riss.kr/link?id=A82367419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한국한문학 자료에 나타난 베트남 인식의 몇 가지 갈래  ] || 271-301<small>(31)</small> || 45 || 2010 || 김용태
 +
|-
 +
| A04510 || [http://www.riss.kr/link?id=A82367420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재원기(在元期) 시(詩)에 나타난 교유양상(交遊樣相)과 정신적(精神的) 갈등(葛藤)  ] || 303-329<small>(27)</small> || 45 || 2010 || 어강석
 +
|-
 +
| A04511 || [http://www.riss.kr/link?id=A82367421 ​18세기 기궤첨신(奇詭尖新) 한시(漢詩)의 한 양상 -서명인(徐命寅)의 『취사당연화록(取斯堂煙華錄)』을 중심으로  ] || 331-365<small>(35)</small> || 45 || 2010 || 안대회
 +
|-
 +
| A04512 || [http://www.riss.kr/link?id=A82367422 ​금령(錦령) 박영보(朴永輔)와 소동파(蘇東坡)  ] || 367-401<small>(35)</small> || 45 || 2010 || 남영진
 +
|-
 +
| A04513 || [http://www.riss.kr/link?id=A82367423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에 나타난 시화(詩畵) 교섭의 새 양상  ] || 403-435<small>(33)</small> || 45 || 2010 || 김형술
 +
|-
 +
| A04514 || [http://www.riss.kr/link?id=A82367424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 || 437-471<small>(35)</small> || 45 || 2010 || 안세현
 +
|-
 +
| A04601 || [http://www.riss.kr/link?id=A82491305 ​북송사행(北宋使行)을 통해서 본 박인량(樸寅亮)의 문학사적 위상  ] || 005-057<small>(53)</small> || 46 || 2010 || 정선모
 +
|-
 +
| A04602 || [http://www.riss.kr/link?id=A82491306 ​정추(鄭樞) 시에 나타난 자유지향의 정신과 관조(觀照)의 미(美)  ] || 059-091<small>(33)</small> || 46 || 2010 || 하정승
 +
|-
 +
| A04603 || [http://www.riss.kr/link?id=A82491307 ​퇴계(退溪)의 「도산잡영(陶山雜詠)」의 이학적(理學的) 함의(含意)와 그 전승  ] || 093-128<small>(36)</small> || 46 || 2010 || 권오영
 +
|-
 +
| A04604 || [http://www.riss.kr/link?id=A82491308 ​월경(越境)과 서사(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기억(記憶) -「최척전(崔陟傳)」독법의 한 사례-  ] || 129-162<small>(34)</small> || 46 || 2010 || 진재교
 +
|-
 +
| A04605 || [http://www.riss.kr/link?id=A82491309 ​김창협(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왕세정(王世貞) 산문(散文)의 진면목 -상판(商販) 비지문(碑誌文)을 중심으로  ] || 163-213<small>(51)</small> || 46 || 2010 || 박경남
 +
|-
 +
| A04606 || [http://www.riss.kr/link?id=A82491310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이소해(離騷解)」 연구(硏究)  ] || 215-249<small>(35)</small> || 46 || 2010 || 신두환
 +
|-
 +
| A04607 || [http://www.riss.kr/link?id=A82491311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 || 251-285<small>(35)</small> || 46 || 2010 || 박동욱
 +
|-
 +
| A04608 || [http://www.riss.kr/link?id=A82491312 ​1748년 제10차 무진통신사(戊辰通信使) 의원필담(醫員筆談)의 성격 변천 연구 -『대려필어(對麗筆語)』와 『조선필담(朝鮮筆談)』을 중심으로-  ] || 287-320<small>(34)</small> || 46 || 2010 || 김형태
 +
|-
 +
| A04609 || [http://www.riss.kr/link?id=A82491313 ​옥국재 영미편(穎尾編)의 자료적 특징과 가치  ] || 312-342<small>(31)</small> || 46 || 2010 || 신현웅
 +
|-
 +
| A04610 || [http://www.riss.kr/link?id=A82491314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만년 사상(思想)에 대한 재론(再論) -맹인 설화와 「답임형오논원도서(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 || 353-386<small>(34)</small> || 46 || 2010 || 신향림
 +
|-
 +
| A04611 || [http://www.riss.kr/link?id=A82491315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굴소(屈騷)" 수용 양상  ] || 387-415<small>(29)</small> || 46 || 2010 || 정일남
 +
|-
 +
| A04612 || [http://www.riss.kr/link?id=A82491316 ​일기문학의 관점에서 본 감담일기의 특징과 의의  ] || 417-447<small>(31)</small> || 46 || 2010 || 정우봉
 +
|-
 +
| A04613 || [http://www.riss.kr/link?id=A82491317 ​「통해백팔사(統海百八詞)」의 지방 형상화 연구 -19세기 새로운 지방의 발견-  ] || 449-475<small>(27)</small> || 46 || 2010 || 이은주
 +
|-
 +
| A04614 || [http://www.riss.kr/link?id=A82491318 ​임제(林悌)의 겸재유고(謙齋遺槁) 연구  ] || 477-521<small>(45)</small> || 46 || 2010 || 이현일
 +
|-
 +
| A04701 || [http://www.riss.kr/link?id=A82647852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한국한문학-15세기 말 문사들의 교류인식을 중심으로-  ] || 009-031<small>(23)</small> || 47 || 2011 || 이혜순
 +
|-
 +
| A04702 || [http://www.riss.kr/link?id=A82647853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7세기 전반기 명문단의 조선시선집 간행과 조선한시에 대한 인식  ] || 033-063<small>(31)</small> || 47 || 2011 || 노경희
 +
|-
 +
| A04703 || [http://www.riss.kr/link?id=A82647854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8세기 이후 연행록(燕行錄) 환술기록(幻術記錄)의 형성배경과 특성 -홍대용(洪大容),박지원(朴趾源),금경선(金景善)의 환술기록(幻術記錄) 을 중심으로- ] || 065-104<small>(40)</small> || 47 || 2011 || 임준철
 +
|-
 +
| A04704 || [http://www.riss.kr/link?id=A82647855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8,19세기 동아시아와 지식(知識), 정보(情報)의 메신저, 역관(譯官) ] || 105-137<small>(33)</small> || 47 || 2011 || 진재교
 +
|-
 +
| A04705 || [http://www.riss.kr/link?id=A82647856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조선후기 대청(對淸) 의식과 문화 수용 논리 ] || 139-172<small>(34)</small> || 47 || 2011 || 박수밀
 +
|-
 +
| A04706 || [http://www.riss.kr/link?id=A82647857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원중거의 일본체험, 그 의의와 한계-『화국지』를 중심으로  ] || 173-199<small>(27)</small> || 47 || 2011 || 박재금
 +
|-
 +
| A04707 || [http://www.riss.kr/link?id=A82647858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 -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 201-235<small>(35)</small> || 47 || 2011 || 정재철
 +
|-
 +
| A04708 || [http://www.riss.kr/link?id=A82647859 선사(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선시(禪詩)에서의 구현 ] || 237-273<small>(37)</small> || 47 || 2011 || 조상현
 +
|-
 +
| A04709 || [http://www.riss.kr/link?id=A82647860 『고려도경』과 고려의 문화적 형상  ] || 275-301<small>(27)</small> || 47 || 2011 || 김보경
 +
|-
 +
| A04710 || [http://www.riss.kr/link?id=A82647861 『국순전』 『국선생전의』 우언적 독해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 || 303-338<small>(36)</small> || 47 || 2011 || 윤주필
 +
|-
 +
| A04711 || [http://www.riss.kr/link?id=A82647862 추강 남효온과 유산(遊山):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상처와 지리산의 위무(慰撫)  ] || 339-375<small>(37)</small> || 47 || 2011 || 정출헌
 +
|-
 +
| A04712 || [http://www.riss.kr/link?id=A82647863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시의 표현미와 선비정신의 형상화  ] || 377-413<small>(37)</small> || 47 || 2011 || 김종서
 +
|-
 +
| A04713 || [http://www.riss.kr/link?id=A82647864 속몽구분주(續蒙求分註)의 압운 체제: 속찬(續撰)과 창신(創新)  ] || 415-464<small>(50)</small> || 47 || 2011 || 심경호
 +
|-
 +
| A04714 || [http://www.riss.kr/link?id=A82647865 이옥봉(李玉峯)의 작품으로 알려진 한시(漢詩)의 작자(作者)에 대(對)한 재검토(再檢討)  ] || 465-493<small>(29)</small> || 47 || 2011 || 이종문
 +
|-
 +
| A04715 || [http://www.riss.kr/link?id=A82647866 『소창청기(小창淸紀)』 이본(異本)과 17세기 초반 조선(朝鮮)에서의 수용 양상 ] || 495-525<small>(31)</small> || 47 || 2011 || 김은정
 +
|-
 +
| A04716 || [http://www.riss.kr/link?id=A82647867 17세기 통신사(通信使) 필담(筆談)에 나타난 한일간 서적 교류의 모습  ] || 527-551<small>(25)</small> || 47 || 2011 || 구지현
 +
|-
 +
| A04717 || [http://www.riss.kr/link?id=A82647868 연행로 중 "요양(遼陽)-안산(鞍山)-광녕(廣寧)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검토  ] || 553-592<small>(40)</small> || 47 || 2011 || 이승수
 +
|-
 +
| A04718 || [http://www.riss.kr/link?id=A82647869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 || 593-622<small>(30)</small> || 47 || 2011 || 이홍식
 +
|-
 +
| A04719 || [http://www.riss.kr/link?id=A82647870 신유한(申維翰)의 『낭화여아곡』 (浪華女兒曲) 과 일본의 성(性) 풍속  ] || 623-651<small>(29)</small> || 47 || 2011 || 이효원
 +
|-
 +
| A04720 || [http://www.riss.kr/link?id=A82647871 『日下題襟集』 편찬과 판본  ] || 653-677<small>(25)</small> || 47 || 2011 || 박현규
 +
|-
 +
| A04721 || [http://www.riss.kr/link?id=A82647872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비지문(碑誌文)에 대한 일고  ] || 679-710<small>(32)</small> || 47 || 2011 || 김새미오
 +
|-
 +
| A04722 || [http://www.riss.kr/link?id=A82647873 난서비평(蘭西批評)에 드러난 한,중 문인 교유와 문학 비평의 양상  ] || 711-738<small>(28)</small> || 47 || 2011 || 김지영
 +
|-
 +
| A04801 || [http://www.riss.kr/link?id=A60180906 당, 송고문(唐, 宋古文)의 초기수용양상고(初期受容樣相考)  :  대북송외교(對北宋外交)를 중심으로  ] || 011-050<small>(40)</small> || 48 || 2011 || 정선모
 +
|-
 +
| A04802 || [http://www.riss.kr/link?id=A60180907 목은칠언절구(牧隱七言絶句)의 장법(章法)과 시적 효과(詩的 效果)  ] || 051-081<small>(31)</small> || 48 || 2011 || 어강석
 +
|-
 +
| A04803 || [http://www.riss.kr/link?id=A60180908 조선시대 표전(表箋)연구 1  :  보국(保國)과 화국(華國)의 역할을 중심으로  ] || 081-113<small>(33)</small> || 48 || 2011 || 이은영
 +
|-
 +
| A04804 || [http://www.riss.kr/link?id=A60180909 포저조익(浦渚趙翼)의 『중용사람(中庸私覽)』의 경학적(經學的)고찰  :  쌍봉요로설수용(雙峯饒魯說受容)과 관련하여  ] || 113-143<small>(31)</small> || 48 || 2011 || 강지은
 +
|-
 +
| A04805 || [http://www.riss.kr/link?id=A60180910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 || 143-181<small>(39)</small> || 48 || 2011 || 송혁기
 +
|-
 +
| A04806 || [http://www.riss.kr/link?id=A60180911 17세기 전반 대명해로사행(對明海路使行)의 운항과 풍속 분석  ] || 181-221<small>(41)</small> || 48 || 2011 || 박현규
 +
|-
 +
| A04807 || [http://www.riss.kr/link?id=A60180912 尤侗의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대하여  ] || 221-255<small>(35)</small> || 48 || 2011 || 정생화
 +
|-
 +
| A04808 || [http://www.riss.kr/link?id=A60180913 김창흡(金昌翕)매화시의 특징:「松栢堂詠梅」를 중심으로  ] || 255-294<small>(40)</small> || 48 || 2011 || 여희정
 +
|-
 +
| A04809 || [http://www.riss.kr/link?id=A60180914 표해록(漂海錄)의 전통에서 본 『海外聞見錄』의 위상과 가치  ] || 295-332<small>(38)</small> || 48 || 2011 || 김용태
 +
|-
 +
| A04810 || [http://www.riss.kr/link?id=A60180915 『열하일기(熱河日記)』와 『천주실의(天主實義)』  ] || 333-359<small>(27)</small> || 48 || 2011 || 김명호
 +
|-
 +
| A04811 || [http://www.riss.kr/link?id=A60180916 연행록(燕行錄)의 "코끼리" 기사(記事)와 박지원(朴趾源)의 「상기(象記)」  ] || 359-390<small>(32)</small> || 48 || 2011 || 이강엽
 +
|-
 +
| A04812 || [http://www.riss.kr/link?id=A60180917 유만주(兪晩柱)의 『수호전(水滸傳)』 독법(讀法)  ] || 391-435<small>(45)</small> || 48 || 2011 || 김하라
 +
|-
 +
| A04813 || [http://www.riss.kr/link?id=A60180918 『동상기(東廂記)』에 나타나는 문체 실험의 양상 고찰  ] || 435-468<small>(34)</small> || 48 || 2011 || 윤지양
 +
|-
 +
| A04814 || [http://www.riss.kr/link?id=A60180919 이옥(李鈺)산문에서의 "성적쾌(性的快)"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夜七」과 「七切」을 중심으로  ] || 469-500<small>(32)</small> || 48 || 2011 || 김홍백
 +
|-
 +
| A04815 || [http://www.riss.kr/link?id=A60180920 19세기 중인층지식인(中人層知識人)의 해외체험일고(海外體驗一考)  :  벽로재금진수(碧蘆齋金進洙)의 연행(燕行)과 「燕京雜詠」을 중심으로  ] || 501-537<small>(37)</small> || 48 || 2011 || 김영죽
 +
|-
 +
| A04816 || [http://www.riss.kr/link?id=A60015829 「신증구운루(新增九雲樓)」의 발견과 그 존재 의미  ] || 537-581<small>(45)</small> || 48 || 2011 || 양승민
 +
|-
 +
| A04901 || [http://www.riss.kr/link?id=A60166214 동아시아 산수기행문학의 문화사적 의미  ] || 007-039<small>(33)</small> || 49 || 2012 || 심경호
 +
|-
 +
| A04902 || [http://www.riss.kr/link?id=A60166215 중국 전통 유기(遊記)의 핵심 시기 문제 -만명(晩明)시기 유람문화와 유기를 중심으로  ] || 041-068<small>(28)</small> || 49 || 2012 || 권석환
 +
|-
 +
| A04903 || [http://www.riss.kr/link?id=A60166216 조선후기 산수기행문예에 나타나는 "기(奇)" 추구  ] || 069-099<small>(31)</small> || 49 || 2012 || 고연희
 +
|-
 +
| A04904 || [http://www.riss.kr/link?id=A60166217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 || 102-137<small>(36)</small> || 49 || 2012 || 정우봉
 +
|-
 +
| A04905 || [http://www.riss.kr/link?id=A60166218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 문학(文學)에 있어서의 계양(桂陽)  ] || 137-173<small>(37)</small> || 49 || 2012 || 윤인현
 +
|-
 +
| A04906 || [http://www.riss.kr/link?id=A60166207 김시습(金時習)의 「장양찬(張良贊)」의 이면 -선초(鮮初) 신유학(新儒學) 이념 체화 과정의 일양상-  ] || 175-203<small>(29)</small> || 49 || 2012 || 이승현
 +
|-
 +
| A04907 || [http://www.riss.kr/link?id=A60166208 초기 소화(笑話)의 역사성과 그 성격  ] || 205-240<small>(36)</small> || 49 || 2012 || 정환국
 +
|-
 +
| A04908 || [http://www.riss.kr/link?id=A60166209 한국 한문학에서 본 중국(中國) 강남(江南)의 문학지리학(文學地理學)  ] || 241-274<small>(34)</small> || 49 || 2012 || 윤주필
 +
|-
 +
| A04909 || [http://www.riss.kr/link?id=A60166210 난해성(難解性)을 통해 본 16,17세기 문학과 환경  ] || 275-310<small>(36)</small> || 49 || 2012 || 안득용
 +
|-
 +
| A04910 || [http://www.riss.kr/link?id=A60166211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과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거리 -문학론에서 진(眞) 개념의 운용추이를 중심으로-  ] || 311-348<small>(38)</small> || 49 || 2012 || 신향림
 +
|-
 +
| A04911 || [http://www.riss.kr/link?id=A60166212 白塔詩社 一攷  ] || 349-396<small>(48)</small> || 49 || 2012 || 남재철
 +
|-
 +
| A04912 || [http://www.riss.kr/link?id=A60166213 19세기 동아시아의 모소(慕蘇) 열풍  ] || 397-430<small>(34)</small> || 49 || 2012 || 정민
 +
|-
 +
| A05001 || [http://www.riss.kr/link?id=A99572248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의 독서론(讀書論)과 저술법(著述法)  ] || 009-036<small>(28)</small> || 50 || 2012 || 김영
 +
|-
 +
| A05002 || [http://www.riss.kr/link?id=A99572249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의 경학(經學)그 대략(大略)과 의의(意義)  ] || 037-070<small>(34)</small> || 50 || 2012 || 김언종
 +
|-
 +
| A05003 || [http://www.riss.kr/link?id=A99572250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과 문학(文學)― 인간다산(人間茶山)과 다산(茶山)의 인간학(人間學)을 中心으로―  ] || 071-099<small>(29)</small> || 50 || 2012 || 진재교
 +
|-
 +
| A05004 || [http://www.riss.kr/link?id=A99572251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 일문(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 || 101-127<small>(27)</small> || 50 || 2012 || 정민
 +
|-
 +
| A05005 || [http://www.riss.kr/link?id=A99572252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신자료『선암총서(船菴叢書)』의 발굴과『목민심서(牧民心書)』저술과정의 검토  ] || 129-158<small>(30)</small> || 50 || 2012 || 박철상
 +
|-
 +
| A05006 || [http://www.riss.kr/link?id=A99572253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저술의 전승과 유통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다산가장(茶山家藏)의 고본(稿本)에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이르기까지  ] || 169-205<small>(37)</small> || 50 || 2012 || 노경희
 +
|-
 +
| A05007 || [http://www.riss.kr/link?id=A99572254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경세가 정약용에서 시인 정학연으로- 다산가 시학의 변화와 19세기 문인사회-  ] || 207-242<small>(36)</small> || 50 || 2012 || 이철희
 +
|-
 +
| A05008 || [http://www.riss.kr/link?id=A99572255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협주(夾注)연구- 신라(新羅)한시를 중심으로  ] || 243-272<small>(30)</small> || 50 || 2012 || 김은정
 +
|-
 +
| A05009 || [http://www.riss.kr/link?id=A99572256 이정구(李廷龜)와 원굉도(袁宏道)의『유기비교연구(遊記比較硏究)』  ] || 274-304<small>(31)</small> || 50 || 2012 || 이명희
 +
|-
 +
| A05010 || [http://www.riss.kr/link?id=A99572257 수호전(水滸傳)서사의 전환 하나, 황니강(黃泥岡)사건과 삼완(三阮)의 등장- 김성탄(金聖嘆)의 비평을 중심으로  ] || 305-336<small>(32)</small> || 50 || 2012 || 이승수
 +
|-
 +
| A05011 || [http://www.riss.kr/link?id=A99572258 이덕무(李德懋)의 산수유기(山水遊記)에 관한 연구  :  만명(晩明) 왕사임(王思任) 과의 비교를 겸하여  ] || 337-373<small>(37)</small> || 50 || 2012 || 정우봉
 +
|-
 +
| A05012 || [http://www.riss.kr/link?id=A99572259 『백상루기(百祥樓記)』평비(評批)의 특징 고찰  ] || 375-407<small>(33)</small> || 50 || 2012 || 윤지양
 +
|-
 +
| A05013 || [http://www.riss.kr/link?id=A99572260 박옹(泊翁) 이명오(李明五)시 연구- <향자팔십수(香字八十首)>와 그 주변-  ] || 409-448<small>(40)</small> || 50 || 2012 || 이현일
 +
|-
 +
| A05014 || [http://www.riss.kr/link?id=A99572261 개항(開港)이후 동아시아 한문(漢文)네트워크에 대하여  ] || 449-478<small>(30)</small> || 50 || 2012 || 김용태
 +
|-
 +
| A05101 || [http://www.riss.kr/link?id=A99785933 고려전기 묘지명 연구 -지제고(知制誥) 찬 묘지명을 중심으로-  ] || 011-057<small>(47)</small> || 51 || 2013 || 김보경
 +
|-
 +
| A05102 || [http://www.riss.kr/link?id=A99785934 고려시대 외교현안과 문학적 대응  ] || 059-089<small>(31)</small> || 51 || 2013 || 서정화
 +
|-
 +
| A05103 || [http://www.riss.kr/link?id=A99785935 고려후기 지식인담론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신흥사대부론을 다시 읽다  ] || 091-130<small>(40)</small> || 51 || 2013 || 김승룡
 +
|-
 +
| A05104 || [http://www.riss.kr/link?id=A99785936 조선 전기 문선집 『송파방(宋播芳)』, 『원파방(元播芳)』 소고(小考) -자료 소개를 중심으로-  ] || 131-158<small>(28)</small> || 51 || 2013 || 류화정
 +
|-
 +
| A05105 || [http://www.riss.kr/link?id=A99785937 율곡(栗谷)과 유지(柳枝), 「유지사(柳枝詞)」의 전승 과정에 관한 고찰  ] || 159-195<small>(37)</small> || 51 || 2013 || 이종문
 +
|-
 +
| A05106 || [http://www.riss.kr/link?id=A99785938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자전적(自傳的) 서사(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 || 197-238<small>(42)</small> || 51 || 2013 || 안득용
 +
|-
 +
| A05107 || [http://www.riss.kr/link?id=A99785939 한국 한문학에 있어서 수서(壽序)의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 || 239-265<small>(27)</small> || 51 || 2013 || 김우정
 +
|-
 +
| A05108 || [http://www.riss.kr/link?id=A99785940 허균(許筠) 문학론(文學論)의 모순과 일관(一貫) -왕세정(王世貞) 혹은 의고문파(擬古文派) 문학론과의 연관-  ] || 267-300<small>(34)</small> || 51 || 2013 || 정길수
 +
|-
 +
| A05109 || [http://www.riss.kr/link?id=A99785941 단호(丹壺) 그룹 문인들의 애사(哀辭)에 대한 고찰  ] || 301-328<small>(28)</small> || 51 || 2013 || 백승호
 +
|-
 +
| A05110 || [http://www.riss.kr/link?id=A99785942 연암의 장편시 「만조숙인(輓趙淑人)」에 대하여  ] || 329-361<small>(33)</small> || 51 || 2013 || 정재철
 +
|-
 +
| A05111 || [http://www.riss.kr/link?id=A99785943 「예규지(倪圭志)」의 가정 경제학  ] || 363-415<small>(53)</small> || 51 || 2013 || 김대중
 +
|-
 +
| A05112 || [http://www.riss.kr/link?id=A99785944 적생조래(荻生徂徠)의 「증조선사서(贈朝鮮使序)」 연구  ] || 417-443<small>(27)</small> || 51 || 2013 || 이효원
 +
|-
 +
| A05113 || [http://www.riss.kr/link?id=A99785945 18세기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  ] || 445-486<small>(42)</small> || 51 || 2013 || 신익철
 +
|-
 +
| A05114 || [http://www.riss.kr/link?id=A99785946 연행록 환술기사(幻術記事)를 구성하는 세 가지 층위와 환사(幻史)  ] || 487-533<small>(47)</small> || 51 || 2013 || 임준철
 +
|-
 +
| A05115 || [http://www.riss.kr/link?id=A99785947 한중교유와 19세기 거주지 재현 예술  ] || 535-574<small>(40)</small> || 51 || 2013 || 김기완
 +
|-
 +
| A05116 || [http://www.riss.kr/link?id=A99785948 남희채(南羲采)의 「중향국춘추(衆香國春秋)」 소고  ] || 575-608<small>(34)</small> || 51 || 2013 || 하지영
 +
|-
 +
| A05201 || [http://www.riss.kr/link?id=A99902593 龍洲(용주) 趙絅(조경) 문학에 나타난 질병의 형상화  ] || 005-046<small>(42)</small> || 52 || 2013 || 김하라
 +
|-
 +
| A05202 || [http://www.riss.kr/link?id=A99902594 16,17세기 庶孼(서얼) 許通(허통) 上疏文(상소문) 연구  ] || 047-090<small>(44)</small> || 52 || 2013 || 박경남
 +
|-
 +
| A05203 || [http://www.riss.kr/link?id=A99902595 黃梓(황재)의 甲寅(갑인),庚午(경오) 연행록에 관한 고찰 -雍正(옹정),乾隆(건륭) 연간의 정세 인식을 중심으로-  ] || 091-124<small>(34)</small> || 52 || 2013 || 신로사
 +
|-
 +
| A05204 || [http://www.riss.kr/link?id=A99902596 王世貞(왕세정) 코드로 읽는 生誌銘(생지명)과 意園(의원) -18세기 安山圈(안산권) 文人(문인)들의 불우와 위안의 예술적 형상화-  ] || 125-164<small>(40)</small> || 52 || 2013 || 김동준
 +
|-
 +
| A05205 || [http://www.riss.kr/link?id=A99902597 18세기 老論系(노론계) 知識人(지식인)의 友情論(우정론)  ] || 165-200<small>(36)</small> || 52 || 2013 || 김수진
 +
|-
 +
| A05206 || [http://www.riss.kr/link?id=A99902598 「髮僧菴記(발승암기)」의 改作(개작) 樣相(양상)과 主題(주제)에 대한 비평적 분석  ] || 201-231<small>(31)</small> || 52 || 2013 || 김종민
 +
|-
 +
| A05207 || [http://www.riss.kr/link?id=A99902599 李鈺(이옥)의 인간학 -傳(전)을 대상으로-  ] || 233-260<small>(28)</small> || 52 || 2013 || 정환국
 +
|-
 +
