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LaoqidaAndPiaotongshi"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연구 목적)
(연구 목적)
9번째 줄: 9번째 줄:
  
 
=='''연구 목적'''==
 
=='''연구 목적'''==
문헌 「노걸대」와 「박통사」는 각 조목마다 회화체, 즉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인물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  동시에 중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비교한 연구들은 진행중이거나 이미 완료된 것들도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
문헌 「노걸대」와 「박통사」는 각 조목마다 회화체, 즉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인물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  동시에 중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비교한 연구들은 진행중이거나 이미 완료된 것들도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사례들에서 더 나아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두 작품의 대화에서 주로 사용된 단어와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그 단어 사용의 빈도수는 어떻게 되는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분석해보고, 어법 관점에서의 서술 방식 차이, 그리고 대화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언어 구사 수준의 차이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두 문헌의 목적은 중국어 회화, 언어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헌 내에서의 언어 체계역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언어 체계 차이를 밝히고 같은 외국어 교육서이지만, 어떠한 계층, 연령대를 타겟으로 책이 쓰여진 것인지, 가능하다면 비슷한 시기에 나온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왜 타겟을 다르게 정한 것인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사례들에서 더 나아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두 작품의 대화에서 주로 사용된 단어와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그 단어 사용의 빈도수는 어떻게 되는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분석해보고, 어법 관점에서의 서술 방식 차이, 그리고 대화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언어 구사 수준의 차이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두 문헌의 목적은 중국어 회화, 언어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헌 내에서의 언어 체계역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언어 체계 차이를 밝히고 같은 외국어 교육서이지만, 어떠한 계층, 연령대를 타겟으로 책이 쓰여진 것인지, 가능하다면 비슷한 시기에 나온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왜 타겟을 다르게 정한 것인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br/>
 
<br/>
  

2021년 4월 21일 (수) 20:20 판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강의 페이지로 가기


데이터 기반 『노걸대』와 『박통사』 비교 연구



연구 목적

문헌 「노걸대」와 「박통사」는 각 조목마다 회화체, 즉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인물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 동시에 중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비교한 연구들은 진행중이거나 이미 완료된 것들도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사례들에서 더 나아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두 작품의 대화에서 주로 사용된 단어와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그 단어 사용의 빈도수는 어떻게 되는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분석해보고, 어법 관점에서의 서술 방식 차이, 그리고 대화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언어 구사 수준의 차이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두 문헌의 목적은 중국어 회화, 언어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헌 내에서의 언어 체계역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언어 체계 차이를 밝히고 같은 외국어 교육서이지만, 어떠한 계층, 연령대를 타겟으로 책이 쓰여진 것인지, 가능하다면 비슷한 시기에 나온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왜 타겟을 다르게 정한 것인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내용 서술)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내용 서술)

관계(Relation)

(내용 서술)

속성(Attribute)

(내용 서술)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내용 서술)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연구 결과

(내용 서술)

참고 자료

(내용 서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