| A05208 || [http://www.riss.kr/link?id=A99902600 沈魯崇(심노숭)의 『南遷日錄(남천일록)』에 나타난 내면고백과 소통의 글쓰기  ] || 261-305<small>(45)</small> || 52 || 2013 || 정우봉
 +
|-
 +
| A05209 || [http://www.riss.kr/link?id=A99902601 東樊(동번) 李晩用(이만용) 詩(시) 硏究(연구)(1) -『東樊集(동번집)』所載(소재) 七言律詩(칠언율시)를 중심으로-  ] || 307-341<small>(35)</small> || 52 || 2013 || 이현일
 +
|-
 +
| A05210 || [http://www.riss.kr/link?id=A99902602 19세기 檢書官(검서관) 對山(대산) 姜(강)진의 詩(시)자료에 관하여 -자료검토와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 || 343-378<small>(36)</small> || 52 || 2013 || 김영죽
 +
|-
 +
| A05211 || [http://www.riss.kr/link?id=A99902590 경진자본 『梅月堂集(매월당집)』간행 과정과 校訂本(교정본)  ] || 357-395<small>(36)</small> || 52 || 2013 || 양승민
 +
|-
 +
| A05212 || [http://www.riss.kr/link?id=A99902592 朝鮮時代(조선시대) 『詩經(시경)』 인식에서의 詩可以怨(시가이원)과 溫柔敦厚(온유돈후)  ] || 379-429<small>(51)</small> || 52 || 2013 || 김수경
 +
|-
 +
| A05213 || [http://www.riss.kr/link?id=A99902589 北宋使行(북송사행)과 고려문인의 시문집 간행 -「高麗李相公樂道集序(고려리상공악도집서)」의 분석의 중심으로-  ] || 431-455<small>(25)</small> || 52 || 2013 || 정선모
 +
|-
 +
| A05214 || [http://www.riss.kr/link?id=A99902591 현종실록자본 『世說新語補(세설신어보)』 간행과 流傳(유전)의 문화사적 의미  ] || 497-532<small>(36)</small> || 52 || 2013 || 노경희
 +
|-
 +
| A05301 || [http://www.riss.kr/link?id=A99969417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통신사사행(通信使使行)에서의 부사산(富士山)시와 일광산(日光山)시의 전개양상(展開樣相)  ] || 007-033<small>(27)</small> || 53 || 2014 || 구지현
 +
|-
 +
| A05302 || [http://www.riss.kr/link?id=A99969418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연행로(燕行路)에서 만나는 "남한산성(南漢山城)"  ] || 035-068<small>(34)</small> || 53 || 2014 || 김일환
 +
|-
 +
| A05303 || [http://www.riss.kr/link?id=A99969419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택리지(擇里志)』와 조선 후기 지방 이해의 혁신 -부랑(浮浪)하는 존재의 이주(移住)와 정주(定住)-  ] || 069-102<small>(34)</small> || 53 || 2014 || 안대회
 +
|-
 +
| A05304 || [http://www.riss.kr/link?id=A99969420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황윤석(黃胤錫)의 서적필사(書籍筆寫)및 구입(購入)으로 본 경향(京鄕)간의 지식동향(知識動向) -1768년~1771년까지의 한양 생활을 중심으로-  ] || 103-139<small>(37)</small> || 53 || 2014 || 이지양
 +
|-
 +
| A05305 || [http://www.riss.kr/link?id=A99969421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17세기 이수(二水)일대 가문의 교섭과 문화교류 ] || 141-172<small>(32)</small> || 53 || 2014 || 김은정
 +
|-
 +
| A05306 || [http://www.riss.kr/link?id=A99969422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낙동강과 그 연안지역의 공간 감성과 문학적 소통  ] || 173-213<small>(41)</small> || 53 || 2014 || 정우락
 +
|-
 +
| A05307 || [http://www.riss.kr/link?id=A99969423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문화공간으로서의 부벽루(浮碧樓) -중앙문인과 지역문인의 교류를 중심으로-  ] || 215-247<small>(33)</small> || 53 || 2014 || 장유승
 +
|-
 +
| A05308 || [http://www.riss.kr/link?id=A99969424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구한말 제주 문인 부해 안병택의 삶과 교섭  ] || 249-274<small>(26)</small> || 53 || 2014 || 김새미오
 +
|-
 +
| A05309 || [http://www.riss.kr/link?id=A99969425 일반논문 : 14세기 한시(漢詩)의 전변양상(轉變樣相)과 정신사적의미(精神史的意味) -시단(詩壇)의 동향(動向)과 식물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 || 275-317<small>(43)</small> || 53 || 2014 || 류호진
 +
|-
 +
| A05310 || [http://www.riss.kr/link?id=A99969426 일반논문 : 도산구곡정립(陶山九曲定立)과 도산구곡시(陶山九曲詩)창작배경  ] || 319-351<small>(33)</small> || 53 || 2014 || 최석기
 +
|-
 +
| A05311 || [http://www.riss.kr/link?id=A99969427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의 추이(推移)와 조선관왕묘(朝鮮關王廟) -선조(宣祖)~숙종연간(肅宗年間)을 중심으로-  ] || 353-390<small>(38)</small> || 53 || 2014 || 이성형
 +
|-
 +
| A05312 || [http://www.riss.kr/link?id=A99969428 일반논문 :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의 구조와 글쓰기 방식 ] || 391-421<small>(31)</small> || 53 || 2014 || 박수밀
 +
|-
 +
| A05313 || [http://www.riss.kr/link?id=A99969429 일반논문 : 18~19세기 조선 맹자학의 주석서와 그 작자 ] || 423-453<small>(31)</small> || 53 || 2014 || 함영대
 +
|-
 +
| A05401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1 약봉(藥峯) 김극일(金克一)의 『임하이십육영(臨河二十六詠)』 연구(硏究) ] || 005-044<small>(30)</small> || 54 || 2014 || 신두환
 +
|-
 +
| A05402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4 별본(別本) 『동문선(東文選)』의 편찬 과정과 선문(選文) 방향 재고(再考)  :  조선중기 산문을 중심으로 ] || 045-084<small>(40)</small> || 54 || 2014 || 안세현
 +
|-
 +
| A05403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5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옥새론(玉璽論)」의 주제의식과 그 의미 ] || 085-112<small>(28)</small> || 54 || 2014 || 김영은
 +
|-
 +
| A05404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6 18세기 문학에서의 색채 표현과 강세황의 회화 ] || 113-138<small>(26)</small> || 54 || 2014 || 고연희
 +
|-
 +
| A05405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2 조선조 후기 문예(文藝) 공간에서의 왕세정(王世貞) ] || 139-171<small>(33)</small> || 54 || 2014 || 진재교
 +
|-
 +
| A05406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7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동래박의(東萊博議)』 수용의 의의 ] || 173-214<small>(42)</small> || 54 || 2014 || 백진우
 +
|-
 +
| A05407 || [http://www.riss.kr/link?id=A100025573 병서(兵書)를 읽는 두 가지 방법  :  조선 중후기 병서 비평자료를 중심으로 ] || 215-275<small>(61)</small> || 54 || 2014 || 김홍백
 +
|-
 +
| A05501 || [http://www.riss.kr/link?id=A100110829 퇴계(退溪)의 『시경(詩經)』 석의(釋義) 고찰에 대한 번역학적 탐색 ] || 005-028<small>(24)</small> || 55 || 2014 || 김수경
 +
|-
 +
| A05502 || [http://www.riss.kr/link?id=A100110830 연암(燕巖)일파 문학론에서 색(色), 자연(自然), 제(際) ] || 029-062<small>(34)</small> || 55 || 2014 || 신향림
 +
|-
 +
| A05503 || [http://www.riss.kr/link?id=A100110831 노긍산문서술기법(盧兢散文敍述技法)에서의 기(奇) ] || 063-093<small>(31)</small> || 55 || 2014 || 김경
 +
|-
 +
| A05504 || [http://www.riss.kr/link?id=A100110832 신광현이 편찬한 『委港鎖聞』의 내용과 특징 ] || 095-123<small>(29)</small> || 55 || 2014 || 한영규
 +
|-
 +
| A05505 || [http://www.riss.kr/link?id=A100110833 방산 윤정기의 시세계에서 "홍엽전성(紅葉傳聲)" 의미 ] || 125-152<small>(28)</small> || 55 || 2014 || 이철희
 +
|-
 +
| A05506 || [http://www.riss.kr/link?id=A100110834 담배 문화사의 시각으로 본 담배 가전(假傳)의 세계 ] || 153-184<small>(32)</small> || 55 || 2014 || 안대회
 +
|-
 +
| A05601 || [http://www.riss.kr/link?id=A100272465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수용 양상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 || 015-041<small>(27)</small> || 56 || 2014 || 정재철
 +
|-
 +
| A05602 || [http://www.riss.kr/link?id=A100272466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두보(杜甫)의 이상 한파와 이상 고온에 대한 인식 -동방인문(東方人文)을 세우는 사고경로를 논하는 것을 겸하여 ] || 043-084<small>(42)</small> || 56 || 2014 || 료미옥
 +
|-
 +
| A05603 || [http://www.riss.kr/link?id=A100272467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唐抄本 杜甫의 문집이 일본에 流傳된 정황에 대한 略論 ] || 087-106<small>(20)</small> || 56 || 2014 || 하세베츠요시
 +
|-
 +
| A05604 || [http://www.riss.kr/link?id=A100272468 고려,조선 유자(儒者)의 만시(輓詩) 연구 ] || 107-144<small>(38)</small> || 56 || 2014 || 윤인현
 +
|-
 +
| A05605 || [http://www.riss.kr/link?id=A100272469 왕세정(王世貞)의 상인전기(商人傳記) 창작과 복고(復古)의 현실적 의미 ] || 145-192<small>(48)</small> || 56 || 2014 || 박경남
 +
|-
 +
| A05606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0 16~17세기 근기(近畿) 지역 서인계 문인의 교류와 고문사(古文辭) ] || 193-223<small>(31)</small> || 56 || 2014 || 김우정
 +
|-
 +
| A05607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1 김세렴(金世濂)의 『해차록(海蹉錄)』에 관한 연구 -「문견잡록(聞見雜錄)」을 중심으로- ] || 225-266<small>(42)</small> || 56 || 2014 || 신로사
 +
|-
 +
| A05608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2 息山 李萬敷 細民傳 硏究 ] || 267-316<small>(50)</small> || 56 || 2014 || 신승훈
 +
|-
 +
| A05609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3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의 구곡시(九曲詩) 연구(硏究) ] || 317-357<small>(41)</small> || 56 || 2014 || 장호중
 +
|-
 +
| A05610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4 18세기 조선통신사와 지식,정보의 교류 ] || 359-392<small>(34)</small> || 56 || 2014 || 진재교
 +
|-
 +
| A05611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5 「도강록(渡江錄)」에 나타난 경계의 인식론 ] || 393-422<small>(30)</small> || 56 || 2014 || 박수밀
 +
|-
 +
| A05612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6 조선후기 자서전의 특징적 국면(局面)과 그 의미 ] || 423-458<small>(36)</small> || 56 || 2014 || 안득용
 +
|-
 +
| A05613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7 중국 망명 시기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의 출판 활동과 그 意義 -「문묵췌편(文墨萃編)」을 중심으로- ] || 459-497<small>(39)</small> || 56 || 2014 || 김민학
 +
|-
 +
| A05614 || [http://www.riss.kr/link?id=A100272478 한(韓),중(中)사동법의 대조 ] || 499-548<small>(50)</small> || 56 || 2014 || 최규발, 김은주
 +
|-
 +
| A05701 || [http://www.riss.kr/link?id=A100399496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발전사관을 넘어 국문학 연구를 생각한다 ] || 009-032<small>(24)</small> || 57 || 2015 || 강명관
 +
|-
 +
| A05702 || [http://www.riss.kr/link?id=A100399497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한국 고소설 연구와 "내발론", 그 갱신과 탈주 ] || 033-064<small>(32)</small> || 57 || 2015 || 김현양
 +
|-
 +
| A05703 || [http://www.riss.kr/link?id=A100399498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 ] || 065-101<small>(37)</small> || 57 || 2015 || 최원오
 +
|-
 +
| A05704 || [http://www.riss.kr/link?id=A100399499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한국고전시가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 성과와 기대지평 ] || 103-130<small>(28)</small> || 57 || 2015 || 육민수
 +
|-
 +
| A05705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0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고전문학의 지속가능성과 고전문학 교육 ] || 131-162<small>(32)</small> || 57 || 2015 || 고정희
 +
|-
 +
| A05706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1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경계의 확장과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 ] || 163-193<small>(31)</small> || 57 || 2015 || 김동준
 +
|-
 +
| A05707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2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왕세정(王世貞)과 조선 중,후기 한문 산문 ] || 197-232<small>(36)</small> || 57 || 2015 || 하지영
 +
|-
 +
| A05708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3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조선후기 지식인의 진계유(陳繼儒) 수용과 그 의미 ] || 233-263<small>(31)</small> || 57 || 2015 || 정우봉
 +
|-
 +
| A05709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4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유만주(兪晩柱)의 「전목재연보(錢牧齋年譜)」연구 ] || 265-308<small>(44)</small> || 57 || 2015 || 김하라
 +
|-
 +
| A05710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5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조선 후기 전겸익(錢謙益)의 수용 과정과 인식 양상 ] || 309-342<small>(34)</small> || 57 || 2015 || 류화정
 +
|-
 +
| A05711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6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도함(道咸)연간의 대가 기준조(祁寯藻)와 조선 문인 이상적(李尙迪)의 교류 ] || 343-375<small>(33)</small> || 57 || 2015 || 이춘희
 +
|-
 +
| A05712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7 새 자료를 통해본 다산의 문답형 제자 강학 ] || 377-405<small>(29)</small> || 57 || 2015 || 정민
 +
|-
 +
| A05713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8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간행 경위 일고찰 -전서초본(全書草本)의 행방과 여유당전서발행소의 활동을 중심으로- ] || 407-442<small>(36)</small> || 57 || 2015 || 김보름
 +
|-
 +
| A05714 || [http://www.riss.kr/link?id=A100399509 조선후기(朝鮮後期) 영사악부(詠史樂府)의 협운 활용 양상에 대하여 ] || 443-475<small>(33)</small> || 57 || 2015 || 노요한
 +
|-
 +
| A05715 || [http://www.riss.kr/link?id=A100399510 제주유배시사 귤회(橘會)연구 ] || 477-499<small>(23)</small> || 57 || 2015 || 김새미오
 +
|-
 +
| A05716 || [http://www.riss.kr/link?id=A100399511 절명시(絶命詩) 연구 ] || 501-531<small>(31)</small> || 57 || 2015 || 박동욱
 +
|-
 +
| A05717 || [http://www.riss.kr/link?id=A100399512 연행사와 청대 북경의 조선사관(朝鮮使館) ] || 533-567<small>(35)</small> || 57 || 2015 || 이홍식
 +
|-
 +
| A05718 || [http://www.riss.kr/link?id=A100399513 『향대기람(香臺紀覽)』을 통해 본 일제시대 대만(臺灣)의 교통과 숙식 시설 ] || 569-609<small>(41)</small> || 57 || 2015 || 진경지
 +
|-
 +
| A05801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0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文學)과 학문(學問) ] || 013-030<small>(18)</small> || 58 || 2015 || 윤재민
 +
|-
 +
| A05802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1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구학(求學)의 여정과 강학(講學)의 관점 ] || 031-067<small>(37)</small> || 58 || 2015 || 함영대
 +
|-
 +
| A05803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2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 안정복의 류서(類書) 『만물유취(萬物類聚)』의 체재와 특징 ] || 069-092<small>(24)</small> || 58 || 2015 || 박지현
 +
|-
 +
| A05804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3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세상을 향해 소리 내고픈 벙어리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한시 연구- ] || 093-121<small>(29)</small> || 58 || 2015 || 백승호
 +
|-
 +
| A05805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4 노긍(盧兢) 시(詩)의 파격적(破格的) 형식(形式)과 진정(眞情)의 유로(流露) ] || 125-165<small>(41)</small> || 58 || 2015 || 유호진
 +
|-
 +
| A05806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5 이봉환(李鳳煥) 삼대(三代)의 칠언율시(七言律詩) 연구 ] || 167-209<small>(43)</small> || 58 || 2015 || 이현일
 +
|-
 +
| A05807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6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송경록(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 || 211-244<small>(34)</small> || 58 || 2015 || 정출헌
 +
|-
 +
| A05808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7 『후탄선생정정주해서상기(後歎先生訂正註解西廂記)』의 특징과 『서상기(西廂記)』 수용사(受容史)에서 갖는 의의 ] || 245-279<small>(35)</small> || 58 || 2015 || 윤지양
 +
|-
 +
| A05809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8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 || 281-316<small>(36)</small> || 58 || 2015 || 권정원
 +
|-
 +
| A05810 || [http://www.riss.kr/link?id=A100546829 북미 대학에서 한국 고전문학 강의와 교재 고찰 ] || 317-345<small>(29)</small> || 58 || 2015 || 김유미
 +
|-
 +
| A05901 || [http://www.riss.kr/link?id=A100981368 임하(林下) 이경유(李敬儒)의 『창해시안(滄海詩眼)』연구 -비평을 중심으로- ] || 007-037<small>(31)</small> || 59 || 2015 || 최상근
 +
|-
 +
| A05902 || [http://www.riss.kr/link?id=A100981369 서파(西陂) 유희(柳僖) 부(賦)에 드러나는 내면세계 고찰 ] || 039-088<small>(50)</small> || 59 || 2015 || 오보라
 +
|-
 +
| A05903 || [http://www.riss.kr/link?id=A100981370 조선후기 자찬연보(自撰年譜) 연구] || 089-122<small>(34)</small> || 59 || 2015 || 정우봉
 +
|-
 +
| A05904 || [http://www.riss.kr/link?id=A100981371 조선 중후기 청언소품(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 || 123-154<small>(32)</small> || 59 || 2015 || 안대회
 +
|-
 +
| A05905 || [http://www.riss.kr/link?id=A100981372 김조(金照)의 연행록(燕行錄) 『관해록(觀海錄)』연구 ] || 155-179<small>(25)</small> || 59 || 2015 || 김영진
 +
|-
 +
| A05906 || [http://www.riss.kr/link?id=A100981373 설태희(薛泰熙)의 『대학(大學)』해석 연구 ] || 181-218<small>(38)</small> || 59 || 2015 || 최석기
 +
|-
 +
| A05907 || [http://www.riss.kr/link?id=A100981374 일제 강점기 한문고등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소고 ] || 219-251<small>(33)</small> || 59 || 2015 || 박영미
 +
|-
 +
| A06001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3 기획논문 : 조선 전기 화도시(和陶詩)의 전변(轉變) ] || 007-049<small>(43)</small> || 60 || 2015 || 임준철
 +
|-
 +
| A06002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4 기획논문 : 퇴계(退溪)의 시가에 나타난 "초사(楚辭)" 수용(受容)의 미의식 ] || 051-087<small>(37)</small> || 60 || 2015 || 신두환
 +
|-
 +
| A06003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5 기획논문 : 한유 문 전범의 형성과 인식 ] || 089-130<small>(42)</small> || 60 || 2015 || 정재철
 +
|-
 +
| A06004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6 기획논문 : 『우초신지(虞初新志)』와 조선후기 서사(敍事)의 상관성(相關性) ] || 131-174<small>(44)</small> || 60 || 2015 || 안득용
 +
|-
 +
| A06005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7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시작양상(詩作樣相) 연구(硏究) -시식(詩式)을 중심으로- ] || 175-206<small>(32)</small> || 60 || 2015 || 황만기
 +
|-
 +
| A06006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8 『기옹집(幾翁集)』의 한시 비평 연구 ] || 207-235<small>(29)</small> || 60 || 2015 || 이은주
 +
|-
 +
| A06007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9 명산(茗山) 성우증(成祐曾)의 생애와 연행에 대한 인식 -가학(家學)의 전통과 계승을 중심으로- ] || 237-272<small>(36)</small> || 60 || 2015 || 손혜리
 +
|-
 +
| A06008 || [http://www.riss.kr/link?id=A101746790 조선조(朝鮮朝) 후기(後期) 문헌기록(文獻記錄)을 통해 본 안용복(安龍福)의 기억과 변주 -무명소졸(無名小卒)에서 국가적(國家的) 영웅(英雄)의 탄생과정까지- ] || 273-301<small>(29)</small> || 60 || 2015 || 진재교
 +
|-
 +
| A06009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1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 소장 『경람(敬覽)』에 대하여 ] || 303-338<small>(36)</small> || 60 || 2015 || 안세현
 +
|-
 +
| A06010 || [http://www.riss.kr/link?id=A101746782 규장각(奎章閣) 소장(所藏) 중국본(中國本)에 압인된 정조(正祖) 장서인(藏書印) 고찰 ] || 339-374<small>(36)</small> || 60 || 2015 || 백승호, 김영진, 박철상
 +
|-
 +
| A06101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9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김삼의당(金三宜堂) 한시의 텍스트비평 ] || 007-042<small>(36)</small> || 61 || 2016 || 박영민
 +
|-
 +
| A06102 || [http://www.riss.kr/link?id=A101849490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김삼의당(金三宜堂)의 산문 세계 ] || 043-078<small>(36)</small> || 61 || 2016 || 정우봉
 +
|-
 +
| A06103 || [http://www.riss.kr/link?id=A101849491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의유당유고』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가치 ] || 079-118<small>(40)</small> || 61 || 2016 || 류준경
 +
|-
 +
| A06104 || [http://www.riss.kr/link?id=A101849492 李奎象의 『태성장구곡가(台星庄九曲歌)』에 대한 고찰 ] || 119-155<small>(37)</small> || 61 || 2016 || 이상주
 +
|-
 +
| A06105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4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의리(義理)" 중심 역학관(易學觀)과 "사서(四書)" 활용 양상 -「경사강의(經史講義)_『역(易)』[계묘(癸卯)(1783)]」,「신호수필(薪湖隨筆)_『역(易)』,「계사전(繫辭傳)」」을 중심으로- ] || 157-192<small>(36)</small> || 61 || 2016 || 남윤덕
 +
|-
 +
| A06106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5 고문을 회복하는 두 가지 방식 -신유한(申維翰)과 오규 소라이(荻生徂徠)를 중심으로- ] || 193-224<small>(32)</small> || 61 || 2016 || 하지영
 +
|-
 +
| A06107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6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와 특징 ] || 225-255<small>(31)</small> || 61 || 2016 || 김동석
 +
|-
 +
| A06108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7 전란의 상처 "잡혀간 여자"(被擄女)의 기억 -연행길의 진자점 계문란 사적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추모 의식- ] || 257-298<small>(42)</small> || 61 || 2016 || 윤주필
 +
|-
 +
| A06109 || [http://www.riss.kr/link?id=A101849488 초상화 속 주인공의 삶과 그의 주변 -徐直修의 문집을 중심으로- ] || 299-343<small>(45)</small> || 61 || 2016 || 오세현
 +
|-
 +
| A06101 || [http://www.riss.kr/link?id=A101945106 조선시대(朝鮮時代) 부비흥(賦比興) 논의(論議)의 인식층위(認識層位)에 대한 고찰 ] || 007-043<small>(37)</small> || 62 || 2016 || 김수경
 +
|-
 +
| A06202 || [http://www.riss.kr/link?id=A101945107 『상서(尙書)』 형정(刑政)의 이념과 현실 적용 ] || 045-086<small>(42)</small> || 62 || 2016 || 유영옥
 +
|-
 +
| A06203 || [http://www.riss.kr/link?id=A101945108 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정약용, 심대윤, 이진상을 중심으로- ] || 087-115<small>(29)</small> || 62 || 2016 || 전성건
 +
|-
 +
| A06204 || [http://www.riss.kr/link?id=A101945109 경학 연구와 고전집석학(古典集釋學)의 가능성 -『예기(禮記),악기(樂記)』를 예(例)로 하여- ] || 117-141<small>(25)</small> || 62 || 2016 || 김승룡
 +
|-
 +
| A06205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0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의 한시(漢詩)에 투영된 그의 실학자적(實學者的) 면모(面貌) ] || 143-172<small>(30)</small> || 62 || 2016 || 이의강
 +
|-
 +
| A06206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1 『논어회전(論語會箋)』에 인용된 강호(江戶)시대 경학가(經學家) 고찰(考察) ] || 173-202<small>(30)</small> || 62 || 2016 || 이규필
 +
|-
 +
| A06207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2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바라본 고전교육으로서의 유가경전 ] || 203-228<small>(26)</small> || 62 || 2016 || 한예원
 +
|-
 +
| A06208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3 조선 중기 배율 창작에 대하여 ] || 229-264<small>(36)</small> || 62 || 2016 || 이남면
 +
|-
 +
| A06209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4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 || 265-298<small>(34)</small> || 62 || 2016 || 진재교
 +
|-
 +
| A06210 || [http://www.riss.kr/link?id=A101945115 반구서원(盤龜書院) 건립(建立)과 반구대(盤龜臺) 상징화(象徵化)에 대한 소고(小考) ] || 299-338<small>(40)</small> || 62 || 2016 || 오상욱
 +
|-
 +
| A06301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1 한국(韓國) 선시(禪詩)의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과 미의식(美意識) ] || 007-037<small>(31)</small> || 63 || 2016 || 김미선
 +
|-
 +
| A06302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2 17-18세기 안동김문(安東金門)이 향유(享有)한 매화(梅花)의 문화사(文化史) ] || 039-065<small>(27)</small> || 63 || 2016 || 김세호
 +
|-
 +
| A06303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3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연행록(燕行錄)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그 의미 ] || 067-095<small>(29)</small> || 63 || 2016 || 정우봉
 +
|-
 +
| A06304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4 조선후기 십승지론의 전개와 ‘살 곳 찾기’의 향방 ] || 097-133<small>(37)</small> || 63 || 2016 || 양승목
 +
|-
 +
| A06305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5 김택영의 『연암집』 편찬과 그 의미 ] || 135-167<small>(33)</small> || 63 || 2016 || 정재철
 +
|-
 +
| A06306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6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중용(中庸)』 해석과 그 의미 ] || 169-207<small>(39)</small> || 63 || 2016 || 최석기
 +
|-
 +
| A06307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7 양서(襄西) 이광윤(李光胤)의 잡체시(雜體詩) 창작과 그 의미 ] || 209-246<small>(38)</small> || 63 || 2016 || 이미진
 +
|-
 +
| A06308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8 박지원의 연행 한시 연구 ] || 247-290<small>(44)</small> || 63 || 2016 || 김혈조
 +
|-
 +
| A06309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9 청대(淸代) 장서가(藏書家)의 조선전적(朝鮮典籍)에 대한 수집(蒐集) 및 전파(傳播) -관정분(管庭芬)이 편집(編輯)한 조선 한시문헌을 중심으로- ] || 291-322<small>(32)</small> || 63 || 2016 || 유정
 +
|-
 +
| A06310 || [http://www.riss.kr/link?id=A102083739 학고(鶴?) 김이만(金履萬)의 부(賦)에 나타난 제천(堤川) ‘임호(林湖)’의 심상지리 -「임호부(林湖賦)」와 「한거부(閒居賦)」를 중심으로- ] || 323-370<small>(48)</small> || 63 || 2016 || 권경록
 +
|-
 +
| A06311 || [http://www.riss.kr/link?id=A102083740 고려후기 사문학(詞文學)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 || 371-412<small>(42)</small> || 63 || 2016 || 하정승
 +
|-
 +
| A06301 || [http://www.riss.kr/link?id=A102900159 한국한문학사 서설 -국문학과의 통일적 인식을 위한 구상- ] || 007-029<small>(23)</small> || 64 || 2016 || 임형택
 +
|-
 +
| A06402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0 한시사(漢詩史) 서술의 제문제 ] || 031-057<small>(27)</small> || 64 || 2016 || 안대회
 +
|-
 +
| A06403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1 한국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 || 059-117<small>(59)</small> || 64 || 2016 || 심경호
 +
|-
 +
| A06404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2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한문학에서의 한문소설, 그 사적 전망- ] || 119-158<small>(40)</small> || 64 || 2016 || 정환국
 +
|-
 +
| A06405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3 한국(韓國) 한문학비평사(漢文學批評史) 서술의 방향 모색 ] || 159-185<small>(27)</small> || 64 || 2016 || 정우봉
 +
|-
 +
| A06406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4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 || 187-214<small>(28)</small> || 64 || 2016 || 박무영
 +
|-
 +
| A06407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5 『시경』 속의 `소설`, 소설 속의 『시경』 -조선시대 한문소설에서의 『시경』 인용 양상 연구- ] || 215-259<small>(45)</small> || 64 || 2016 || 김수경
 +
|-
 +
| A06408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6 18세기 유산기 「금강은유록(金剛恩遊錄)」 연구 ] || 261-293<small>(33)</small> || 64 || 2016 || 정학성
 +
|-
 +
| A06409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7 `호생오사(好生惡死)`와 `낙사오생(樂死惡生)` -조선 문인이 본 일본 무사- ] || 295-332<small>(38)</small> || 64 || 2016 || 박상휘
 +
|-
 +
| A06410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8 청(淸) 문인 황작자(黃爵滋)와 조선(朝鮮) 문인의 교유 - 『선병서옥초집연기(仙屛書屋初集年記)』를 중심으로- ] || 333-369<small>(37)</small> || 64 || 2016 || 임영길
 +
|-
 +
| A06411 || [http://www.riss.kr/link?id=A102900169 유경용(柳慶容)(1718-1753) 소장(所藏) 『장백운선명공선보(張白雲選名公扇譜)』와 조선후기 회화 ] || 371-400<small>(30)</small> || 64 || 2016 || 유순영
 +
|-
 +
| A06412 || [http://www.riss.kr/link?id=A102900170 옹방강과 추사 일파를 통해 본 학통의 시각적 계보화 -<추림독서도(秋林讀書圖)>를 중심으로- ] || 401-443<small>(43)</small> || 64 || 2016 || 김기완
 +
|-
 +
| A06413 || [http://www.riss.kr/link?id=A102900171 『모암시회도(帽巖詩會圖)』에 대하여 ] || 445-472<small>(28)</small> || 64 || 2016 || 전민경
 +
|-
 +
| A06414 || [http://www.riss.kr/link?id=A102900172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1910~1940년대 『경학원잡지(經學院雜誌)』 소재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 || 473-506<small>(34)</small> || 64 || 2016 || 홍인숙
 +
|-
 +
| A06501 || [http://www.riss.kr/link?id=A103037176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위하여 -방법으로서의 전고(典故)- ] || 007-056<small>(50)</small> || 65 || 2017 || 김승룡, 류재민
 +
|-
 +
| A06502 || [http://www.riss.kr/link?id=A103037177 조선전기(朝鮮前期) 한시사(漢詩史) 서술(敍述)을 위한 몇 가지 전제(前提) ] || 057-088<small>(32)</small> || 65 || 2017 || 김창호
 +
|-
 +
| A06503 || [http://www.riss.kr/link?id=A103037178 조선 전기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 || 089-121<small>(33)</small> || 65 || 2017 || 김우정
 +
|-
 +
| A06504 || [http://www.riss.kr/link?id=A103037179 형성기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 || 123-154<small>(32)</small> || 65 || 2017 || 류준경
 +
|-
 +
| A06505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0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 || 155-186<small>(32)</small> || 65 || 2017 || 엄기영
 +
|-
 +
| A06506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1 『조선소설사』의 비판적 검토 -조선 후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 || 187-223<small>(37)</small> || 65 || 2017 || 정길수
 +
|-
 +
| A06507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2 18세기 산수유기의 전변(轉變) 양상 -『동유기(東遊記)』와 『동유기실(東遊記實)』의 비교- ] || 225-250<small>(26)</small> || 65 || 2017 || 강혜규
 +
|-
 +
| A06508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3 조선시대 『중용』 해석의 정자삼분설(程子三分說) 수용양상 ] || 251-288<small>(38)</small> || 65 || 2017 || 최석기
 +
|-
 +
| A06509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4 조선시대(朝鮮時代) 검사(劒士)의 문학적(文學的) 형상화(形象化)에 대한 고찰(考察) ] || 289-322<small>(34)</small> || 65 || 2017 || 조혁상
 +
|-
 +
| A06510 || [http://www.riss.kr/link?id=A103037185 청(淸) 오현(吳縣) 반씨(潘氏)가문의 문사(文士)와 조선문인(朝鮮文人)의 교류(交流) -이상적(李尙迪)을 중심으로- ] || 323-355<small>(33)</small> || 65 || 2017 || 이춘희
 +
|-
 +
| A06601 || [http://www.riss.kr/link?id=A103237837 한시(漢詩)의 시어(詩語) 선택(選擇)에 적용된 몇 가지 원칙(原則) ] || 007-036<small>(30)</small> || 66 || 2017 || 황위주
 +
|-
 +
| A06602 || [http://www.riss.kr/link?id=A103237838 이합체(離合體) 한시(漢詩)의 연원과 조선 문인들의 창작 양상 ] || 037-067<small>(31)</small> || 66 || 2017 || 이미진
 +
|-
 +
| A06603 || [http://www.riss.kr/link?id=A103237839 적생조래(荻生?徠)의 고문사학(古文辭學)에 대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을 위하여 ] || 069-103<small>(35)</small> || 66 || 2017 || 이규필
 +
|-
 +
| A06604 || [http://www.riss.kr/link?id=A103237840 일본 유학자의 조선 연구 -이등동애(伊藤東涯)의 『삼한기략(三韓紀略)』에 대하여- ] || 105-144<small>(40)</small> || 66 || 2017 || 이효원
 +
|-
 +
| A06605 || [http://www.riss.kr/link?id=A103237841 숙종조 정치 상황에 따른 정치적 글쓰기 -최명길에 대한 포폄을 중심으로- ] || 145-178<small>(34)</small> || 66 || 2017 || 김민혁
 +
|-
 +
| A06606 || [http://www.riss.kr/link?id=A103237842 연암 그룹과 담원 곽집환의 문예교류 ] || 179-212<small>(34)</small> || 66 || 2017 || 유재형
 +
|-
 +
| A06607 || [http://www.riss.kr/link?id=A103237843 정선의 금강산 그림과 그림 같은 시 -진경산수화 의미 재고- ] || 213-250<small>(38)</small> || 66 || 2017 || 조규희
 +
|-
 +
| A06608 || [http://www.riss.kr/link?id=A103237844 조선시대 `강남춘(江南春)`의 문학적 이미지와 <강남춘도(江南春圖)> ] || 251-282<small>(32)</small> || 66 || 2017 || 유순영
 +
|-
 +
| A06701 || [http://www.riss.kr/link?id=A103771886 생평 서술의 전통과 현대 평전 작성의 방법 ] || 007-037<small>(31)</small> || 67 || 2017 || 심경호
 +
|-
 +
| A06702 || [http://www.riss.kr/link?id=A103771887 한문학 연구자의 평전 쓰기에 관한 몇 가지 생각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의 경우를 예로 삼아- ] ||
 +
039-067<small>(29)</small> || 67 || 2017 || 강명관
 +
|-
 +
| A06703 || [http://www.riss.kr/link?id=A103771888 연보와 평전 : 사실의 기록 또는 기억의 서사 ] || 069-110<small>(42)</small> || 67 || 2017 || 정출헌
 +
|-
 +
| A06704 || [http://www.riss.kr/link?id=A103771889 광개토왕비의 서사구조 일고 ] || 111-137<small>(27)</small> || 67 || 2017 || 서정화
 +
|-
 +
| A06705 || [http://www.riss.kr/link?id=A103771890 정치권력과의 상관관계로 본 김창협(金昌協)ㆍ김창흡(金昌翕)의 문학비평과 그 성격- 18세기로의 전환기 한국한문학의 특성에 초점을 맞춰- ] || 139-177<small>(39)</small> || 67 || 2017 || 김동준
 +
|-
 +
| A06706 || [http://www.riss.kr/link?id=A103771891 북학파(北學派) 문인(文人)의 작품(作品)에 나타난 해학(諧謔)과 농담(弄談)의 분석 ] || 179-208<small>(30)</small> || 67 || 2017 || 안대회
 +
|-
 +
| A06707 || [http://www.riss.kr/link?id=A103771892 정제두 사상투쟁의 기록 -가람문고본 `양명초(陽明抄)`에 대한 탐색- ] || 209-250<small>(42)</small> || 67 || 2017 || 김수진
 +
|-
 +
| A06708 || [http://www.riss.kr/link?id=A103771893 한문(漢文) 음독(音讀)의 실상과 변화 -조선후기 경연(經筵)의 음독(音讀)을 중심으로- ] || 251-273<small>(23)</small> || 67 || 2017 || 장유승
 +
|-
 +
| A06801 || [http://www.riss.kr/link?id=A105033996 조선후기 서책의 검열과 소통 -『열하일기』를 통해 본 자기 검열- ] || 007-037<small>(31)</small> || 68 || 2017 || 김혈조
 +
|-
 +
| A06802 || [http://www.riss.kr/link?id=A105033997 다산 불교문자의 자기 검열 ] || 039-077<small>(39)</small> || 68 || 2017 || 정민
 +
|-
 +
| A06803 || [http://www.riss.kr/link?id=A105033998 논난(論難)과 필화(筆禍)를 통해 본 조선 시대의 책문(策文)-『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속 책문(策文) 논난(論難)과 필화(筆禍)를 중심으로- ] || 079-114<small>(36)</small> || 68 || 2017 || 윤재환
 +
|-
 +
| A06804 || [http://www.riss.kr/link?id=A105033999 조선후기 서적 통제, 그 아슬한 의식의 충돌과 타협 ] || 115-153<small>(39)</small> || 68 || 2017 || 이민희
 +
|-
 +
| A06805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0 조선시대 오경(五經) 문헌(文獻)의 진위성(眞僞性) 검열에 대한 공적 담론 ] || 155-197<small>(43)</small> || 68 || 2017 || 김수경
 +
|-
 +
| A06806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1 여성의 글쓰기를 둘러싼 검열과 비판 - 조선전기 시화(詩話)의 사대부가문 여성한시 비평을 중심으로 - ] || 199-242<small>(44)</small> || 68 || 2017 || 박영민
 +
|-
 +
| A06807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2 성종대 공론장에서의 검열과 비판 -치세 초반 유생(儒生)과 사표(師表)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243-291<small>(49)</small> || 68 || 2017 || 김남이
 +
|-
 +
| A06808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3 '삼타축가장(三打祝家莊)'의 구성과 인물 -김성탄(金聖嘆)의 비평을 중심으로- ] || 293-327<small>(35)</small> || 68 || 2017 || 이승수
 +
|-
 +
| A06809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4 16세기 성주지역(星州地域)에서의 이문건(李文楗)과 예인(藝人)들의 회화창작문화(繪畵創作文化)콘텐츠 양상(樣相) ] || 329-362<small>(34)</small> || 68 || 2017 || 이상주
 +
|-
 +
| A06810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5 허균(許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再論)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 || 363-402<small>(40)</small> || 68 || 2017 || 신향림
 +
|-
 +
| A06811 || [http://www.riss.kr/link?id=A105034006 『동시총화(東詩叢話)』(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 ] || 403-430<small>(28)</small> || 68 || 2017 || 김보성
 +
|-
 +
| A06901 || [http://www.riss.kr/link?id=A105257358 李鈺 小品文에 나타난漢陽 都會民의 生活과 世態 ] || 007-036<small>(30)</small> || 69 || 2018 || 안대회
 +
|-
 +
| A06902 || [http://www.riss.kr/link?id=A105257595 『閏人觀尺牘』과 『楓臯觀小牘』을 통해 본 金鑢와 金祖淳의 교유 양상 ] || 037-072<small>(36)</small> || 69 || 2018 || 강혜선
 +
|-
 +
| A06903 || [http://www.riss.kr/link?id=A105257596 兪晩柱가 만난 李安中-1786년 9월, 남산의 문학청년들- ] || 073-114<small>(42)</small> || 69 || 2018 || 김하라
 +
|-
 +
| A06904 || [http://www.riss.kr/link?id=A105257597 權常愼의 玄湖別墅와 漢江에서의 文化活動 ] || 115-144<small>(30)</small> || 69 || 2018 || 김세호
 +
|-
 +
| A06905 || [http://www.riss.kr/link?id=A105310016 조선전기 초기사림파 문인의 굴원·초사 수용 연구 -세계와의 대결과 고독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 || 145-179<small>(35)</small> || 69 || 2018 || 김보경
 +
|-
 +
| A06906 || [http://www.riss.kr/link?id=A105310017 『열국지(列國志)』의 조선 수용과 역사적 진실의 문제 ] || 181-219<small>(39)</small> || 69 || 2018 || 박경남
 +
|-
 +
| A06907 || [http://www.riss.kr/link?id=A105257594 石菱 金昌熙의 「論文十答」에 대하여 ] || 221-256<small>(36)</small> || 69 || 2018 || 이현일
 +
|-
 +
| A06908 || [http://www.riss.kr/link?id=A105257360 20세기 초 망명 문인의 시각적 자기 표상-초상화, 초상사진, 초상 자찬- ] || 257-290<small>(34)</small> || 69 || 2018 || 김기완
 +
|-
 +
| A07001 || [http://www.riss.kr/link?id=A105464504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고뇌(苦惱)와 회한(悔恨)-유배 이전 시기의 사건과 교유를 중심으로- ] || 007-049<small>(43)</small> || 70 || 2018 || 김봉남
 +
|-
 +
| A07002 || [http://www.riss.kr/link?id=A105464510 죽음에서 자아올린 生의 기억-생신제시문(生辰祭詩文)에 대한 연구- ] || 051-125<small>(75)</small> || 70 || 2018 || 강민구
 +
|-
 +
| A07003 || [http://www.riss.kr/link?id=A105464505 조선시대 괴석(怪石) 취향 연구-침향석(沈香石)과 태호석(太湖石)을 중심으로- ] || 127-157<small>(31)</small> || 70 || 2018 || 이종묵
 +
|-
 +
| A07004 || [http://www.riss.kr/link?id=A105430187 訥齋 朴祥의 雜體詩 실현 양상과 그 의미 ] || 159-196<small>(38)</small> || 70 || 2018 || 박명희
 +
|-
 +
| A07005 || [http://www.riss.kr/link?id=A105464507 이름을 품은 한시-조선조 잡명시(雜名詩)의 종류와 창작 실상- ] || 197-237<small>(41)</small> || 70 || 2018 || 이미진
 +
|-
 +
| A07006 || [http://www.riss.kr/link?id=A105446805 『금강경삼가해』 함허 <설의> 소재 게송의 작가의식과 표현미학 ] ||
 +
239-274<small>(36)</small> || 70 || 2018 || 전재강
 +
|-
 +
| A07007 || [http://www.riss.kr/link?id=A105464509 『九雲夢』 校合 定本 (1) ] || 275-335<small>(61)</small> || 70 || 2018 || 정길수
 +
|-
 +
| A07101 || [http://www.riss.kr/link?id=A105616649 『열하일기』 정본화 작업의 제문제 -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 || 007-044<small>(38)</small> || 71 || 2018 || 김혈조
 +
|-
 +
| A07102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0 자탁전(自托傳)의 각 계열에서 보이는 자기인식의 형상과 그 의미 ] || 045-084<small>(40)</small> || 71 || 2018 || 안득용
 +
|-
 +
| A07103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1 노백헌(老柏軒) 정재규(鄭載圭)의 「두류록(頭流錄)」에 나타난 일생의 한 국면 ] || 085-117<small>(33)</small> || 71 || 2018 || 강정화
 +
|-
 +
| A07104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2 성해응(成海應)의 연작 악부시 「계문란(季文蘭)의 노래」와 조선 후기 지식인의 심리적 상흔 ] || 119-155<small>(37)</small> || 71 || 2018 || 윤주필
 +
|-
 +
| A07105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3 박영교(朴泳敎)(1849~1884)의 『해동이아(海東爾雅)』에 대하여 -서술방식과 저술의식을 중심으로- ] ||
 +
157-189<small>(33)</small> || 71 || 2018 || 김용태
 +
|-
 +
| A07106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4 「百美圖歌」 硏究 ] || 191-214<small>(24)</small> || 71 || 2018 || 장유승
 +
|-
 +
| A07107 || [http://www.riss.kr/link?id=A105616655 『九雲夢』 校合 定本 (2) ] || 215-270<small>(56)</small> || 71 || 2018 || 정길수
 +
|-
 +
| A07201 || [http://www.riss.kr/link?id=A106019470 야담에서 공심의 생성과 정의 ] || 007-035<small>(29)</small> || 72 || 2018 || 이강옥
 +
|-
 +
| A07202 || [http://www.riss.kr/link?id=A105988585 고전으로 정의 말하기-한문 고전 활용 신문 칼럼을 대상으로- ] || 037-068<small>(32)</small> || 72 || 2018 || 송혁기
 +
|-
 +
| A07203 || [http://www.riss.kr/link?id=A106019401 백이론(伯夷論),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 ] || 069-095<small>(27)</small> || 72 || 2018 || 이홍식
 +
|-
 +
| A07204 || [http://www.riss.kr/link?id=A105988589 서계 박세당의 학술정신과 『맹자사변록』 ] || 097-138<small>(42)</small> || 72 || 2018 || 함영대
 +
|-
 +
| A07205 || [http://www.riss.kr/link?id=A105988586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본 「호질」 ] || 139-166<small>(28)</small> || 72 || 2018 || 김경미
 +
|-
 +
| A07206 || [http://www.riss.kr/link?id=A105988588 藥南 李憲洛의 생애와 문학세계 ] || 167-198<small>(32)</small> || 72 || 2018 || 김남기
 +
|-
 +
| A07301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1 목은 이색의 ‘물’에 관한 상상력과 표상화 양상 ] || 007-049<small>(43)</small> || 73 || 2019 || 김보경
 +
|-
 +
| A07302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2 물에 대한 관조 : 인생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 ] || 051-099<small>(49)</small> || 73 || 2019 || 이국진
 +
|-
 +
| A07303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4 물에 대한 기억과 그 문화 - 제주바다를 중심으로 - ] || 101-127<small>(27)</small> || 73 || 2019 || 김새미오
 +
|-
 +
| A07304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5 流動과 定住 사이 - 漁民의 행위자성 初探 ] || 129-187<small>(59)</small> || 73 || 2019 || 김대중
 +
|-
 +
| A07305 || [http://www.riss.kr/link?id=A106113259 波濤그림과 活水이론이 엮은 회화사 ] || 189-228<small>(40)</small> || 73 || 2019 || 고연희
 +
|-
 +
| A07306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0 청담 이중환 생애의 재조명 ] || 229-265<small>(37)</small> || 73 || 2019 || 안대회
 +
|-
 +
| A07307 || [http://www.riss.kr/link?id=A106113199 조선후기 소품문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 || 267-301<small>(35)</small> || 73 || 2019 || 김수진
 +
|-
 +
| A07308 || [http://www.riss.kr/link?id=A106113203 한문소설 속 성의 윤리와 정의 개념의 모순 ] || 303-329<small>(27)</small> || 73 || 2019 || 윤채근
 +
|-
 +
| A07309 || [http://www.riss.kr/link?id=A106113198 조수삼(趙秀三)의 「동리선생전(東里先生傳)」 읽기 ] || 331-361<small>(31)</small> || 73 || 2019 || 정순희
 +
|-
 +
| A07310 || [http://www.riss.kr/link?id=A106113197 澹寧 洪義浩의 燕行錄 硏究 (1) - 燕行詩의 특징을 중심으로 - ] || 363-394<small>(32)</small> || 73 || 2019 || 김동건
 +
|-
 +
| A07401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3 16세기 전반 노장(老莊) 사유의 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 || 007-062<small>(56)</small> || 74 || 2019 || 정용건
 +
|-
 +
| A07402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4 류성룡(柳成龍)이 재현한 아버지의 일생 -『종천영모록(終天永慕錄)』 수록 「선고행년기(先考行年紀)」의 글쓰기 방법 연구- ] || 063-099<small>(37)</small> || 74 || 2019 || 구슬아
 +
|-
 +
| A07403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5 이덕무(李德懋)의 『윤회매십전(輪回梅十箋)』에 나타난 지식의 편집 양상과 그 의미 ] || 101-136<small>(36)</small> || 74 || 2019 || 강진선
 +
|-
 +
| A07404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6 박지원 문예론에 나타난 ‘의(意)’의 의미에 대하여 -법고창신론의 재음미와 관련하여- ] || 137-172<small>(36)</small> || 74 || 2019 || 박희수
 +
|-
 +
| A07405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7 다산 정약용의 ‘스폰서’ 친족 -조선후기 친족은 부계화 되었는가?- ] || 173-205<small>(33)</small> || 74 || 2019 || 박미해
 +
|-
 +
| A07406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8 남공철(南公轍) 연행록(燕行錄) 소재(所載) 환술(幻術) 기록에 대한 연구 ] || 207-248<small>(42)</small> || 74 || 2019 || 안순태
 +
|-
 +
| A07407 || [http://www.riss.kr/link?id=A106268959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 || 249-274<small>(26)</small> || 74 || 2019 || 최금자
 +
|-
 +
| A07408 || [http://www.riss.kr/link?id=A106268892 한문학에서의 ‘고양이[猫]’ 명칭(名稱)과 별칭(別稱)에 대한 고찰(考察) ] || 275-305<small>(31)</small> || 74 || 2019 || 김경
 +
|-
 +
| A07409 || [http://www.riss.kr/link?id=A106268893 물(水), 혹은 흐르는 세계(物) -고대 중국 제자백가에서 ‘물’의 담론과 상형적 사유- ] || 307-336<small>(30)</small> || 74 || 2019 || 김시천
 +
|-
 +
| A07501 || [http://www.riss.kr/link?id=A106370368 紫霞 申緯의 漢詩史的 位相과 文藝觀 ] || 007-062<small>(56)</small> || 75 || 2019 || 이현일
 +
|-
 +
| A07502 || [http://www.riss.kr/link?id=A106370370 紫霞 申緯의 燕行과 翁方綱의 영향 ] || 063-098<small>(36)</small> || 75 || 2019 || 박철상
 +
|-
 +
| A07503 || [http://www.riss.kr/link?id=A106370369 申緯의 墨竹畵에 대하여 ] || 099-146<small>(48)</small> || 75 || 2019 || 진준현
 +
|-
 +
| A07504 || [http://www.riss.kr/link?id=A106370372 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 ] || 147-182<small>(36)</small> || 75 || 2019 || 고연희
 +
|-
 +
| A07505 || [http://www.riss.kr/link?id=A106370373 『傳世寶玩帖』 소재 강세황의 간찰과 그 특성 ] || 183-222<small>(40)</small> || 75 || 2019 || 정은진
 +
|-
 +
| A07506 || [http://www.riss.kr/link?id=A106370374 조면호의 「예석」 연구-사람과 돌의 교감에 대한 일고찰- ] || 223-254<small>(32)</small> || 75 || 2019 || 신정수
 +
|-
 +
| A07507 || [http://www.riss.kr/link?id=A106370365 「道康瞽家婦詞」의 서사 전개와 인물 형상화 방법 ] || 255-296<small>(42)</small> || 75 || 2019 || 남윤혜
 +
|-
 +
| A07508 || [http://www.riss.kr/link?id=A106370366 服齋 奇遵의 紀行詩 硏究 ] || 297-330<small>(34)</small> || 75 || 2019 || 유진희
 +
|-
 +
| A07509 || [http://www.riss.kr/link?id=A106370371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Ⅰ)-창작 배경 및 자아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 || 331-386<small>(56)</small> || 75 || 2019 || 박진성
 +
|-
 +
| A07510 || [http://www.riss.kr/link?id=A106370367 夫馬進의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387-424<small>(38)</small> || 75 || 2019 || 이효원
 +
|-
 +
| A07601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7 평화체제를 향한 남북한의 고전문학사 인식 ] || 009-040<small>(32)</small> || 76 || 2019 || 진재교
 +
|-
 +
| A07602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2 분단 이후 남한의 한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민족주의 비판론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 || 041-070<small>(30)</small> || 76 || 2019 || 김용태
 +
|-
 +
| A07603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8 2000년대 이후 북한의 한문학 연구 경향 ] || 071-104<small>(34)</small> || 76 || 2019 || 강혜선
 +
|-
 +
| A07604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5 한문, 한자교재로 보는 식민통치와 한글전용-「漢文敎授捷徑 序」(1929), 『朝鮮歷史千字文』(1928), 『(대한민국)새千字』(1951)의 경우- ] || 105-134<small>(30)</small> || 76 || 2019 || 임상석
 +
|-
 +
| A07605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6 漢文學을 통해 되돌아보는 三韓統一의 역사(Ⅰ)-高麗 시대까지의 漢詩에 나타난 三韓과三韓統一의 의미를 중심으로- ] || 135-198<small>(64)</small> || 76 || 2019 || 남재철
 +
|-
 +
| A07606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9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보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 ] || 199-234<small>(36)</small> || 76 || 2019 || 손혜리
 +
|-
 +
| A07607 || [http://www.riss.kr/link?id=A106490358 19세기 연행록에 드러난 홍경래의 난과그 토양 ‘서북’ ] || 235-266<small>(32)</small> || 76 || 2019 || 김현미
 +
|-
 +
| A07608 || [http://www.riss.kr/link?id=A106490310 북한지역 한문학 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 || 267-302<small>(36)</small> || 76 || 2019 || 장유승
 +
|-
 +
| A07609 || [http://www.riss.kr/link?id=A106490357 한국한문소설로 보는 한반도 주변세계 인식 ] || 303-336<small>(34)</small> || 76 || 2019 || 정길수
 +
|-
 +
| A07610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3 梧峯 申之悌의 生涯와 詩에 표출된 鬱結의 樣相 ] || 337-374<small>(38)</small> || 76 || 2019 || 김기엽
 +
|-
 +
| A07611 || [http://www.riss.kr/link?id=A106490360 「瀛州十景」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매계 이한우 작품을 중심으로- ] || 375-400<small>(26)</small> || 76 || 2019 || 김새미오
 +
|-
 +
| A07612 || [http://www.riss.kr/link?id=A106490359 『西京稗史抄畧』과 「平壤戰(爭及其前後ノ)記」-淸日戰爭 관련 기록과 漢文의 위치- ] || 401-436<small>(36)</small> || 76 || 2019 || 송호빈
 +
|-
 +
| A07613 || [http://www.riss.kr/link?id=A106490304 조선시대 한성부 東村의 인문경관 연구 ] || 437-486<small>(50)</small> || 76 || 2019 || 안순태
 +
|-
 +
| A07701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2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고찰 ] || 009-041<small>(33)</small> || 77 || 2020 || 이영숙
 +
|-
 +
| A07702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3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 || 043-084<small>(42)</small> || 77 || 2020 || 김현진
 +
|-
 +
| A07703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4 신익성(申翊聖)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를 통해 본 조선(朝鮮) 후기(後期) 유기(遊記)의 문체적(文體的) 다변화(多變化) ] || 085-111<small>(27)</small> || 77 || 2020 || 김광년
 +
|-
 +
| A07704 || [http://www.riss.kr/link?id=A106640894 평양 읍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 115-146<small>(32)</small> || 77 || 2020 || 이은주
 +
|-
 +
| A07705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6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 || 147-181<small>(35)</small> || 77 || 2020 || 노경희
 +
|-
 +
| A07706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7 유만주(兪晩柱)의 해주(海州) - 『흠영(欽英)』에 나타난 18세기 해주의 역사지리학 - ] || 183-221<small>(39)</small> || 77 || 2020 || 김하라
 +
|-
 +
| A07707 || [http://www.riss.kr/link?id=A106640895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 ] || 225-300<small>(76)</small> || 77 || 2020 || 심경호
 +
|-
 +
| A07708 || [http://www.riss.kr/link?id=A106671759 륙지(陸贄) 병문(騈文)의 특징과 『신당서(新唐書)』 「륙지전(陸贄傳)」에서의 개작 양상 ] || 301-339<small>(39)</small> || 77 || 2020 || 김우정
 +
|-
 +
| A07709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0 동성파(桐城派) 문인들의 병려문(騈儷文) 인식에 관한 일고(一考) ] || 341-372<small>(32)</small> || 77 || 2020 || 김호
 +
|-
 +
| A07710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1 려말선초(麗末鮮初) 황정견(黃庭堅) 시론(詩論)의 수용 양상 ] || 375-397<small>(23)</small> || 77 || 2020 || 류화정
 +
|-
 +
| A07711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2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중용』 해석과 그 의미 ] || 399-433<small>(35)</small> || 77 || 2020 || 최석기
 +
|-
 +
| A07712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3 유언호(兪彦鎬) 『연석승유기(燕石勝遊記)』의 평점비평(評點批評) 연구 ] || 435-467<small>(33)</small> || 77 || 2020 || 표가령
 +
|-
 +
| A07713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4 조선후기 사가(私家) 장서목록(藏書目錄)에 대한 일고(一攷) -심억ㆍ심제현, 이원정ㆍ이담명의 목록을 중심으로- ] || 469-505<small>(37)</small> || 77 || 2020 || 김영진
 +
|-
 +
| A07714 || [http://www.riss.kr/link?id=A106671765 만하몽유록(晩河夢遊錄)에 나타난 20세기 초 유교지식인의 현실 인식과 닫힌 전망 ] || 507-541<small>(35)</small> || 77 || 2020 || 엄기영
 +
|-
 +
| A07715 || [http://www.riss.kr/link?id=A106640898 『한국문집총간』 엔그램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 ] || 543-570<small>(28)</small> || 77 || 2020 || 이병찬
 +
|-
 +
| A07801 || [http://www.riss.kr/link?id=A106920194 「送朝天客歸國詩章圖」는 일본 遣明使臣의 산물이다 ] || 009-038<small>(30)</small> || 78 || 2020 || 박현규
 +
|-
 +
| A07802 || [http://www.riss.kr/link?id=A106920190 1763년 계미통신사가 경험한 시공간의 변화와 생활상 ] || 039-079<small>(41)</small> || 78 || 2020 || 양흥숙
 +
|-
 +
| A07803 || [http://www.riss.kr/link?id=A106920134 연암 박지원의 熱河 行步와 文心 ] || 081-116<small>(36)</small> || 78 || 2020 || 이승수, 강동우, 황인건
 +
|-
 +
| A07804 || [http://www.riss.kr/link?id=A106920191 幻戱의 演行 양상과 흥미 요소에 관한 연구-조선후기 연행록 所載 北京 幻戱 기록을 중심으로- ] || 117-147<small>(31)</small> || 78 || 2020 || 안순태
 +
|-
 +
| A07805 || [http://www.riss.kr/link?id=A106920138 燕行錄을 통해 본 先來軍官 제도의 운용 양상 ] || 149-179<small>(31)</small> || 78 || 2020 || 김동건
 +
|-
 +
| A07806 || [http://www.riss.kr/link?id=A106920192 用兵의 글쓰기-한문산문 비평과 작법에서의 兵法 담론을 중심으로- ] || 183-221<small>(39)</small> || 78 || 2020 || 김홍백
 +
|-
 +
| A07807 || [http://www.riss.kr/link?id=A106920193 兪漢雋과 朴趾源-朴宗采의 『過庭錄』 기록에 대한 재검토- ] || 223-262<small>(40)</small> || 78 || 2020 || 박경남
 +
|-
 +
| A07808 || [http://www.riss.kr/link?id=A106920135 徐瀅修의 『碧紺珠』에 대한 서지적 연구 ] || 263-296<small>(34)</small> || 78 || 2020 || 장종미
 +
|-
 +
| A07809 || [http://www.riss.kr/link?id=A106920136 三溟 姜浚欽 「海東樂府」 연구 ] || 297-338<small>(42)</small> || 78 || 2020 || 김종하
 +
|-
 +
| A07810 || [http://www.riss.kr/link?id=A106920137 鶴山 尹濟弘의 <漢拏山圖> 一考 ] || 339-360<small>(22)</small> || 78 || 2020 || 성민경
 +
|-
 +
| A07901 || [http://www.riss.kr/link?id=A107072094 젠더적 시각에 의한 한문학의 재구성 논의에 대한 관견 ] || 009-029<small>(21)</small> || 79 || 2020 || 김용태
 +
|-
 +
| A07902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2 한문학과 여성, 그리고 명령과 소통 ] || 031-057<small>(27)</small> || 79 || 2020 || 박영민
 +
|-
 +
| A07903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9 조선후기 여성의 (불)가능한 글쓰기와 윤리적 듣기의 가능성 -열녀 유서를 중심으로 한 한문학에서의 젠더 연구 방법론 시론- ] || 059-100<small>(42)</small> || 79 || 2020 || 홍인숙
 +
|-
 +
| A07904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7 17세기 사족여성의 노동 형상화 -17세기 여성의 제문․묘지문․행장 등을 중심으로- ] || 103-128<small>(26)</small> || 79 || 2020 || 전지원
 +
|-
 +
| A07905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5 「洌上閨藻」 연구 -가상의 고대사와 허구의 여성들- ] || 129-181<small>(53)</small> || 79 || 2020 || 장유승
 +
|-
 +
| A07906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8 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시대적 맥락 -광해군代 기자헌과 유몽인의 기억을 중심으로- ] || 183-221<small>(39)</small> || 79 || 2020 || 강창규
 +
|-
 +
| A07907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3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 || 223-297<small>(75)</small> || 79 || 2020 || 정민
 +
|-
 +
| A07908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4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湖嶺巾衍錄 연구 ] || 299-332<small>(34)</small> || 79 || 2020 || 한영규
 +
|-
 +
| A07909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1 秋琴 姜瑋의 經學과 詩經觀 -추사계열과 다산계열 사이의 교류를 배경으로- ] || 333-361<small>(29)</small> || 79 || 2020 || 홍유빈
 +
|-
 +
| A07910 || [http://www.riss.kr/link?id=A107060106 원중거의 승사록 소재 필담 검토 -서술 의도와 효과를 중심으로- ] || 363-399<small>(37)</small> || 79 || 2020 || 장진엽
 +
|-
 +
| A08001 || [http://www.riss.kr/link?id=A107218266 『溪西雜錄』 異本考 ] || 009-043<small>(35)</small> || 80 || 2020 || 이승은
 +
|-
 +
| A08002 || [http://www.riss.kr/link?id=A107218267 『溪西雜錄』의 轉移樣相 ] || 045-069<small>(25)</small> || 80 || 2020 || 김유진
 +
|-
 +
| A08003 || [http://www.riss.kr/link?id=A107218268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 -『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071-105<small>(35)</small> || 80 || 2020 || 권기성
 +
|-
 +
| A08004 || [http://www.riss.kr/link?id=A107218269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 율시(律詩)의 승접(承接)과 전절(轉折)의 양상 ] || 109-141<small>(33)</small> || 80 || 2020 || 라란
 +
|-
 +
| A08005 || [http://www.riss.kr/link?id=A107218270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前集) 주석(註釋)의 문제점 ] || 143-174<small>(32)</small> || 80 || 2020 || 황위주
 +
|-
 +
| A08006 || [http://www.riss.kr/link?id=A107218271 한국 한문소설의 여성 욕망 ] || 175-206<small>(32)</small> || 80 || 2020 || 정길수
 +
|-
 +
| A08007 || [http://www.riss.kr/link?id=A107218272 김성탄(金聖嘆)의 수호전(水滸傳) 비평 (8) ] || 207-239<small>(33)</small> || 80 || 2020 || 이승수
 +
|-
 +
| A08008 || [http://www.riss.kr/link?id=A107218273 조구명(趙龜命) 책문(策文) 연구 ] || 241-294<small>(54)</small> || 80 || 2020 || 최두헌
 +
|-
 +
| A08009 || [http://www.riss.kr/link?id=A107218205 민성휘(閔聖徽) 가문의 장서 연구 -7대손 민경속(閔景涑)과 유만주(兪晩柱)의 서적 왕래를 겸하여- ] || 295-325<small>(31)</small> || 80 || 2020 || 김영진, 안정은
 +
|-
 +
| A08010 || [http://www.riss.kr/link?id=A107218206 『운양집(雲養集)』의 중간(重刊)에 대한 문화사적 탐색 -김윤식(金允植)과 『운양집(雲養集)』, 그리고 도쿠토미 소호[徳富蘇峰] ] || 327-372<small>(46)</small> || 80 || 2020 || 박영미
 +
|-
 +
| A08011 || [http://www.riss.kr/link?id=A107218207 김해 함허정의 장소기억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을 겸하여- ] || 373-411<small>(39)</small> || 80 || 2020 || 김보경
 +
|-
 +
| A08012 || [http://www.riss.kr/link?id=A107218208 노령(蘆嶺)의 역사와 갈재 옛길의 문화사 ] || 413-437<small>(25)</small> || 80 || 2020 || 김세호
 +
|-
 +
| A08101 || [http://www.riss.kr/link?id=A107354896 조선시대 문인들의 음서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 양상 연구 ] || 009-054<small>(46)</small> || 81 || 2021 || 이국진
 +
|-
 +
| A08102 || [http://www.riss.kr/link?id=A107354897 「양반전」을 통해 본 18세기 조선의 사회신분 질서 ] || 055-087<small>(33)</small> || 81 || 2021 || 계승범
 +
|-
 +
| A08103 || [http://www.riss.kr/link?id=A107354898 ‘양반되기’ 서사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조건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중심으로- ] || 089-126<small>(38)</small> || 81 || 2021 || 전경목
 +
|-
 +
| A08104 || [http://www.riss.kr/link?id=A107354899 결사(結社)로서의 윤리와 경제 공동체 -조선 후기의 향도(香徒)와 동약(洞約) 담론을 중심으로- ] || 127-167<small>(41)</small> || 81 || 2021 || 김홍백
 +
|-
 +
| A08105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0 조선후기 민인의 하부정치 ] || 169-218<small>(50)</small> || 81 || 2021 || 김대중
 +
|-
 +
| A08106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1 문학적 전범으로서의 『춘추좌전(春秋左傳)』 인식에 관한 일고(一考) - 17세기 초 고문(古文) 학습관과 서적 편찬- ] || 221-259<small>(39)</small> || 81 || 2021 || 심규식
 +
|-
 +
| A08107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2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의 생애(生涯)와 현실인식(現實認識) ] || 261-295<small>(35)</small> || 81 || 2021 || 서한석
 +
|-
 +
| A08108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3 조선 후기 북벌론(北伐論)의 여맥(餘脈)과 오자서(伍子胥) 담론 ] || 297-334<small>(38)</small> || 81 || 2021 || 정하정
 +
|-
 +
| A08109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4 연세대학교 소장 『만오만필(晩悟漫筆)』의 작자에 대한 고찰 ] || 335-360<small>(26)</small> || 81 || 2021 || 임영걸
 +
|-
 +
| A08110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5 이유원(李裕元)의 1845년 사은사행(謝恩使行)과 한중 문인 교유 ] || 361-389<small>(29)</small> || 81 || 2021 || 임영길
 +
|-
 +
| A08110 || [http://www.riss.kr/link?id=A107354906 한자 문화권의 역사 유산과 역사 연구자의 지적 곤경 ] || 391-419<small>(29)</small> || 81 || 2021 || 이훈상
 +
|-
 +
| A08201 || [http://www.riss.kr/link?id=A107747386 19세기 조선 서울 문단의 사문학(詞文學) 창작 경향 ] || 009-040<small>(32)</small> || 82 || 2021 || 김영미
 +
|-
 +
| A08202 || [http://www.riss.kr/link?id=A107747387 19세기 한강(漢江) 시회(詩會)의 일면 -마포 녹범각(綠帆閣) 모임과 『녹범시화(綠帆詩話)』- ] || 041-076<small>(36)</small> || 82 || 2021 || 김보성
 +
|-
 +
| A08203 || [http://www.riss.kr/link?id=A107747388 해장(海藏) 신석우(申錫愚) 문학의 지방지적(地方誌的) 성격 -지방관 재임기 작품을 중심으로- ] || 077-116<small>(40)</small> || 82 || 2021 || 장진영
 +
|-
 +
| A08204 || [http://www.riss.kr/link?id=A107747389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의 작자 문제 ] || 119-156<small>(38)</small> || 82 || 2021 || 신향림
 +
|-
 +
| A08205 || [http://www.riss.kr/link?id=A107747390 조선 후기 장동김문(壯洞金門)의 백운산(白雲山) 별서(別墅) 경영과 그 의미 ] || 157-185<small>(29)</small> || 82 || 2021 || 김세호
 +
|-
 +
| A08206 || [http://www.riss.kr/link?id=A107747391 죽어야 사는 여자 -이인상과 김종수의 여성 제문 연구- ] || 187-226<small>(40)</small> || 82 || 2021 || 김수진
 +
|-
 +
| A08207 || [http://www.riss.kr/link?id=A107747392 「사유록(四遊錄)」을 통해 본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의 학적 지향 ] || 227-268<small>(42)</small> || 82 || 2021 || 오보라
 +
|-
 +
| A08208 || [http://www.riss.kr/link?id=A107747393 조선 후기 한 서족 가문의 학지와 가학 전승 -창녕 성씨가의 연행과 통신사행을 중심으로- ] || 269-305<small>(37)</small> || 82 || 2021 || 손혜리
 +
|-
 +
| A08301 || [http://www.riss.kr/link?id=A107880929 오학론(五學論)으로 읽는 경전학의 이면 -경학과 과거 문장학의 조응- ] || 009-036<small>(28)</small> || 83 || 2021 || 함영대
 +
|-
 +
| A08302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0 이수광(李睟光)(1563~1628)과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도문론(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 || 037-076<small>(40)</small> || 83 || 2021 || 오세현
 +
|-
 +
| A08303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1 조선후기 과문(科文)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규장각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 || 077-116<small>(40)</small> || 83 || 2021 || 박현순
 +
|-
 +
| A08304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2 숙종(肅宗)·영조대(英祖代) 과거제(科擧制)와 과문(科文)의 추이(推移)와 쟁점에 관한 일고찰 ] || 117-147<small>(31)</small> || 83 || 2021 || 박선이
 +
|-
 +
| A08305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3 한·중 과거(科擧) 경의문(經義文) 비교 -조선시대 사서의(四書疑)·오경의(五經義)와 명·청대 팔고문(八股文)을 중심으로- ] || 149-182<small>(34)</small> || 83 || 2021 || 윤선영
 +
|-
 +
| A08306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4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2) -기(氣) 위주 문학관을 중심으로- ] || 185-223<small>(39)</small> || 83 || 2021 || 박경남
 +
|-
 +
| A08307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5 『정선당송천가련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에 활용된 송(宋)ㆍ원대(元代) 문학비평서의 문헌학적 검토 ] || 225-255<small>(31)</small> || 83 || 2021 || 류화정
 +
|-
 +
| A08308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6 한국 의고시(擬古詩)의 사적(史的) 전개와 의고(擬古) 양상 연구-고려 후기~조선 전기를 중심으로- ] || 257-291<small>(35)</small> || 83 || 2021 || 이훈
 +
|-
 +
| A08309 || [http://www.riss.kr/link?id=A107869884 1763年 계미통신사행록 東槎紀行 의 작자와 일본 체험 ] || 293-334<small>(42)</small> || 83 || 2021 || 정우봉
 +
|-
 +
| A08310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8 紫霞 申緯의 「東人論詩絶句三十五首」 다시 읽기 ] || 335-394<small>(60)</small> || 83 || 2021 || 이현일
 +
|-
 +
| A08311 || [http://www.riss.kr/link?id=A107880939 18~19세기 서울 남촌(南村) 남고시사(楠皐詩社)의 형성과 활동 ] || 395-443<small>(49)</small> || 83 || 2021 || 진민희
 +
|-
 +
| A08312 || [http://www.riss.kr/link?id=A107880940 경대(經臺) 김상현(金尙鉉)의 교유시에 대한 일고찰 ] || 445-478<small>(34)</small> || 83 || 2021 || 김용태
 +
|}</font>
 
</div>
 
</div>

2022년 2월 7일 (월) 01:59 기준 최신판

메인 페이지로 가기


데이터로 들여다보는 한문학 연구 동향

:최근 20년간의 『한국한문학연구』 게재 논문(2000-2021)을 중심으로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in the last 20 years(2000-2021)


연구 개요




연구 데이터



논문 데이터

연번 논문명 수록면(쪽수) 권호 발표연도 연구자
A02501 원천석 한시 연구 007-042(36) 25 2000 변종현
A02502 권벽 시 연구 : 유울의 삶과 독백의 시세계 043-077(35) 25 2000 김창호
A02503 구용의 시세계 079-114(36) 25 2000 김상일
A02504 『노가재연행일기 (老稼齋燕行日記)』 의 글쓰기 방식 :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115-142(28) 25 2000 김아리
A02505 서암 신정하의 문학론에 대한 연구 143-171(29) 25 2000 강민구
A02506 『청구야담』 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 173-204(32) 25 2000 임완혁
A02507 추사의 『동고문존 (東古文存)』에 대하여 205-232(28) 25 2000 윤호진
A02508 『독서기 대학』을 통해 본 백호 윤휴의 경학사상 233-253(21) 25 2000 이영호
A02509 정약용의 경학관과 경세학의 기저 : '공평사상'을 중심으로 255-286(32) 25 2000 장병한
A02510 18세기 안산과 여주이씨가의 문학활동 : 『섬사편』을 중심으로 289-316(28) 25 2000 박용만
A02511 18세기 안산의 풍광과 제영 : 시로 읽는 안산의 옛노래 317-365(49) 25 2000 강경훈
A02512 강세황의 안산생활과 문예활동 : 유경종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367-396(30) 25 2000 정은진
A02513 해암 류경종의 시문학 연구 397-427(31) 25 2000 김동준
A02601 주자와 이규보의 시어에 대하여 009-035(27) 26 2000 김경수
A02602 이곡의 「영사시」연구 037-057(21) 26 2000 박성규
A02603 『매월당시사유록』에 관한 고찰 059-085(27) 26 2000 임형택
A02604 허난설헌의 또 하나의 중국 간행본 『취사원창』 087-113(27) 26 2000 박현규
A02605 18 세기의 백두산과 그 문학 115-154(40) 26 2000 진재교
A02606 이곡 시에 있어서의 반성적 시선과 자유에의 지향 157-187(31) 26 2000 유호진
A02607 둔촌 이집 시의 품격 연구 189-212(24) 26 2000 하정승
A02608 목은 시에 있어서 역리의 형상화 213-236(24) 26 2000 정재철
A02609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과 그 성향 237-270(34) 26 2000 최석기
A02610 이수광 유선시의 환상과 초월 271-294(24) 26 2000 강민경
A02611 「관내정사」의 ' 교직 ' 지법과 「호질」 295-324(30) 26 2000 이강엽
A02612 실학파 문학관 일고찰 325-357(33) 26 2000 송재소
A02613 18세기 회화론과 문학론의 접점 359-390(31) 26 2000 박수밀
A02614 동문황의 『한객시존』과 한중문학교유 391-418(28) 26 2000 김명호
A02615 조선의 매화시 419-449(31) 26 2000 박혜숙
A02701 한시 분석의 틀로서 허 (虛)와 실 (實)의 문제  : 조선 전기 ' 누정시 ' 를 중심으로 005-030(26) 27 2001 이종묵
A02702 한시 번역문체 연구 (1)  : 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031-063(33) 27 2001 고순희
A02703 금언체시 (禽言體詩) 연구 065-103(39) 27 2001 정민
A02704 조선문사와 명사신의 수창 (酬唱)과 그 양상 105-137(33) 27 2001 김덕수
A02705 황정욱(黃廷彧) 시에 나타난 대인(大人)의 인격이상 139-164(26) 27 2001 신향림
A02706 차식의 『봉래록』 에 대하여 165-194(30) 27 2001 정환국
A02707 수은 (睡隱) 강항 (姜沆)의 시적 상유와 그 의미  : 귀환 이후의 시작을 중심으로 195-226(32) 27 2001 이혜순
A02708 우암 (尤菴)의 장기 유배생활 실상과 저작활동 227-257(31) 27 2001 이민홍
A02709 노이점(盧以漸)의 『수사록』 에 관한 연구  : 『열하일기』 와 비교의 관점에서 259-302(44) 27 2001 김동석
A02710 김정희 (金正喜) 문예이론의 인식론적 기반과 미학적 성격 303-334(32) 27 2001 금동현
A02711 오효원 한시의 현실의식 및 여성정감의 특징 335-361(27) 27 2001 이성호
A02801 우언 글쓰기와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005-035(31) 28 2001 윤주필
A02802 조선시대 유행 두시집 『 두율우주 』 의 문헌학적 연구 037-062(26) 28 2001 이의강
A02803 『 정언묘선 』 의 풍격 연구 - 충담소산 , 한미청적 , 청신여락을 중심으로 - 063-094(32) 28 2001 정재철
A02804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095-121(27) 28 2001 안대회
A02805 조선후기 " 천기론 " 의 개념 및 미학이념과 그 문예 , 사상사적 연관 123-146(24) 28 2001 이동환
A02806 김도수 한시 연구 : 외척과 서얼의 이중적 자아 147-185(39) 28 2001 김경숙
A02807 17 세기후반 사대부의 김시습 수용 양상과 그 의미 187-215(29) 28 2001 이승수
A02808 박제가의 제의 시론 217-245(29) 28 2001 정일남
A02809 정약용의 변 『 고문상서원사 』 에 대해서 247-288(42) 28 2001 장병한
A02810 풍석 서유구와 『 번계시고 』 - 자료 소개를 겸하여 289-313(25) 28 2001 조창록
A02811 『 기리총화 』 에 대한 일고찰 - 편찬자 확정과 후대 야담집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315-348(34) 28 2001 김영진
A02901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산문에서의 미학적 특성 - 그 전체적 이해를 위한 하나의 관견 007-040(34) 29 2002 장원철
A02902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소설의 미적 특성과 그 구현 양상에 대한 검토 - 초기 한문소설에서의 몇몇 국면을 중심으로 - 041-073(33) 29 2002 정출헌
A02903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학 , 고지도 , 회화의 미적 교감 - 이조후기 문화사 이해의 한 국면 - 074-118(44) 29 2002 진재교
A02904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조선시대 진환론의 전개 - 산수미와 산수화에 관한 담론 - 119-148(30) 29 2002 고연희
A02905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국포 강박의 시학 - 18 세기 남인계열의 미적 동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149-177(29) 29 2002 박무영
A02906 무한성의 추구와 무애미학 - 한국 불가시의 미학 전통 ( 1 ) - 179-211(33) 29 2002 이진오
A02907 서거정의 문장론 연구 213-255(43) 29 2002 조영호
A02908 16 세기 호남 사대부 한시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 박상 , 임억령 , 고경명을 중심으로 - 257-289(33) 29 2002 박은숙
A02909 조선후기 인물기사의 전개와 그 성격 291-320(30) 29 2002 정환국
A02910 유몽인의 명실론과 그 문학적 수용 321-354(34) 29 2002 이월영
A02911 『 어우야담 (於于野譚) 』 의 비판적 정본 연구 355-408(54) 29 2002 신익철, 이형대
A02912 박지원의 『 발승암기 (髮僧菴記) 』 연구 - 파격의 형식과 우의를 중심으로 409-432(24) 29 2002 박경남
A02913 이옥 (李鈺)의 문학에서 " 남녀 진정 (眞情) " 과 " 열절 (烈節) " 의 문제 433-462(30) 29 2002 이지양
A03001 조선후기 女性 墓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007-036(30) 30 2002 강혜선
A03002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037-073(37) 30 2002 황미선
A03003 碑誌文에 나타난 王과 王妃의 人物 形象  : 藏書閣 23冊本 『列聖誌狀通記』 所在 碑誌文을 중심으로 075-102(28) 30 2002 허원기
A03004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英組·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103-143(41) 30 2002 이은영
A03005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145-186(42) 30 2002 신복호
A03006 金九容 詩의 淸淨 意象에 내포된 정신적 의미 187-219(33) 30 2002 유호진
A03007 栗谷 李珥의 古文觀과 그 표현 특성 221-252(32) 30 2002 홍학희
A03008 鳴皐 任鐄 詩 硏究 253-285(33) 30 2002 이창호
A03009 조선후기 漢詩와 繪畵의 교섭  : 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287-317(31) 30 2002 강명관
A03010 조선후기 文學과 繪畵의 상호조명  : 상호 친연성 및 천기를 중심으로 319-351(33) 30 2002 박수밀
A03011 傳奇小說의 전통과 『九雲夢』 353-379(27) 30 2002 정길수
A03012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 381-407(27) 30 2002 김윤조
A03013 成海應과 申綽의 考證的 詩經學 硏究 409-434(26) 30 2002 이병찬
A03014 침계 윤정현의 문학활동  : 여항·서얼·서북지역 문인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435-469(35) 30 2002 김용태
A03101 許筠의 尺牘에 대한 一考察 007-047(41) 31 2003 김성진
A03102 燕巖 尺牘小品의 문예미 049-087(39) 31 2003 정민
A03103 박지원과 이덕무의 戱文 교환에 대하여  : 박지원의 『산해경』東荒經 補經과 이덕무의 注에 나타난 지식론의 문제와 훈고학의 해학적 전용 방식, 그리고 척독 교환의 인간학적 의의 089-112(24) 31 2003 심경호
A03104 16세기 畿湖士林派의 형성과 그 문학적 지향 113-140(28) 31 2003 우응순
A03105 16·17세기 漢文學의 美學的 變貌 樣相에 대한 연구  : 林悌와 권필을 중심으로 141-165(25) 31 2003 윤채근
A03106 草盧 李惟泰의 詩世界 167-201(35) 31 2003 유영봉
A03107 18세기초 散文理論의 전개양상 一考  : 李宜顯,申維翰,趙龜命의 대비를 중심으로 203-236(34) 31 2003 송혁기
A03108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237-266(30) 31 2003 안대회
A03109 鷄龍山 遊記에 대한 硏究 267-312(46) 31 2003 강현경
A03110 朴珪壽의 宮詞 「鳳韶餘響」에 대하여 313-337(25) 31 2003 김명호
A03111 高麗 禪詩와 日本 五山詩의 比較 硏究 339-390(52) 31 2003 인권환
A03112 한·중 寓言의 욕망 구현 양상 391-411(22) 31 2003 김영
A03201 『大東韻府群玉』의 역사적 기원과 위상 007-022(16) 32 2003 임형택
A03202 『詳說古文眞寶大全』 연구  : 도학적 문학관의 적용 양상 023-057(35) 32 2003 정재철
A03203 『삽교예학록』의 散文修辭學 硏究 059-086(28) 32 2003 정우봉
A03204 『東槎餘談』에 실린 李彦瑱의 필담 자료와 그 의미 087-123(37) 32 2003 정민
A03205 申緯의 『焚餘錄』 硏究 125-163(39) 32 2003 이현일
A03206 고려 중기 禪 사상과 문학 사상의 관련 양상 연구 165-205(41) 32 2003 김승룡
A03207 고려후기 주역 인식의 특성과 그 의미  : 白文寶를 중심으로 207-239(33) 32 2003 김보경
A03208 이승소의 한시를 통해 본 15세기 관료의식의 한 국면  : 애상적 인생 성찰과 귀거래 의식을 중심으로 241-283(43) 32 2003 조영호
A03209 최립 古文辭의 性格에 관하여 285-315(31) 32 2003 김우정
A03210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317-352(36) 32 2003 박무영
A03211 朝鮮後期 女性文學硏究 Ⅲ  : 朴竹西의 漢詩를 중심으로 353-413(61) 32 2003 김여주
A03212 근대문학 형성기 卞榮晩의 사상적 지향과 문학세계 415-449(35) 32 2003 신익철
A03301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한국 한문학과 생태의 문제 007-031(25) 33 2004 김상홍
A03302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퇴계 이황의 유기체 우주론과 생태사상 033-065(33) 33 2004 이종호
A03303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장유의 사유방식에 대한 한 이해 -생태학적 인식의 모색- 067-092(26) 33 2004 우응순
A03304 특집 : 한문학과 생태,사상 ; 노장의 생태사상과 우언 093-112(20) 33 2004 김영
A03305 15세기 필기에서의 서사 수용 양상 113-140(28) 33 2004 신상필
A03306 기재 신광한 시의 형식적 특질 141-178(38) 33 2004 임채명
A03307 이계가와 우이동 179-203(25) 33 2004 이군선
A03308 이덕무 척독 연구 -"내면", 혹은 "사적 자아"의 발견- 205-234(30) 33 2004 홍인숙
A03309 "상소문"의 문예미학 탐색 235-263(29) 33 2004 신두환
A03401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이규보 연보연구 007-035(29) 34 2004 박성규
A03402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정언묘선』의 사유체계 및 심미의식 037-073(37) 34 2004 정재철
A03403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유몽인(柳夢寅) 산문이론의 구조와 의미 -이른바 "진한고문파" 이론에 대한 재검토를 겸하여- 075-116(42) 34 2004 금동현
A03404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조선후기 한문학과 원굉도(袁宏道) 117-156(40) 34 2004 심경호
A03405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조선조 문인의 두시 「동곡칠가」 수용과 해석 157-188(32) 34 2004 이의강
A03406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특집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중국에서의 한국 한문학 연구 현황과 과제 189-211(23) 34 2004 채미화
A03407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선탄 시세계의 한 국면 215-246(32) 34 2004 이상동
A03408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박은 시의 수사기교 연구(1) -요체의 분석을 중심으로- 247-275(29) 34 2004 홍순석
A03409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노수신의 인심도심설에 내포된 육왕학의 심성수양론 277-315(39) 34 2004 신향림
A03410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용주 조경(趙絅)의 문학관에 대한 연구 317-346(30) 34 2004 정경훈
A03411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김만중 사유의 세계표상 양식과 『구운몽』 -공의 의미와 통속성을 중심으로- 347-388(42) 34 2004 윤채근
A03412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도암(陶菴) 이재(李縡) 시의 문예미 389-414(26) 34 2004 정순희
A03413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약산 오광운 시의 문예미학적 특징 -경이로움과 정취를 중심으로- 415-440(26) 34 2004 김종진
A03414 대산 이동환 선생 정년퇴직 기념호 : 인조말, 효종조의 문풍 변화 -『심양장계(瀋陽狀啓)』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441-477(37) 34 2004 남은경
A03501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산문론에서 "실(實)"의 문제 007-033(27) 35 2005 김철범
A03502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035-077(43) 35 2005 정민
A03503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성령론의 재조명 - 최성환의 성령론을 중심으로 - 079-108(30) 35 2005 정우봉
A03504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19세기 중인문학의 재조명 - 조희룡을 중심으로 109-136(28) 35 2005 윤재민
A03505 특집 : 19세기 한문학의 재조명(제7차 전국학술대회 특집) ; 추사 김정희의 유희적 시세계 137-166(30) 35 2005 이철희
A03506 옥봉 백광훈 시의 함축적 성격 169-213(45) 35 2005 김종서
A03507 조선중기 한시에서의 전형 의상(意象)의 계승과 미감의 확충(1) - 변새풍,유협풍(邊塞風,游俠風) 의상을 중심으로 215-250(36) 35 2005 임준철
A03508 약천 남구만 시의 품격 251-284(34) 35 2005 성당제
A03509 신유한의 문예인식과 문장론 285-317(33) 35 2005 이종호
A03510 임윤지당의 정치담론 - 조선후기 여성지성사 서술의 일환으로 319-352(34) 35 2005 이혜순
A03511 「호질(虎叱)」, 청나라 인식에 관한 우언 353-394(42) 35 2005 이현식
A03512 성해응의 열녀전에 대하여 - 열녀인식과 그 형상을 중심으로 - 395-430(36) 35 2005 손혜리
A03513 명미당 이건창의 의식세계의 한 국면 - 「녹언(鹿言)」을 중심으로 - 431-456(26) 35 2005 송희준
A03601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조발제 : 동아시아 근대지향의 태동과 조선지식인의 자각 - 연암(燕岩)에서 노신(魯迅)에 이르기까지 - 013-036(24) 36 2005 김병민
A03602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의 사유에 있어서 "탈근대적 비전"에 대한 탐구 - 주체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 037-060(24) 36 2005 고미숙
A03603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의 생활 특징과 문화예술사상 061-084(24) 36 2005 이지양
A03604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연암 박지원과 그의 단편들 - 조선후기 사회에서 지식인의 역할 - 085-116(32) 36 2005 에마뉴엘페트라이시
A03605 특집 : 연암,초정 서거 200주년 기념 학술대회 ; 초정(楚亭) 박제가의 인간면모와 일상 - 소실(小室)을 맞는 시문을 중심으로 - 117-150(34) 36 2005 안대회
A03606 남명(南冥) 시에 나타난 "상달(上達)"의 정신경계에 대하여 169-208(40) 36 2005 유호진
A03607 조선 전기 사문학(詞文學) 인식과 그 특성 209-248(40) 36 2005 이승매
A03608 허균(許筠) 사(詞) 분석 249-272(24) 36 2005 박현규
A03609 『서경시화(西京詩話)』연구 -지역문학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273-302(30) 36 2005 장유승
A03610 대청(對淸) 사행(使行)과 형가(荊軻)의 문학적 형상 303-332(30) 36 2005 이승수
A03611 박제가 회인시(懷人詩) 연구 333-362(30) 36 2005 정일남
A03612 19세기 차기체(箚記體) 필기의 글쓰기 양상 - 『지수념필(智水拈筆)』를 통해 본 지식의 생성과 유통 - 363-416(54) 36 2005 진재교
A03613 산문 작품을 통해 본 옥수(玉垂) 조면호(趙冕鎬)의 문학적 지향 417-449(33) 36 2005 김용태
A03701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기조 발제 :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방향 021-030(10) 37 2006 이동환
A03702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기조 발제 : 한문학 유산과 그 문화론적 인식 방향 031-046(16) 37 2006 임형택
A03703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학 연구의 방향과 "민족" 047-064(18) 37 2006 김시업
A03704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의 서사전통과 근대계몽기 신문의 서사 -서사의 근대적 모색- 065-101(37) 37 2006 진재교
A03705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국한문학 연구에 있어서 동아시아 담론의 의미 103-133(31) 37 2006 황위주
A03706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문학 연구와 일상 135-157(23) 37 2006 강명관
A03707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한국한문학의 여성문학적 성과와 전망 159-187(29) 37 2006 임유경
A03708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1 : 한문학 연구의 문화론적 방향 ; 산수(山水)와 생태와 문학 189-218(30) 37 2006 이종묵
A03709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기조발제 : 한문 해석 인식론(認識論)과 한국 문화콘텐츠의 발양 221-262(42) 37 2006 김용옥
A03710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한문학에 나타난 우리 음악과 무용 263-283(42) 37 2006 이지양
A03711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어려운 국악, 절반의 책임은 한문 285-304(30) 37 2006 최영미
A03712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연행로(燕行路)를 중심으로- 305-325(21) 37 2006 이승수
A03713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역사 다큐멘터리와 한문학의 만남 -KBS 『역사스페셜』을 중심으로- 327-335(9) 37 2006 남성우
A03714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야담 문학의 활용과 TV 드라마,영화의 창조적 상상력 -『어우야담』과 <왕의 여자>,<황진이>의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337-354(18) 37 2006 신익철
A03715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영화, TV드라마 사극과 한문학 355-366(12) 37 2006 안영동
A03716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열하일기, 그 "매끄러운 공간" 속으로 -열하일기와 애니메이션의 마주침에 대한 몇 가지 단상- 367-382(16) 37 2006 고미숙
A03717 특집 :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 ; 기획주제2 : 한국 한문학과 문화콘텐츠의 만남 ; 옛날이야기에서 애니메이션 소재 찾기 383-398(16) 37 2006 이정호
A03718 조선 중기 복고적 산문의 두 경향 -최립과 유몽인(柳夢寅)을 중심으로- 399-428(30) 37 2006 김우정
A03719 선집편찬(選集編纂)으로 본 17세기 명시(明詩) 독서 경향의 실상 429-457(29) 37 2006 최은주
A03720 『천예록(天倪錄)』 원형재구(原形再構)와 향유양상(享有樣相) 일고 459-501(43) 37 2006 김준형
A03801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반계일고(磻溪逸稿)』의 고찰 -실학과 실학파문학의 원류- 007-029(23) 38 2006 임형택
A03802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한국한문문헌 속의 참요 -특히 민중적 대항 언론과 정치적 의제(擬製)에 관하여- 031-067(37) 38 2006 심경호
A03803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이규보의 『굴원불의사론(屈原不宜死論)』에 나타난 역사의식의 문제점 069-114(46) 38 2006 윤인현
A03804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화사」의 사서 체재(體裁)와 그 의미 -치란(治亂)의 반복 구성을 중심으로- 115-139(25) 38 2006 조현우
A03805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조선시대 군신의 창화와 그 의미 -규장각 소장 갱재축과 연운축(聯韻軸)을 중심으로- 141-176(36) 38 2006 김남기
A03806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이서,역관 계층 소설 관련 양상의 현실적 근거와 그 실제 177-202(26) 38 2006 신상필
A03807 특집 : 한국 한문학 외연의 확장 ; 『시경』 구조 체계화와 모순 해결 양상 연구 -한국의 『시경』 국풍론을 중심으로- 203-231(29) 38 2006 이병찬
A03808 이규보의 논변류(論辨類) 산문 연구 233-262(30) 38 2006 서정화
A03809 조선 사림의 시가에 나타난 "졸박(拙樸)"의 문예미학 263-297(35) 38 2006 신두환
A03810 『문결』의 창작론(創作論)과 그 문론사적 의의 299-332(34) 38 2006 유동재
A03811 「야출고북구기(夜出古北口記)」의 산문미 재론 333-364(32) 38 2006 이승수
A03812 다산의 장기 유배기(流配期) 시에 함축된 내면의식의 제양상 365-395(31) 38 2006 김봉남
A03901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007-050(44) 39 2007 이종호
A03902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지역(地域) 한문학(漢文學) 연구(硏究)의 실상(實相)과 문제점(問題點) 051-083(33) 39 2007 정만호
A03903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호서지역 여성 한문학의 사적 전개 085-116(32) 39 2007 문희순
A03904 특집 : 지방화와 한문학 ; 16세기 호남(湖南) 시(詩)의 미적(美的) 특징(特徵) 117-157(41) 39 2007 김종서
A03905 율곡 시의 원전 비평 -원접사(遠接使) 때의 차운시들에 대해서- 161-186(26) 39 2007 김주수
A03906 선조,광해 연간 문풍(文風)의 변화와 그 의미 -전후칠자(前後七子) 수용 논의의 반성적 고찰을 겸하여- 187-222(36) 39 2007 김우정
A03907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비지문(碑誌文)의 전범(典範)과 서술 양상에 대한 고찰 223-259(37) 39 2007 안득용
A03908 이언진 한시(漢詩)의 실험성과 「동호거실」 261-292(32) 39 2007 김동준
A03909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한시(漢詩)에 관(關)한 한 고찰(考察) 293-322(30) 39 2007 이종문
A03910 박제가 시미론(詩味論) 연구 323-344(22) 39 2007 정일남
A03911 박종채 『과정록』의 내용 형성과 글쓰기 방식 345-386(42) 39 2007 이강옥
A03912 이조(李朝) 후기(後期) 차기체(箚記體) 필기(筆記) 연구(硏究) -지식의 생성과 유통의 관점에서- 387-425(39) 39 2007 진재교
A03913 일제강점기 재조일인(在朝日人)의 한시(漢詩) 고찰 -『이문회지(以文會誌)』를 중심으로- 427-457(31) 39 2007 박영미
A04001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성리학(性理學)과 문예미학(文藝美學)에 관한 담론(談論) 009-044(36) 40 2007 신두환
A04002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삶과 시세계의 변이과정 연구 045-086(42) 40 2007 이정화
A04003 특집 : 서애(西厓) 선생(先生) 서거(逝去) 400주년(周年) 기념(紀念) 학술대회(學術大會) ;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설(說)" 연구(硏究) -"설(說)"에 나타난 서애(西厓)의 면모 고찰- 087-121(35) 40 2007 정시영
A04004 김시습(金時習)의 불교시(佛敎詩)에 관한 소고(小考) -사유록(四遊錄) 창작기(創作期)의 시(詩)들을 중심으로- 123-151(29) 40 2007 김윤섭
A04005 『매창집』에 관련된 인물과 창작 시기에 대하여 153-176(24) 40 2007 허경진
A04006 이현환(李玄煥)의 「영주창화록서(瀛州唱和錄序)」 개작(改作)의 양상 177-208(32) 40 2007 박용만
A04007 「호질(虎叱)」에 대한 재성찰 209-242(34) 40 2007 정학성
A04008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의 『경신당협대(竟信堂夾袋)』 소고(小考) 243-280(38) 40 2007 박종훈
A04009 홍제(弘齊)의 시세계(詩世界)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281-314(34) 40 2007 조동영
A04010 박규수(朴珪壽)의 「숙수념행(孰遂念行)」에 대하여 315-337(23) 40 2007 김명호
A04011 평비본(評批本) 『고시비평(古詩批評)』 연구 339-375(37) 40 2007 정우봉
A04012 미발표 한문소설 「종생전(宗生傳)」에 대하여 -전기소설적 특성을 중심으로- 377-424(48) 40 2007 류준경
A04013 18세기 서사양식의 교섭양상에 대하여 -"강상효녀(江上孝女)"를 대상으로 한 작품중심으로- 425-464(40) 40 2007 손혜리
A04014 조선후기 언어 문자관의 토대와 전개 -18세기 연암그룹 및 다산, 항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465-499(35) 40 2007 박수밀
A04015 관도(貫道),재도(載道),도문일치(道文一致)의 상호관계 및 개념,성격 재고(再考) 501-527(27) 40 2007 이상하
A04016 『수호전(水滸傳)』 임충(林沖) 서사의 김성탄(金聖嘆) 독법(讀法) 529-559(31) 40 2007 이승수
A0410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연구의 신기획: 주제와 방법 : 한국한문학 연구의 발전적 전망 009-017(9) 41 2008 박성규
A04102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단대사적 접근 : 18세기 한문학 연구와 문화사적 시야 019-041(23) 41 2008 정민
A04103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기획주제 : 19세기 한문학의 계열과 논점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를 중심으로- 043-072(30) 41 2008 박무영
A04104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교류사적 시야 : 동아시아에서의 서적의 유통과 지식의 생성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의 인적 교류와 서적의 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073-114(42) 41 2008 진재교
A04105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교류사적 시야 : 통신사를 통한 한,일 문학 교류의 전개 양상 -『천초문고서목해제(淺草文庫書目解題)』 소재 필담창화집을 자료로 하여- 115-140(26) 41 2008 구지현
A04106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권역의 독자성과 소통의 모색 : 정자(亭子)와 원림(園林)을 통한 문학적 교유와 소통 -울산 소개 집청정(集淸亭)의 경우를 예로 하여- 141-167(27) 41 2008 성범중
A04107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문화권역의 독자성과 소통의 모색 : 조선후기 령남(嶺南)의 경학연구(經學硏究)와 소통(疏通)의 모색(摸索) 169-204(36) 41 2008 최석기
A04108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고려시대(高麗時代)까지의 한문학 연구(漢文學 硏究)의 현황(現況)과 자료정리 과제(資料整理 果題) 205-225(21) 41 2008 이종문
A04109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금석문과 한문학 연구 227-273(47) 41 2008 심경호
A04110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해외 고문헌 조사의 현황과 향후 과제 273-308(36) 41 2008 황위주
A04111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자료 외연의 확장 : 미발굴 한문희곡 「백상루기(百祥樓記)」연구 309-341(33) 41 2008 정우봉
A04112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위백규의 원체산문(原體散文) 「원사물(原事物)」고(考) 343-374(32) 41 2008 박동주
A04113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계곡(谿谷) 장유(張維) 문학(文學)에 나타난 『장자(莊子)』 우언(寓言) 수용양상(受容樣相)과 그 의미(意味) 375-407(33) 41 2008 학군봉
A04114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율곡 시에 나타난 "졸박(拙樸)"의 미의식 -『정언묘선』「원자집」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409-443(35) 41 2008 김주수
A04115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삽교, 안석경(安錫儆)의 「검녀(劒女)」 연구(硏究) -여협서사(女俠敍事) 전통(傳統)의 계승(繼承)과 변용(變容)- 445-475(31) 41 2008 강혜규
A04116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흠영(欽英)』일기에 재현된 경험적 시간의 의미 477-506(30) 41 2008 김하라
A04117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부(賦)에 대한 한 연구 -도우(道友)와 우국애정(憂國哀情)- 507-532(26) 41 2008 신태영
A04118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한자(漢子) 이음(異音) 연구(硏究) 533-564(32) 41 2008 김영봉
A04119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필기(筆記), 야담집(野談集)에의 수용(受容) 양상(樣相) -『교거쇄편』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565-593(29) 41 2008 정명기
A04120 특집 : 제8차 전국학술대회 ; 근대전환기 야담의 전대 야담 수용 태도 595-631(37) 41 2008 김준형
A04201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시대의 성담론과 성(性) 009-043(35) 42 2008 강명관
A04202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 후기 남성훼절 서사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 -정념(情念) 담론에서 이익(利益) 담론으로- 045-086(42) 42 2008 윤채근
A04203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조 후기 문예공간에서 성적 욕망의 빛과 그늘 -예교, 금기와 위반의 길항(拮抗)과 그 변증법(辨證法)- 087-126(40) 42 2008 진재교
A04204 기획주제: 한국한문학과 성담론 : 조선후기 성 담론과 한문소설에 재현된 섹슈얼리티 127-153(27) 42 2008 김경미
A04205 권필(權韠)과 허균(許筠)의 교유(交遊)와 그 당대적(當代的) 의미(意味) 155-186(32) 42 2008 김창호
A04206 지천 최명길의 문학과 사상에 관하여 187-222(36) 42 2008 심경호
A04207 17세기 초 문관출신 명사(明使) 접반(接伴)과 한중(韓中) 문학교류 223-254(32) 42 2008 노경희
A04208 송시열(宋時烈)과 박세채(朴世采)의 퇴계설(退溪說) 비판(批判) -『퇴계사서질의의의(退溪四書質疑疑義)』 “논어(論語)” 분석을 중심으로- 255-282(28) 42 2008 전재동
A04209 영조조(英祖朝) 집권(執權) 노론계(老論系) 문인(文人)의 자기검열(自己檢閱) 양상(樣相)에 대하여 -황경원,남유용,이천보(黃景源,南有容,李天輔)를 중심으로- 283-311(29) 42 2008 백진우
A04210 박지원 산문의 문체적 특성 일고(一考) -어휘와 주제의 관련 양상을 통해- 313-332(20) 42 2008 정순희
A04211 유한준(兪漢雋),박윤원(朴胤源)의 도문분리 논쟁과 유한준(兪漢雋)의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 333-363(31) 42 2008 박경남
A04212 우촌(雨村) 남상교(南尙敎) 시(詩) 연구(硏究) 365-400(36) 42 2008 이현일
A04213 한시에 표상된 근대의 풍경 -정만조의 일본 기행 한시를 중심으로- 401-428(28) 42 2008 박영미
A04214 한문학의 전통과 박목월의 『윤사월』 429-458(30) 42 2008 구본현
A04215 “해태”고 459-492(34) 42 2008 김언종
A04301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009-020(12) 43 2009 박성규
A04302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한국문학의 바다, 그 재발견의 의미 021-048(28) 43 2009 최영호
A04303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수로조천록(水路朝天錄)과 통신사행록의 바다 체험 비교 049-079(31) 43 2009 허경진
A04304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표류선, 청하지 않은 손님 -외국 선박의 조선 표류 관련기록 탐토(探討)- 081-108(28) 43 2009 정민
A04305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신경준(申景濬)의 국토지리관과 해로(海路),선박(船舶)에 대한 인식 109-135(27) 43 2009 신익철
A04306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한국(韓國) 한시(漢詩)에 나타난 "바다" 소재와 주제 137-182(46) 43 2009 윤인현
A04307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과 바다 ; 조일(朝日) 문사(文士)의 눈에 비친 남해(南海) 그리고 현해탄(玄海灘) -주로 사행(使行) 관련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183-223(41) 43 2009 임채명
A04308 다산(茶山)의 소순(蘇洵),소철(蘇轍) 논(論) 225-252(28) 43 2009 김상홍
A04309 일본(日本) 고학파(古學派)의 『맹자(孟子)』해석(解釋)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맹자요의(孟子要義)』-인의예지(仁義禮智)에 대한 해석(解釋)을 중심으로- 253-292(40) 43 2009 함영대
A04310 류몽인(柳夢寅) 산문(散文)에 나타난 비극성(悲劇性) 293-323(31) 43 2009 안득용
A04311 청(淸) 김상헌(金尙憲) 《조천록(朝天錄)》고찰(考察) -한시작품을 중심으로- 325-364(40) 43 2009 황만기
A04312 초정(楚亭) 박제가(朴濟家)의 비지문(碑誌文) 연구 365-392(28) 43 2009 이홍식
A04313 19세기 시학상의 유륙입두(由陸入杜)와 유소입두론(由蘇入杜論) 393-427(35) 43 2009 남영진
A04401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과 중국(中國) 009-021(13) 44 2009 박성규
A04402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시(詩)의 초사(楚辭) 수용 일고(一考) 023-050(28) 44 2009 정일남
A04403 손곡(蓀谷) 이달(李達)의 악부시(樂府詩) 수용(受容)과 미적(美的) 성취(成就) 051-084(34) 44 2009 김종서
A04404 조선조(朝鮮朝)의 서곤체(西崑體) 수용과 창작 양상 085-113(29) 44 2009 박병익
A04405 조선중기 문장가의 한유문 토석과 그 의미 115-144(30) 44 2009 정재철
A04406 한국 시가론(詩歌論)에서의 『시경(詩經)』시(詩) 이론의 영향 145-183(39) 44 2009 윤인현
A04407 다산(茶山) 논어설(論語說)의 경개(梗槪)와 그 정수(精髓)에 대하여 -다산(茶山)의 "여소부자(予所否者), 천염지(天厭之)" 해(解) 185-205(21) 44 2009 김언종
A04408 하평촉사(賀平蜀使) 시기(1372~73) 정몽주(鄭夢周)의 행적(行蹟)과 작품고(作品考) 207-233(27) 44 2009 박현규
A04409 허균(許筠)의 염정시(艶情詩)에 대하여 235-270(36) 44 2009 유호진
A04410 홍원(洪原) 기녀(妓女) 조생(趙生) 관련 『조생첩(趙生帖)』일고(一考) 271-297(27) 44 2009 박종훈
A04411 「여의침명(如意枕銘)」에 나타난 욕망에 관한 재인식 299-322(24) 44 2009 최원경
A04412 18세기 서화제발(書畵題跋) 연구(2) -숙종,경종시대: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와 동계(東谿) 조구명(趙龜命)을 중심으로 323-377(55) 44 2009 정은진
A04413 『옥수기(玉樹記)』의 작품세계와 심능숙(沈能淑)의 세계관  : 선가(仙家) 지향(志向)을 중심으로 379-403(25) 44 2009 장효현
A04414 조선말(朝鮮末) 영남(領南) 지식인(知識人)의 문(文)에 대한 인식(認識)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과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학론쟁(文學論爭)을 중심으로 405-439(35) 44 2009 신승훈
A04415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봄 441-489(49) 44 2009 이성혜
A04501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정조(正祖)의 『사부수권(四部手圈)』소고(小考) 011-039(29) 45 2010 조동영
A04502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정약용(丁若鏞), 『상서고훈(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041-077(37) 45 2010 이상욱
A04503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17세기 초 문학작품의 역학(易學) 차용 양상 -신흠(申欽) 주변인물을 중심으로- 079-111(33) 45 2010 김은정
A04504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논어(論語)』경학에서의 "학(學)" 개념과 그 인식 층위 -조선 주자학자의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장(章) 주석을 중심으로- 113-155(43) 45 2010 류준필
A04505 기획주제 : 경전해석과 한국한문학 ; 『맹자혹문정의통고(孟子或問精義通攷)』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학술정신(學術精神) 157-185(25) 45 2010 함영대
A04506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189-202(14) 45 2010 정학성
A04507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항해 홍길주의 공간 설계와 장자 203-230(28) 45 2010 이홍식
A04508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한국한문학 속의 경계, 좌절, 반성의 공간 -심양(瀋陽) 231-269(39) 45 2010 남은경
A04509 기획주제 : 한국한문학 속의 공간과 상상 ; 한국한문학 자료에 나타난 베트남 인식의 몇 가지 갈래 271-301(31) 45 2010 김용태
A04510 가정(稼亭) 이곡(李穀)의 재원기(在元期) 시(詩)에 나타난 교유양상(交遊樣相)과 정신적(精神的) 갈등(葛藤) 303-329(27) 45 2010 어강석
A04511 ​18세기 기궤첨신(奇詭尖新) 한시(漢詩)의 한 양상 -서명인(徐命寅)의 『취사당연화록(取斯堂煙華錄)』을 중심으로 331-365(35) 45 2010 안대회
A04512 ​금령(錦령) 박영보(朴永輔)와 소동파(蘇東坡) 367-401(35) 45 2010 남영진
A04513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에 나타난 시화(詩畵) 교섭의 새 양상 403-435(33) 45 2010 김형술
A04514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437-471(35) 45 2010 안세현
A04601 ​북송사행(北宋使行)을 통해서 본 박인량(樸寅亮)의 문학사적 위상 005-057(53) 46 2010 정선모
A04602 ​정추(鄭樞) 시에 나타난 자유지향의 정신과 관조(觀照)의 미(美) 059-091(33) 46 2010 하정승
A04603 ​퇴계(退溪)의 「도산잡영(陶山雜詠)」의 이학적(理學的) 함의(含意)와 그 전승 093-128(36) 46 2010 권오영
A04604 ​월경(越境)과 서사(敍事) - 동아시아의 서사 체험과 "이웃"의 기억(記憶) -「최척전(崔陟傳)」독법의 한 사례- 129-162(34) 46 2010 진재교
A04605 ​김창협(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왕세정(王世貞) 산문(散文)의 진면목 -상판(商販) 비지문(碑誌文)을 중심으로 163-213(51) 46 2010 박경남
A04606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이소해(離騷解)」 연구(硏究) 215-249(35) 46 2010 신두환
A04607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251-285(35) 46 2010 박동욱
A04608 ​1748년 제10차 무진통신사(戊辰通信使) 의원필담(醫員筆談)의 성격 변천 연구 -『대려필어(對麗筆語)』와 『조선필담(朝鮮筆談)』을 중심으로- 287-320(34) 46 2010 김형태
A04609 ​옥국재 영미편(穎尾編)의 자료적 특징과 가치 312-342(31) 46 2010 신현웅
A04610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만년 사상(思想)에 대한 재론(再論) -맹인 설화와 「답임형오논원도서(答任亨五論原道書)」를 중심으로- 353-386(34) 46 2010 신향림
A04611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굴소(屈騷)" 수용 양상 387-415(29) 46 2010 정일남
A04612 ​일기문학의 관점에서 본 감담일기의 특징과 의의 417-447(31) 46 2010 정우봉
A04613 ​「통해백팔사(統海百八詞)」의 지방 형상화 연구 -19세기 새로운 지방의 발견- 449-475(27) 46 2010 이은주
A04614 ​임제(林悌)의 겸재유고(謙齋遺槁) 연구 477-521(45) 46 2010 이현일
A04701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한국한문학-15세기 말 문사들의 교류인식을 중심으로- 009-031(23) 47 2011 이혜순
A04702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7세기 전반기 명문단의 조선시선집 간행과 조선한시에 대한 인식 033-063(31) 47 2011 노경희
A04703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8세기 이후 연행록(燕行錄) 환술기록(幻術記錄)의 형성배경과 특성 -홍대용(洪大容),박지원(朴趾源),금경선(金景善)의 환술기록(幻術記錄) 을 중심으로- 065-104(40) 47 2011 임준철
A04704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8,19세기 동아시아와 지식(知識), 정보(情報)의 메신저, 역관(譯官) 105-137(33) 47 2011 진재교
A04705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조선후기 대청(對淸) 의식과 문화 수용 논리 139-172(34) 47 2011 박수밀
A04706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원중거의 일본체험, 그 의의와 한계-『화국지』를 중심으로 173-199(27) 47 2011 박재금
A04707 특집 :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 -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201-235(35) 47 2011 정재철
A04708 선사(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선시(禪詩)에서의 구현 237-273(37) 47 2011 조상현
A04709 『고려도경』과 고려의 문화적 형상 275-301(27) 47 2011 김보경
A04710 『국순전』 『국선생전의』 우언적 독해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303-338(36) 47 2011 윤주필
A04711 추강 남효온과 유산(遊山): 한 젊은 이상주의자의 상처와 지리산의 위무(慰撫) 339-375(37) 47 2011 정출헌
A04712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시의 표현미와 선비정신의 형상화 377-413(37) 47 2011 김종서
A04713 속몽구분주(續蒙求分註)의 압운 체제: 속찬(續撰)과 창신(創新) 415-464(50) 47 2011 심경호
A04714 이옥봉(李玉峯)의 작품으로 알려진 한시(漢詩)의 작자(作者)에 대(對)한 재검토(再檢討) 465-493(29) 47 2011 이종문
A04715 『소창청기(小창淸紀)』 이본(異本)과 17세기 초반 조선(朝鮮)에서의 수용 양상 495-525(31) 47 2011 김은정
A04716 17세기 통신사(通信使) 필담(筆談)에 나타난 한일간 서적 교류의 모습 527-551(25) 47 2011 구지현
A04717 연행로 중 "요양(遼陽)-안산(鞍山)-광녕(廣寧)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검토 553-592(40) 47 2011 이승수
A04718 북경 유리창의 공연예술 -18~19세기 연행록을 중심으로- 593-622(30) 47 2011 이홍식
A04719 신유한(申維翰)의 『낭화여아곡』 (浪華女兒曲) 과 일본의 성(性) 풍속 623-651(29) 47 2011 이효원
A04720 『日下題襟集』 편찬과 판본 653-677(25) 47 2011 박현규
A04721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비지문(碑誌文)에 대한 일고 679-710(32) 47 2011 김새미오
A04722 난서비평(蘭西批評)에 드러난 한,중 문인 교유와 문학 비평의 양상 711-738(28) 47 2011 김지영
A04801 당, 송고문(唐, 宋古文)의 초기수용양상고(初期受容樣相考)  : 대북송외교(對北宋外交)를 중심으로 011-050(40) 48 2011 정선모
A04802 목은칠언절구(牧隱七言絶句)의 장법(章法)과 시적 효과(詩的 效果) 051-081(31) 48 2011 어강석
A04803 조선시대 표전(表箋)연구 1  : 보국(保國)과 화국(華國)의 역할을 중심으로 081-113(33) 48 2011 이은영
A04804 포저조익(浦渚趙翼)의 『중용사람(中庸私覽)』의 경학적(經學的)고찰  : 쌍봉요로설수용(雙峯饒魯說受容)과 관련하여 113-143(31) 48 2011 강지은
A04805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143-181(39) 48 2011 송혁기
A04806 17세기 전반 대명해로사행(對明海路使行)의 운항과 풍속 분석 181-221(41) 48 2011 박현규
A04807 尤侗의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대하여 221-255(35) 48 2011 정생화
A04808 김창흡(金昌翕)매화시의 특징:「松栢堂詠梅」를 중심으로 255-294(40) 48 2011 여희정
A04809 표해록(漂海錄)의 전통에서 본 『海外聞見錄』의 위상과 가치 295-332(38) 48 2011 김용태
A04810 『열하일기(熱河日記)』와 『천주실의(天主實義)』 333-359(27) 48 2011 김명호
A04811 연행록(燕行錄)의 "코끼리" 기사(記事)와 박지원(朴趾源)의 「상기(象記)」 359-390(32) 48 2011 이강엽
A04812 유만주(兪晩柱)의 『수호전(水滸傳)』 독법(讀法) 391-435(45) 48 2011 김하라
A04813 『동상기(東廂記)』에 나타나는 문체 실험의 양상 고찰 435-468(34) 48 2011 윤지양
A04814 이옥(李鈺)산문에서의 "성적쾌(性的快)"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夜七」과 「七切」을 중심으로 469-500(32) 48 2011 김홍백
A04815 19세기 중인층지식인(中人層知識人)의 해외체험일고(海外體驗一考)  : 벽로재금진수(碧蘆齋金進洙)의 연행(燕行)과 「燕京雜詠」을 중심으로 501-537(37) 48 2011 김영죽
A04816 「신증구운루(新增九雲樓)」의 발견과 그 존재 의미 537-581(45) 48 2011 양승민
A04901 동아시아 산수기행문학의 문화사적 의미 007-039(33) 49 2012 심경호
A04902 중국 전통 유기(遊記)의 핵심 시기 문제 -만명(晩明)시기 유람문화와 유기를 중심으로 041-068(28) 49 2012 권석환
A04903 조선후기 산수기행문예에 나타나는 "기(奇)" 추구 069-099(31) 49 2012 고연희
A04904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102-137(36) 49 2012 정우봉
A04905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 문학(文學)에 있어서의 계양(桂陽) 137-173(37) 49 2012 윤인현
A04906 김시습(金時習)의 「장양찬(張良贊)」의 이면 -선초(鮮初) 신유학(新儒學) 이념 체화 과정의 일양상- 175-203(29) 49 2012 이승현
A04907 초기 소화(笑話)의 역사성과 그 성격 205-240(36) 49 2012 정환국
A04908 한국 한문학에서 본 중국(中國) 강남(江南)의 문학지리학(文學地理學) 241-274(34) 49 2012 윤주필
A04909 난해성(難解性)을 통해 본 16,17세기 문학과 환경 275-310(36) 49 2012 안득용
A04910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과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거리 -문학론에서 진(眞) 개념의 운용추이를 중심으로- 311-348(38) 49 2012 신향림
A04911 白塔詩社 一攷 349-396(48) 49 2012 남재철
A04912 19세기 동아시아의 모소(慕蘇) 열풍 397-430(34) 49 2012 정민
A05001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의 독서론(讀書論)과 저술법(著述法) 009-036(28) 50 2012 김영
A05002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의 경학(經學)그 대략(大略)과 의의(意義) 037-070(34) 50 2012 김언종
A05003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과 문학(文學)― 인간다산(人間茶山)과 다산(茶山)의 인간학(人間學)을 中心으로― 071-099(29) 50 2012 진재교
A05004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 일문(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101-127(27) 50 2012 정민
A05005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신자료『선암총서(船菴叢書)』의 발굴과『목민심서(牧民心書)』저술과정의 검토 129-158(30) 50 2012 박철상
A05006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다산(茶山)저술의 전승과 유통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다산가장(茶山家藏)의 고본(稿本)에서『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이르기까지 169-205(37) 50 2012 노경희
A05007 다산 타신 250주년 기념 특집 : 경세가 정약용에서 시인 정학연으로- 다산가 시학의 변화와 19세기 문인사회- 207-242(36) 50 2012 이철희
A05008 『협주명현십초시(夾注名賢十抄詩)』협주(夾注)연구- 신라(新羅)한시를 중심으로 243-272(30) 50 2012 김은정
A05009 이정구(李廷龜)와 원굉도(袁宏道)의『유기비교연구(遊記比較硏究)』 274-304(31) 50 2012 이명희
A05010 수호전(水滸傳)서사의 전환 하나, 황니강(黃泥岡)사건과 삼완(三阮)의 등장- 김성탄(金聖嘆)의 비평을 중심으로 305-336(32) 50 2012 이승수
A05011 이덕무(李德懋)의 산수유기(山水遊記)에 관한 연구  : 만명(晩明) 왕사임(王思任) 과의 비교를 겸하여 337-373(37) 50 2012 정우봉
A05012 『백상루기(百祥樓記)』평비(評批)의 특징 고찰 375-407(33) 50 2012 윤지양
A05013 박옹(泊翁) 이명오(李明五)시 연구- <향자팔십수(香字八十首)>와 그 주변- 409-448(40) 50 2012 이현일
A05014 개항(開港)이후 동아시아 한문(漢文)네트워크에 대하여 449-478(30) 50 2012 김용태
A05101 고려전기 묘지명 연구 -지제고(知制誥) 찬 묘지명을 중심으로- 011-057(47) 51 2013 김보경
A05102 고려시대 외교현안과 문학적 대응 059-089(31) 51 2013 서정화
A05103 고려후기 지식인담론의 새로운 모색을 위하여 -신흥사대부론을 다시 읽다 091-130(40) 51 2013 김승룡
A05104 조선 전기 문선집 『송파방(宋播芳)』, 『원파방(元播芳)』 소고(小考) -자료 소개를 중심으로- 131-158(28) 51 2013 류화정
A05105 율곡(栗谷)과 유지(柳枝), 「유지사(柳枝詞)」의 전승 과정에 관한 고찰 159-195(37) 51 2013 이종문
A05106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자전적(自傳的) 서사(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197-238(42) 51 2013 안득용
A05107 한국 한문학에 있어서 수서(壽序)의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239-265(27) 51 2013 김우정
A05108 허균(許筠) 문학론(文學論)의 모순과 일관(一貫) -왕세정(王世貞) 혹은 의고문파(擬古文派) 문학론과의 연관- 267-300(34) 51 2013 정길수
A05109 단호(丹壺) 그룹 문인들의 애사(哀辭)에 대한 고찰 301-328(28) 51 2013 백승호
A05110 연암의 장편시 「만조숙인(輓趙淑人)」에 대하여 329-361(33) 51 2013 정재철
A05111 「예규지(倪圭志)」의 가정 경제학 363-415(53) 51 2013 김대중
A05112 적생조래(荻生徂徠)의 「증조선사서(贈朝鮮使序)」 연구 417-443(27) 51 2013 이효원
A05113 18세기 연행사와 서양 선교사의 만남 445-486(42) 51 2013 신익철
A05114 연행록 환술기사(幻術記事)를 구성하는 세 가지 층위와 환사(幻史) 487-533(47) 51 2013 임준철
A05115 한중교유와 19세기 거주지 재현 예술 535-574(40) 51 2013 김기완
A05116 남희채(南羲采)의 「중향국춘추(衆香國春秋)」 소고 575-608(34) 51 2013 하지영
A05201 龍洲(용주) 趙絅(조경) 문학에 나타난 질병의 형상화 005-046(42) 52 2013 김하라
A05202 16,17세기 庶孼(서얼) 許通(허통) 上疏文(상소문) 연구 047-090(44) 52 2013 박경남
A05203 黃梓(황재)의 甲寅(갑인),庚午(경오) 연행록에 관한 고찰 -雍正(옹정),乾隆(건륭) 연간의 정세 인식을 중심으로- 091-124(34) 52 2013 신로사
A05204 王世貞(왕세정) 코드로 읽는 生誌銘(생지명)과 意園(의원) -18세기 安山圈(안산권) 文人(문인)들의 불우와 위안의 예술적 형상화- 125-164(40) 52 2013 김동준
A05205 18세기 老論系(노론계) 知識人(지식인)의 友情論(우정론) 165-200(36) 52 2013 김수진
A05206 「髮僧菴記(발승암기)」의 改作(개작) 樣相(양상)과 主題(주제)에 대한 비평적 분석 201-231(31) 52 2013 김종민
A05207 李鈺(이옥)의 인간학 -傳(전)을 대상으로- 233-260(28) 52 2013 정환국
A05208 沈魯崇(심노숭)의 『南遷日錄(남천일록)』에 나타난 내면고백과 소통의 글쓰기 261-305(45) 52 2013 정우봉
A05209 東樊(동번) 李晩用(이만용) 詩(시) 硏究(연구)(1) -『東樊集(동번집)』所載(소재) 七言律詩(칠언율시)를 중심으로- 307-341(35) 52 2013 이현일
A05210 19세기 檢書官(검서관) 對山(대산) 姜(강)진의 詩(시)자료에 관하여 -자료검토와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343-378(36) 52 2013 김영죽
A05211 경진자본 『梅月堂集(매월당집)』간행 과정과 校訂本(교정본) 357-395(36) 52 2013 양승민
A05212 朝鮮時代(조선시대) 『詩經(시경)』 인식에서의 詩可以怨(시가이원)과 溫柔敦厚(온유돈후) 379-429(51) 52 2013 김수경
A05213 北宋使行(북송사행)과 고려문인의 시문집 간행 -「高麗李相公樂道集序(고려리상공악도집서)」의 분석의 중심으로- 431-455(25) 52 2013 정선모
A05214 현종실록자본 『世說新語補(세설신어보)』 간행과 流傳(유전)의 문화사적 의미 497-532(36) 52 2013 노경희
A05301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통신사사행(通信使使行)에서의 부사산(富士山)시와 일광산(日光山)시의 전개양상(展開樣相) 007-033(27) 53 2014 구지현
A05302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연행로(燕行路)에서 만나는 "남한산성(南漢山城)" 035-068(34) 53 2014 김일환
A05303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택리지(擇里志)』와 조선 후기 지방 이해의 혁신 -부랑(浮浪)하는 존재의 이주(移住)와 정주(定住)- 069-102(34) 53 2014 안대회
A05304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황윤석(黃胤錫)의 서적필사(書籍筆寫)및 구입(購入)으로 본 경향(京鄕)간의 지식동향(知識動向) -1768년~1771년까지의 한양 생활을 중심으로- 103-139(37) 53 2014 이지양
A05305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17세기 이수(二水)일대 가문의 교섭과 문화교류 141-172(32) 53 2014 김은정
A05306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낙동강과 그 연안지역의 공간 감성과 문학적 소통 173-213(41) 53 2014 정우락
A05307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문화공간으로서의 부벽루(浮碧樓) -중앙문인과 지역문인의 교류를 중심으로- 215-247(33) 53 2014 장유승
A05308 기획논문: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 : 구한말 제주 문인 부해 안병택의 삶과 교섭 249-274(26) 53 2014 김새미오
A05309 일반논문 : 14세기 한시(漢詩)의 전변양상(轉變樣相)과 정신사적의미(精神史的意味) -시단(詩壇)의 동향(動向)과 식물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275-317(43) 53 2014 류호진
A05310 일반논문 : 도산구곡정립(陶山九曲定立)과 도산구곡시(陶山九曲詩)창작배경 319-351(33) 53 2014 최석기
A05311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의 추이(推移)와 조선관왕묘(朝鮮關王廟) -선조(宣祖)~숙종연간(肅宗年間)을 중심으로- 353-390(38) 53 2014 이성형
A05312 일반논문 :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의 구조와 글쓰기 방식 391-421(31) 53 2014 박수밀
A05313 일반논문 : 18~19세기 조선 맹자학의 주석서와 그 작자 423-453(31) 53 2014 함영대
A05401 약봉(藥峯) 김극일(金克一)의 『임하이십육영(臨河二十六詠)』 연구(硏究) 005-044(30) 54 2014 신두환
A05402 별본(別本) 『동문선(東文選)』의 편찬 과정과 선문(選文) 방향 재고(再考)  : 조선중기 산문을 중심으로 045-084(40) 54 2014 안세현
A05403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옥새론(玉璽論)」의 주제의식과 그 의미 085-112(28) 54 2014 김영은
A05404 18세기 문학에서의 색채 표현과 강세황의 회화 113-138(26) 54 2014 고연희
A05405 조선조 후기 문예(文藝) 공간에서의 왕세정(王世貞) 139-171(33) 54 2014 진재교
A05406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동래박의(東萊博議)』 수용의 의의 173-214(42) 54 2014 백진우
A05407 병서(兵書)를 읽는 두 가지 방법  : 조선 중후기 병서 비평자료를 중심으로 215-275(61) 54 2014 김홍백
A05501 퇴계(退溪)의 『시경(詩經)』 석의(釋義) 고찰에 대한 번역학적 탐색 005-028(24) 55 2014 김수경
A05502 연암(燕巖)일파 문학론에서 색(色), 자연(自然), 제(際) 029-062(34) 55 2014 신향림
A05503 노긍산문서술기법(盧兢散文敍述技法)에서의 기(奇) 063-093(31) 55 2014 김경
A05504 신광현이 편찬한 『委港鎖聞』의 내용과 특징 095-123(29) 55 2014 한영규
A05505 방산 윤정기의 시세계에서 "홍엽전성(紅葉傳聲)" 의미 125-152(28) 55 2014 이철희
A05506 담배 문화사의 시각으로 본 담배 가전(假傳)의 세계 153-184(32) 55 2014 안대회
A05601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조선중기 도학가의 두보 시 수용 양상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015-041(27) 56 2014 정재철
A05602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두보(杜甫)의 이상 한파와 이상 고온에 대한 인식 -동방인문(東方人文)을 세우는 사고경로를 논하는 것을 겸하여 043-084(42) 56 2014 료미옥
A05603 기획논문 동아시아 속의 두보시학(杜甫詩學) : 唐抄本 杜甫의 문집이 일본에 流傳된 정황에 대한 略論 087-106(20) 56 2014 하세베츠요시
A05604 고려,조선 유자(儒者)의 만시(輓詩) 연구 107-144(38) 56 2014 윤인현
A05605 왕세정(王世貞)의 상인전기(商人傳記) 창작과 복고(復古)의 현실적 의미 145-192(48) 56 2014 박경남
A05606 16~17세기 근기(近畿) 지역 서인계 문인의 교류와 고문사(古文辭) 193-223(31) 56 2014 김우정
A05607 김세렴(金世濂)의 『해차록(海蹉錄)』에 관한 연구 -「문견잡록(聞見雜錄)」을 중심으로- 225-266(42) 56 2014 신로사
A05608 息山 李萬敷 細民傳 硏究 267-316(50) 56 2014 신승훈
A05609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의 구곡시(九曲詩) 연구(硏究) 317-357(41) 56 2014 장호중
A05610 18세기 조선통신사와 지식,정보의 교류 359-392(34) 56 2014 진재교
A05611 「도강록(渡江錄)」에 나타난 경계의 인식론 393-422(30) 56 2014 박수밀
A05612 조선후기 자서전의 특징적 국면(局面)과 그 의미 423-458(36) 56 2014 안득용
A05613 중국 망명 시기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의 출판 활동과 그 意義 -「문묵췌편(文墨萃編)」을 중심으로- 459-497(39) 56 2014 김민학
A05614 한(韓),중(中)사동법의 대조 499-548(50) 56 2014 최규발, 김은주
A05701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발전사관을 넘어 국문학 연구를 생각한다 009-032(24) 57 2015 강명관
A05702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한국 고소설 연구와 "내발론", 그 갱신과 탈주 033-064(32) 57 2015 김현양
A05703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 065-101(37) 57 2015 최원오
A05704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한국고전시가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 성과와 기대지평 103-130(28) 57 2015 육민수
A05705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고전문학의 지속가능성과 고전문학 교육 131-162(32) 57 2015 고정희
A05706 기획논문1: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 : 경계의 확장과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 163-193(31) 57 2015 김동준
A05707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왕세정(王世貞)과 조선 중,후기 한문 산문 197-232(36) 57 2015 하지영
A05708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조선후기 지식인의 진계유(陳繼儒) 수용과 그 의미 233-263(31) 57 2015 정우봉
A05709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유만주(兪晩柱)의 「전목재연보(錢牧齋年譜)」연구 265-308(44) 57 2015 김하라
A05710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조선 후기 전겸익(錢謙益)의 수용 과정과 인식 양상 309-342(34) 57 2015 류화정
A05711 기획논문2: 조선 중,후기 한문학(漢文學)과 명(明),청대(淸代)문학의 대가들 : 도함(道咸)연간의 대가 기준조(祁寯藻)와 조선 문인 이상적(李尙迪)의 교류 343-375(33) 57 2015 이춘희
A05712 새 자료를 통해본 다산의 문답형 제자 강학 377-405(29) 57 2015 정민
A05713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간행 경위 일고찰 -전서초본(全書草本)의 행방과 여유당전서발행소의 활동을 중심으로- 407-442(36) 57 2015 김보름
A05714 조선후기(朝鮮後期) 영사악부(詠史樂府)의 협운 활용 양상에 대하여 443-475(33) 57 2015 노요한
A05715 제주유배시사 귤회(橘會)연구 477-499(23) 57 2015 김새미오
A05716 절명시(絶命詩) 연구 501-531(31) 57 2015 박동욱
A05717 연행사와 청대 북경의 조선사관(朝鮮使館) 533-567(35) 57 2015 이홍식
A05718 『향대기람(香臺紀覽)』을 통해 본 일제시대 대만(臺灣)의 교통과 숙식 시설 569-609(41) 57 2015 진경지
A05801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文學)과 학문(學問) 013-030(18) 58 2015 윤재민
A05802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구학(求學)의 여정과 강학(講學)의 관점 031-067(37) 58 2015 함영대
A05803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순암 안정복의 류서(類書) 『만물유취(萬物類聚)』의 체재와 특징 069-092(24) 58 2015 박지현
A05804 기획논문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의 문학과 학문 ; 세상을 향해 소리 내고픈 벙어리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한시 연구- 093-121(29) 58 2015 백승호
A05805 노긍(盧兢) 시(詩)의 파격적(破格的) 형식(形式)과 진정(眞情)의 유로(流露) 125-165(41) 58 2015 유호진
A05806 이봉환(李鳳煥) 삼대(三代)의 칠언율시(七言律詩) 연구 167-209(43) 58 2015 이현일
A05807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송경록(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211-244(34) 58 2015 정출헌
A05808 『후탄선생정정주해서상기(後歎先生訂正註解西廂記)』의 특징과 『서상기(西廂記)』 수용사(受容史)에서 갖는 의의 245-279(35) 58 2015 윤지양
A05809 이덕무의 청대고증학 수용 281-316(36) 58 2015 권정원
A05810 북미 대학에서 한국 고전문학 강의와 교재 고찰 317-345(29) 58 2015 김유미
A05901 임하(林下) 이경유(李敬儒)의 『창해시안(滄海詩眼)』연구 -비평을 중심으로- 007-037(31) 59 2015 최상근
A05902 서파(西陂) 유희(柳僖) 부(賦)에 드러나는 내면세계 고찰 039-088(50) 59 2015 오보라
A05903 조선후기 자찬연보(自撰年譜) 연구 089-122(34) 59 2015 정우봉
A05904 조선 중후기 청언소품(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123-154(32) 59 2015 안대회
A05905 김조(金照)의 연행록(燕行錄) 『관해록(觀海錄)』연구 155-179(25) 59 2015 김영진
A05906 설태희(薛泰熙)의 『대학(大學)』해석 연구 181-218(38) 59 2015 최석기
A05907 일제 강점기 한문고등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소고 219-251(33) 59 2015 박영미
A06001 기획논문 : 조선 전기 화도시(和陶詩)의 전변(轉變) 007-049(43) 60 2015 임준철
A06002 기획논문 : 퇴계(退溪)의 시가에 나타난 "초사(楚辭)" 수용(受容)의 미의식 051-087(37) 60 2015 신두환
A06003 기획논문 : 한유 문 전범의 형성과 인식 089-130(42) 60 2015 정재철
A06004 기획논문 : 『우초신지(虞初新志)』와 조선후기 서사(敍事)의 상관성(相關性) 131-174(44) 60 2015 안득용
A06005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시작양상(詩作樣相) 연구(硏究) -시식(詩式)을 중심으로- 175-206(32) 60 2015 황만기
A06006 『기옹집(幾翁集)』의 한시 비평 연구 207-235(29) 60 2015 이은주
A06007 명산(茗山) 성우증(成祐曾)의 생애와 연행에 대한 인식 -가학(家學)의 전통과 계승을 중심으로- 237-272(36) 60 2015 손혜리
A06008 조선조(朝鮮朝) 후기(後期) 문헌기록(文獻記錄)을 통해 본 안용복(安龍福)의 기억과 변주 -무명소졸(無名小卒)에서 국가적(國家的) 영웅(英雄)의 탄생과정까지- 273-301(29) 60 2015 진재교
A06009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 소장 『경람(敬覽)』에 대하여 303-338(36) 60 2015 안세현
A06010 규장각(奎章閣) 소장(所藏) 중국본(中國本)에 압인된 정조(正祖) 장서인(藏書印) 고찰 339-374(36) 60 2015 백승호, 김영진, 박철상
A06101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김삼의당(金三宜堂) 한시의 텍스트비평 007-042(36) 61 2016 박영민
A06102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김삼의당(金三宜堂)의 산문 세계 043-078(36) 61 2016 정우봉
A06103 기획논문 : 여성 문집의 텍스트 문제와 해석 ; 『의유당유고』의 형성배경과 문학사적 가치 079-118(40) 61 2016 류준경
A06104 李奎象의 『태성장구곡가(台星庄九曲歌)』에 대한 고찰 119-155(37) 61 2016 이상주
A06105 석재(碩齋) 윤행임(尹行恁)의 "의리(義理)" 중심 역학관(易學觀)과 "사서(四書)" 활용 양상 -「경사강의(經史講義)_『역(易)』[계묘(癸卯)(1783)」,「신호수필(薪湖隨筆)_『역(易)』,「계사전(繫辭傳)」」을 중심으로- ] 157-192(36) 61 2016 남윤덕
A06106 고문을 회복하는 두 가지 방식 -신유한(申維翰)과 오규 소라이(荻生徂徠)를 중심으로- 193-224(32) 61 2016 하지영
A06107 조선과 청나라 문인의 교류와 특징 225-255(31) 61 2016 김동석
A06108 전란의 상처 "잡혀간 여자"(被擄女)의 기억 -연행길의 진자점 계문란 사적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추모 의식- 257-298(42) 61 2016 윤주필
A06109 초상화 속 주인공의 삶과 그의 주변 -徐直修의 문집을 중심으로- 299-343(45) 61 2016 오세현
A06101 조선시대(朝鮮時代) 부비흥(賦比興) 논의(論議)의 인식층위(認識層位)에 대한 고찰 007-043(37) 62 2016 김수경
A06202 『상서(尙書)』 형정(刑政)의 이념과 현실 적용 045-086(42) 62 2016 유영옥
A06203 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정약용, 심대윤, 이진상을 중심으로- 087-115(29) 62 2016 전성건
A06204 경학 연구와 고전집석학(古典集釋學)의 가능성 -『예기(禮記),악기(樂記)』를 예(例)로 하여- 117-141(25) 62 2016 김승룡
A06205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의 한시(漢詩)에 투영된 그의 실학자적(實學者的) 면모(面貌) 143-172(30) 62 2016 이의강
A06206 『논어회전(論語會箋)』에 인용된 강호(江戶)시대 경학가(經學家) 고찰(考察) 173-202(30) 62 2016 이규필
A06207 동아시아적 지평에서 바라본 고전교육으로서의 유가경전 203-228(26) 62 2016 한예원
A06208 조선 중기 배율 창작에 대하여 229-264(36) 62 2016 이남면
A06209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265-298(34) 62 2016 진재교
A06210 반구서원(盤龜書院) 건립(建立)과 반구대(盤龜臺) 상징화(象徵化)에 대한 소고(小考) 299-338(40) 62 2016 오상욱
A06301 한국(韓國) 선시(禪詩)의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과 미의식(美意識) 007-037(31) 63 2016 김미선
A06302 17-18세기 안동김문(安東金門)이 향유(享有)한 매화(梅花)의 문화사(文化史) 039-065(27) 63 2016 김세호
A06303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연행록(燕行錄)에 나타난 중국 체험과 그 의미 067-095(29) 63 2016 정우봉
A06304 조선후기 십승지론의 전개와 ‘살 곳 찾기’의 향방 097-133(37) 63 2016 양승목
A06305 김택영의 『연암집』 편찬과 그 의미 135-167(33) 63 2016 정재철
A06306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중용(中庸)』 해석과 그 의미 169-207(39) 63 2016 최석기
A06307 양서(襄西) 이광윤(李光胤)의 잡체시(雜體詩) 창작과 그 의미 209-246(38) 63 2016 이미진
A06308 박지원의 연행 한시 연구 247-290(44) 63 2016 김혈조
A06309 청대(淸代) 장서가(藏書家)의 조선전적(朝鮮典籍)에 대한 수집(蒐集) 및 전파(傳播) -관정분(管庭芬)이 편집(編輯)한 조선 한시문헌을 중심으로- 291-322(32) 63 2016 유정
A06310 학고(鶴?) 김이만(金履萬)의 부(賦)에 나타난 제천(堤川) ‘임호(林湖)’의 심상지리 -「임호부(林湖賦)」와 「한거부(閒居賦)」를 중심으로- 323-370(48) 63 2016 권경록
A06311 고려후기 사문학(詞文學)의 전개 양상과 미적 특질 371-412(42) 63 2016 하정승
A06301 한국한문학사 서설 -국문학과의 통일적 인식을 위한 구상- 007-029(23) 64 2016 임형택
A06402 한시사(漢詩史) 서술의 제문제 031-057(27) 64 2016 안대회
A06403 한국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059-117(59) 64 2016 심경호
A06404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한문학에서의 한문소설, 그 사적 전망- 119-158(40) 64 2016 정환국
A06405 한국(韓國) 한문학비평사(漢文學批評史) 서술의 방향 모색 159-185(27) 64 2016 정우봉
A06406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187-214(28) 64 2016 박무영
A06407 『시경』 속의 `소설`, 소설 속의 『시경』 -조선시대 한문소설에서의 『시경』 인용 양상 연구- 215-259(45) 64 2016 김수경
A06408 18세기 유산기 「금강은유록(金剛恩遊錄)」 연구 261-293(33) 64 2016 정학성
A06409 `호생오사(好生惡死)`와 `낙사오생(樂死惡生)` -조선 문인이 본 일본 무사- 295-332(38) 64 2016 박상휘
A06410 청(淸) 문인 황작자(黃爵滋)와 조선(朝鮮) 문인의 교유 - 『선병서옥초집연기(仙屛書屋初集年記)』를 중심으로- 333-369(37) 64 2016 임영길
A06411 유경용(柳慶容)(1718-1753) 소장(所藏) 『장백운선명공선보(張白雲選名公扇譜)』와 조선후기 회화 371-400(30) 64 2016 유순영
A06412 옹방강과 추사 일파를 통해 본 학통의 시각적 계보화 -<추림독서도(秋林讀書圖)>를 중심으로- 401-443(43) 64 2016 김기완
A06413 『모암시회도(帽巖詩會圖)』에 대하여 445-472(28) 64 2016 전민경
A06414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1910~1940년대 『경학원잡지(經學院雜誌)』 소재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473-506(34) 64 2016 홍인숙
A06501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위하여 -방법으로서의 전고(典故)- 007-056(50) 65 2017 김승룡, 류재민
A06502 조선전기(朝鮮前期) 한시사(漢詩史) 서술(敍述)을 위한 몇 가지 전제(前提) 057-088(32) 65 2017 김창호
A06503 조선 전기 한문산문사 서술의 제문제 089-121(33) 65 2017 김우정
A06504 형성기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123-154(32) 65 2017 류준경
A06505 조선 전기 한문소설사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155-186(32) 65 2017 엄기영
A06506 『조선소설사』의 비판적 검토 -조선 후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187-223(37) 65 2017 정길수
A06507 18세기 산수유기의 전변(轉變) 양상 -『동유기(東遊記)』와 『동유기실(東遊記實)』의 비교- 225-250(26) 65 2017 강혜규
A06508 조선시대 『중용』 해석의 정자삼분설(程子三分說) 수용양상 251-288(38) 65 2017 최석기
A06509 조선시대(朝鮮時代) 검사(劒士)의 문학적(文學的) 형상화(形象化)에 대한 고찰(考察) 289-322(34) 65 2017 조혁상
A06510 청(淸) 오현(吳縣) 반씨(潘氏)가문의 문사(文士)와 조선문인(朝鮮文人)의 교류(交流) -이상적(李尙迪)을 중심으로- 323-355(33) 65 2017 이춘희
A06601 한시(漢詩)의 시어(詩語) 선택(選擇)에 적용된 몇 가지 원칙(原則) 007-036(30) 66 2017 황위주
A06602 이합체(離合體) 한시(漢詩)의 연원과 조선 문인들의 창작 양상 037-067(31) 66 2017 이미진
A06603 적생조래(荻生?徠)의 고문사학(古文辭學)에 대한 반성적(反省的) 고찰(考察)을 위하여 069-103(35) 66 2017 이규필
A06604 일본 유학자의 조선 연구 -이등동애(伊藤東涯)의 『삼한기략(三韓紀略)』에 대하여- 105-144(40) 66 2017 이효원
A06605 숙종조 정치 상황에 따른 정치적 글쓰기 -최명길에 대한 포폄을 중심으로- 145-178(34) 66 2017 김민혁
A06606 연암 그룹과 담원 곽집환의 문예교류 179-212(34) 66 2017 유재형
A06607 정선의 금강산 그림과 그림 같은 시 -진경산수화 의미 재고- 213-250(38) 66 2017 조규희
A06608 조선시대 `강남춘(江南春)`의 문학적 이미지와 <강남춘도(江南春圖)> 251-282(32) 66 2017 유순영
A06701 생평 서술의 전통과 현대 평전 작성의 방법 007-037(31) 67 2017 심경호
A06702 한문학 연구자의 평전 쓰기에 관한 몇 가지 생각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의 경우를 예로 삼아-

039-067(29) || 67 || 2017 || 강명관

A06703 연보와 평전 : 사실의 기록 또는 기억의 서사 069-110(42) 67 2017 정출헌
A06704 광개토왕비의 서사구조 일고 111-137(27) 67 2017 서정화
A06705 정치권력과의 상관관계로 본 김창협(金昌協)ㆍ김창흡(金昌翕)의 문학비평과 그 성격- 18세기로의 전환기 한국한문학의 특성에 초점을 맞춰- 139-177(39) 67 2017 김동준
A06706 북학파(北學派) 문인(文人)의 작품(作品)에 나타난 해학(諧謔)과 농담(弄談)의 분석 179-208(30) 67 2017 안대회
A06707 정제두 사상투쟁의 기록 -가람문고본 `양명초(陽明抄)`에 대한 탐색- 209-250(42) 67 2017 김수진
A06708 한문(漢文) 음독(音讀)의 실상과 변화 -조선후기 경연(經筵)의 음독(音讀)을 중심으로- 251-273(23) 67 2017 장유승
A06801 조선후기 서책의 검열과 소통 -『열하일기』를 통해 본 자기 검열- 007-037(31) 68 2017 김혈조
A06802 다산 불교문자의 자기 검열 039-077(39) 68 2017 정민
A06803 논난(論難)과 필화(筆禍)를 통해 본 조선 시대의 책문(策文)-『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속 책문(策文) 논난(論難)과 필화(筆禍)를 중심으로- 079-114(36) 68 2017 윤재환
A06804 조선후기 서적 통제, 그 아슬한 의식의 충돌과 타협 115-153(39) 68 2017 이민희
A06805 조선시대 오경(五經) 문헌(文獻)의 진위성(眞僞性) 검열에 대한 공적 담론 155-197(43) 68 2017 김수경
A06806 여성의 글쓰기를 둘러싼 검열과 비판 - 조선전기 시화(詩話)의 사대부가문 여성한시 비평을 중심으로 - 199-242(44) 68 2017 박영민
A06807 성종대 공론장에서의 검열과 비판 -치세 초반 유생(儒生)과 사표(師表)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243-291(49) 68 2017 김남이
A06808 '삼타축가장(三打祝家莊)'의 구성과 인물 -김성탄(金聖嘆)의 비평을 중심으로- 293-327(35) 68 2017 이승수
A06809 16세기 성주지역(星州地域)에서의 이문건(李文楗)과 예인(藝人)들의 회화창작문화(繪畵創作文化)콘텐츠 양상(樣相) 329-362(34) 68 2017 이상주
A06810 허균(許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再論)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363-402(40) 68 2017 신향림
A06811 『동시총화(東詩叢話)』(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 403-430(28) 68 2017 김보성
A06901 李鈺 小品文에 나타난漢陽 都會民의 生活과 世態 007-036(30) 69 2018 안대회
A06902 『閏人觀尺牘』과 『楓臯觀小牘』을 통해 본 金鑢와 金祖淳의 교유 양상 037-072(36) 69 2018 강혜선
A06903 兪晩柱가 만난 李安中-1786년 9월, 남산의 문학청년들- 073-114(42) 69 2018 김하라
A06904 權常愼의 玄湖別墅와 漢江에서의 文化活動 115-144(30) 69 2018 김세호
A06905 조선전기 초기사림파 문인의 굴원·초사 수용 연구 -세계와의 대결과 고독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145-179(35) 69 2018 김보경
A06906 『열국지(列國志)』의 조선 수용과 역사적 진실의 문제 181-219(39) 69 2018 박경남
A06907 石菱 金昌熙의 「論文十答」에 대하여 221-256(36) 69 2018 이현일
A06908 20세기 초 망명 문인의 시각적 자기 표상-초상화, 초상사진, 초상 자찬- 257-290(34) 69 2018 김기완
A07001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고뇌(苦惱)와 회한(悔恨)-유배 이전 시기의 사건과 교유를 중심으로- 007-049(43) 70 2018 김봉남
A07002 죽음에서 자아올린 生의 기억-생신제시문(生辰祭詩文)에 대한 연구- 051-125(75) 70 2018 강민구
A07003 조선시대 괴석(怪石) 취향 연구-침향석(沈香石)과 태호석(太湖石)을 중심으로- 127-157(31) 70 2018 이종묵
A07004 訥齋 朴祥의 雜體詩 실현 양상과 그 의미 159-196(38) 70 2018 박명희
A07005 이름을 품은 한시-조선조 잡명시(雜名詩)의 종류와 창작 실상- 197-237(41) 70 2018 이미진
A07006 『금강경삼가해』 함허 <설의> 소재 게송의 작가의식과 표현미학

239-274(36) || 70 || 2018 || 전재강

A07007 『九雲夢』 校合 定本 (1) 275-335(61) 70 2018 정길수
A07101 『열하일기』 정본화 작업의 제문제 -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007-044(38) 71 2018 김혈조
A07102 자탁전(自托傳)의 각 계열에서 보이는 자기인식의 형상과 그 의미 045-084(40) 71 2018 안득용
A07103 노백헌(老柏軒) 정재규(鄭載圭)의 「두류록(頭流錄)」에 나타난 일생의 한 국면 085-117(33) 71 2018 강정화
A07104 성해응(成海應)의 연작 악부시 「계문란(季文蘭)의 노래」와 조선 후기 지식인의 심리적 상흔 119-155(37) 71 2018 윤주필
A07105 박영교(朴泳敎)(1849~1884)의 『해동이아(海東爾雅)』에 대하여 -서술방식과 저술의식을 중심으로-

157-189(33) || 71 || 2018 || 김용태

A07106 「百美圖歌」 硏究 191-214(24) 71 2018 장유승
A07107 『九雲夢』 校合 定本 (2) 215-270(56) 71 2018 정길수
A07201 야담에서 공심의 생성과 정의 007-035(29) 72 2018 이강옥
A07202 고전으로 정의 말하기-한문 고전 활용 신문 칼럼을 대상으로- 037-068(32) 72 2018 송혁기
A07203 백이론(伯夷論), 조선 사대부의 정의론 069-095(27) 72 2018 이홍식
A07204 서계 박세당의 학술정신과 『맹자사변록』 097-138(42) 72 2018 함영대
A07205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본 「호질」 139-166(28) 72 2018 김경미
A07206 藥南 李憲洛의 생애와 문학세계 167-198(32) 72 2018 김남기
A07301 목은 이색의 ‘물’에 관한 상상력과 표상화 양상 007-049(43) 73 2019 김보경
A07302 물에 대한 관조 : 인생에 대한 비유적 사유와 체험 051-099(49) 73 2019 이국진
A07303 물에 대한 기억과 그 문화 - 제주바다를 중심으로 - 101-127(27) 73 2019 김새미오
A07304 流動과 定住 사이 - 漁民의 행위자성 初探 129-187(59) 73 2019 김대중
A07305 波濤그림과 活水이론이 엮은 회화사 189-228(40) 73 2019 고연희
A07306 청담 이중환 생애의 재조명 229-265(37) 73 2019 안대회
A07307 조선후기 소품문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267-301(35) 73 2019 김수진
A07308 한문소설 속 성의 윤리와 정의 개념의 모순 303-329(27) 73 2019 윤채근
A07309 조수삼(趙秀三)의 「동리선생전(東里先生傳)」 읽기 331-361(31) 73 2019 정순희
A07310 澹寧 洪義浩의 燕行錄 硏究 (1) - 燕行詩의 특징을 중심으로 - 363-394(32) 73 2019 김동건
A07401 16세기 전반 노장(老莊) 사유의 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007-062(56) 74 2019 정용건
A07402 류성룡(柳成龍)이 재현한 아버지의 일생 -『종천영모록(終天永慕錄)』 수록 「선고행년기(先考行年紀)」의 글쓰기 방법 연구- 063-099(37) 74 2019 구슬아
A07403 이덕무(李德懋)의 『윤회매십전(輪回梅十箋)』에 나타난 지식의 편집 양상과 그 의미 101-136(36) 74 2019 강진선
A07404 박지원 문예론에 나타난 ‘의(意)’의 의미에 대하여 -법고창신론의 재음미와 관련하여- 137-172(36) 74 2019 박희수
A07405 다산 정약용의 ‘스폰서’ 친족 -조선후기 친족은 부계화 되었는가?- 173-205(33) 74 2019 박미해
A07406 남공철(南公轍) 연행록(燕行錄) 소재(所載) 환술(幻術) 기록에 대한 연구 207-248(42) 74 2019 안순태
A07407 조선시대 시화집 소재 퇴계 시 비평 연구 249-274(26) 74 2019 최금자
A07408 한문학에서의 ‘고양이[猫’ 명칭(名稱)과 별칭(別稱)에 대한 고찰(考察) ] 275-305(31) 74 2019 김경
A07409 물(水), 혹은 흐르는 세계(物) -고대 중국 제자백가에서 ‘물’의 담론과 상형적 사유- 307-336(30) 74 2019 김시천
A07501 紫霞 申緯의 漢詩史的 位相과 文藝觀 007-062(56) 75 2019 이현일
A07502 紫霞 申緯의 燕行과 翁方綱의 영향 063-098(36) 75 2019 박철상
A07503 申緯의 墨竹畵에 대하여 099-146(48) 75 2019 진준현
A07504 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 147-182(36) 75 2019 고연희
A07505 『傳世寶玩帖』 소재 강세황의 간찰과 그 특성 183-222(40) 75 2019 정은진
A07506 조면호의 「예석」 연구-사람과 돌의 교감에 대한 일고찰- 223-254(32) 75 2019 신정수
A07507 「道康瞽家婦詞」의 서사 전개와 인물 형상화 방법 255-296(42) 75 2019 남윤혜
A07508 服齋 奇遵의 紀行詩 硏究 297-330(34) 75 2019 유진희
A07509 17세기 동아시아 자전문학의 특징적 국면(Ⅰ)-창작 배경 및 자아형상화 양상을 중심으로- 331-386(56) 75 2019 박진성
A07510 夫馬進의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387-424(38) 75 2019 이효원
A07601 평화체제를 향한 남북한의 고전문학사 인식 009-040(32) 76 2019 진재교
A07602 분단 이후 남한의 한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민족주의 비판론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041-070(30) 76 2019 김용태
A07603 2000년대 이후 북한의 한문학 연구 경향 071-104(34) 76 2019 강혜선
A07604 한문, 한자교재로 보는 식민통치와 한글전용-「漢文敎授捷徑 序」(1929), 『朝鮮歷史千字文』(1928), 『(대한민국)새千字』(1951)의 경우- 105-134(30) 76 2019 임상석
A07605 漢文學을 통해 되돌아보는 三韓統一의 역사(Ⅰ)-高麗 시대까지의 漢詩에 나타난 三韓과三韓統一의 의미를 중심으로- 135-198(64) 76 2019 남재철
A07606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보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 199-234(36) 76 2019 손혜리
A07607 19세기 연행록에 드러난 홍경래의 난과그 토양 ‘서북’ 235-266(32) 76 2019 김현미
A07608 북한지역 한문학 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267-302(36) 76 2019 장유승
A07609 한국한문소설로 보는 한반도 주변세계 인식 303-336(34) 76 2019 정길수
A07610 梧峯 申之悌의 生涯와 詩에 표출된 鬱結의 樣相 337-374(38) 76 2019 김기엽
A07611 「瀛州十景」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매계 이한우 작품을 중심으로- 375-400(26) 76 2019 김새미오
A07612 『西京稗史抄畧』과 「平壤戰(爭及其前後ノ)記」-淸日戰爭 관련 기록과 漢文의 위치- 401-436(36) 76 2019 송호빈
A07613 조선시대 한성부 東村의 인문경관 연구 437-486(50) 76 2019 안순태
A07701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고찰 009-041(33) 77 2020 이영숙
A07702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043-084(42) 77 2020 김현진
A07703 신익성(申翊聖)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를 통해 본 조선(朝鮮) 후기(後期) 유기(遊記)의 문체적(文體的) 다변화(多變化) 085-111(27) 77 2020 김광년
A07704 평양 읍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115-146(32) 77 2020 이은주
A07705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147-181(35) 77 2020 노경희
A07706 유만주(兪晩柱)의 해주(海州) - 『흠영(欽英)』에 나타난 18세기 해주의 역사지리학 - 183-221(39) 77 2020 김하라
A07707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 225-300(76) 77 2020 심경호
A07708 륙지(陸贄) 병문(騈文)의 특징과 『신당서(新唐書)』 「륙지전(陸贄傳)」에서의 개작 양상 301-339(39) 77 2020 김우정
A07709 동성파(桐城派) 문인들의 병려문(騈儷文) 인식에 관한 일고(一考) 341-372(32) 77 2020 김호
A07710 려말선초(麗末鮮初) 황정견(黃庭堅) 시론(詩論)의 수용 양상 375-397(23) 77 2020 류화정
A07711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중용』 해석과 그 의미 399-433(35) 77 2020 최석기
A07712 유언호(兪彦鎬) 『연석승유기(燕石勝遊記)』의 평점비평(評點批評) 연구 435-467(33) 77 2020 표가령
A07713 조선후기 사가(私家) 장서목록(藏書目錄)에 대한 일고(一攷) -심억ㆍ심제현, 이원정ㆍ이담명의 목록을 중심으로- 469-505(37) 77 2020 김영진
A07714 만하몽유록(晩河夢遊錄)에 나타난 20세기 초 유교지식인의 현실 인식과 닫힌 전망 507-541(35) 77 2020 엄기영
A07715 『한국문집총간』 엔그램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 543-570(28) 77 2020 이병찬
A07801 「送朝天客歸國詩章圖」는 일본 遣明使臣의 산물이다 009-038(30) 78 2020 박현규
A07802 1763년 계미통신사가 경험한 시공간의 변화와 생활상 039-079(41) 78 2020 양흥숙
A07803 연암 박지원의 熱河 行步와 文心 081-116(36) 78 2020 이승수, 강동우, 황인건
A07804 幻戱의 演行 양상과 흥미 요소에 관한 연구-조선후기 연행록 所載 北京 幻戱 기록을 중심으로- 117-147(31) 78 2020 안순태
A07805 燕行錄을 통해 본 先來軍官 제도의 운용 양상 149-179(31) 78 2020 김동건
A07806 用兵의 글쓰기-한문산문 비평과 작법에서의 兵法 담론을 중심으로- 183-221(39) 78 2020 김홍백
A07807 兪漢雋과 朴趾源-朴宗采의 『過庭錄』 기록에 대한 재검토- 223-262(40) 78 2020 박경남
A07808 徐瀅修의 『碧紺珠』에 대한 서지적 연구 263-296(34) 78 2020 장종미
A07809 三溟 姜浚欽 「海東樂府」 연구 297-338(42) 78 2020 김종하
A07810 鶴山 尹濟弘의 <漢拏山圖> 一考 339-360(22) 78 2020 성민경
A07901 젠더적 시각에 의한 한문학의 재구성 논의에 대한 관견 009-029(21) 79 2020 김용태
A07902 한문학과 여성, 그리고 명령과 소통 031-057(27) 79 2020 박영민
A07903 조선후기 여성의 (불)가능한 글쓰기와 윤리적 듣기의 가능성 -열녀 유서를 중심으로 한 한문학에서의 젠더 연구 방법론 시론- 059-100(42) 79 2020 홍인숙
A07904 17세기 사족여성의 노동 형상화 -17세기 여성의 제문․묘지문․행장 등을 중심으로- 103-128(26) 79 2020 전지원
A07905 「洌上閨藻」 연구 -가상의 고대사와 허구의 여성들- 129-181(53) 79 2020 장유승
A07906 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시대적 맥락 -광해군代 기자헌과 유몽인의 기억을 중심으로- 183-221(39) 79 2020 강창규
A07907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223-297(75) 79 2020 정민
A07908 김택영의 초기 기행시집 湖嶺巾衍錄 연구 299-332(34) 79 2020 한영규
A07909 秋琴 姜瑋의 經學과 詩經觀 -추사계열과 다산계열 사이의 교류를 배경으로- 333-361(29) 79 2020 홍유빈
A07910 원중거의 승사록 소재 필담 검토 -서술 의도와 효과를 중심으로- 363-399(37) 79 2020 장진엽
A08001 『溪西雜錄』 異本考 009-043(35) 80 2020 이승은
A08002 『溪西雜錄』의 轉移樣相 045-069(25) 80 2020 김유진
A08003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 -『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071-105(35) 80 2020 권기성
A08004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 율시(律詩)의 승접(承接)과 전절(轉折)의 양상 109-141(33) 80 2020 라란
A08005 『상설고문진보대전(詳說古文眞寶大全)』(前集) 주석(註釋)의 문제점 143-174(32) 80 2020 황위주
A08006 한국 한문소설의 여성 욕망 175-206(32) 80 2020 정길수
A08007 김성탄(金聖嘆)의 수호전(水滸傳) 비평 (8) 207-239(33) 80 2020 이승수
A08008 조구명(趙龜命) 책문(策文) 연구 241-294(54) 80 2020 최두헌
A08009 민성휘(閔聖徽) 가문의 장서 연구 -7대손 민경속(閔景涑)과 유만주(兪晩柱)의 서적 왕래를 겸하여- 295-325(31) 80 2020 김영진, 안정은
A08010 『운양집(雲養集)』의 중간(重刊)에 대한 문화사적 탐색 -김윤식(金允植)과 『운양집(雲養集)』, 그리고 도쿠토미 소호[徳富蘇峰 ] 327-372(46) 80 2020 박영미
A08011 김해 함허정의 장소기억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을 겸하여- 373-411(39) 80 2020 김보경
A08012 노령(蘆嶺)의 역사와 갈재 옛길의 문화사 413-437(25) 80 2020 김세호
A08101 조선시대 문인들의 음서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 양상 연구 009-054(46) 81 2021 이국진
A08102 「양반전」을 통해 본 18세기 조선의 사회신분 질서 055-087(33) 81 2021 계승범
A08103 ‘양반되기’ 서사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조건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중심으로- 089-126(38) 81 2021 전경목
A08104 결사(結社)로서의 윤리와 경제 공동체 -조선 후기의 향도(香徒)와 동약(洞約) 담론을 중심으로- 127-167(41) 81 2021 김홍백
A08105 조선후기 민인의 하부정치 169-218(50) 81 2021 김대중
A08106 문학적 전범으로서의 『춘추좌전(春秋左傳)』 인식에 관한 일고(一考) - 17세기 초 고문(古文) 학습관과 서적 편찬- 221-259(39) 81 2021 심규식
A08107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의 생애(生涯)와 현실인식(現實認識) 261-295(35) 81 2021 서한석
A08108 조선 후기 북벌론(北伐論)의 여맥(餘脈)과 오자서(伍子胥) 담론 297-334(38) 81 2021 정하정
A08109 연세대학교 소장 『만오만필(晩悟漫筆)』의 작자에 대한 고찰 335-360(26) 81 2021 임영걸
A08110 이유원(李裕元)의 1845년 사은사행(謝恩使行)과 한중 문인 교유 361-389(29) 81 2021 임영길
A08110 한자 문화권의 역사 유산과 역사 연구자의 지적 곤경 391-419(29) 81 2021 이훈상
A08201 19세기 조선 서울 문단의 사문학(詞文學) 창작 경향 009-040(32) 82 2021 김영미
A08202 19세기 한강(漢江) 시회(詩會)의 일면 -마포 녹범각(綠帆閣) 모임과 『녹범시화(綠帆詩話)』- 041-076(36) 82 2021 김보성
A08203 해장(海藏) 신석우(申錫愚) 문학의 지방지적(地方誌的) 성격 -지방관 재임기 작품을 중심으로- 077-116(40) 82 2021 장진영
A08204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의 작자 문제 119-156(38) 82 2021 신향림
A08205 조선 후기 장동김문(壯洞金門)의 백운산(白雲山) 별서(別墅) 경영과 그 의미 157-185(29) 82 2021 김세호
A08206 죽어야 사는 여자 -이인상과 김종수의 여성 제문 연구- 187-226(40) 82 2021 김수진
A08207 「사유록(四遊錄)」을 통해 본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의 학적 지향 227-268(42) 82 2021 오보라
A08208 조선 후기 한 서족 가문의 학지와 가학 전승 -창녕 성씨가의 연행과 통신사행을 중심으로- 269-305(37) 82 2021 손혜리
A08301 오학론(五學論)으로 읽는 경전학의 이면 -경학과 과거 문장학의 조응- 009-036(28) 83 2021 함영대
A08302 이수광(李睟光)(1563~1628)과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도문론(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037-076(40) 83 2021 오세현
A08303 조선후기 과문(科文)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규장각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077-116(40) 83 2021 박현순
A08304 숙종(肅宗)·영조대(英祖代) 과거제(科擧制)와 과문(科文)의 추이(推移)와 쟁점에 관한 일고찰 117-147(31) 83 2021 박선이
A08305 한·중 과거(科擧) 경의문(經義文) 비교 -조선시대 사서의(四書疑)·오경의(五經義)와 명·청대 팔고문(八股文)을 중심으로- 149-182(34) 83 2021 윤선영
A08306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2) -기(氣) 위주 문학관을 중심으로- 185-223(39) 83 2021 박경남
A08307 『정선당송천가련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에 활용된 송(宋)ㆍ원대(元代) 문학비평서의 문헌학적 검토 225-255(31) 83 2021 류화정
A08308 한국 의고시(擬古詩)의 사적(史的) 전개와 의고(擬古) 양상 연구-고려 후기~조선 전기를 중심으로- 257-291(35) 83 2021 이훈
A08309 1763年 계미통신사행록 東槎紀行 의 작자와 일본 체험 293-334(42) 83 2021 정우봉
A08310 紫霞 申緯의 「東人論詩絶句三十五首」 다시 읽기 335-394(60) 83 2021 이현일
A08311 18~19세기 서울 남촌(南村) 남고시사(楠皐詩社)의 형성과 활동 395-443(49) 83 2021 진민희
A08312 경대(經臺) 김상현(金尙鉉)의 교유시에 대한 일고찰 445-478(34) 83 2021 김용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