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YoutubeChannel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연구 방법)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br> | <br> | ||
*<big>'''연구 진행 순서''' </big> | *<big>'''연구 진행 순서''' </big> | ||
− | # 2020.1.~2020. | + | # 2020.1.~2020. 9. 내 세 개의 채널에서 다루어진 콘텐츠 내 영화 관련 영상 추출 |
# 대상으로 한 영화 및 상영 플랫폼 확인 | # 대상으로 한 영화 및 상영 플랫폼 확인 | ||
# 영상 분석 기준을 토대로 오디오비주얼 구성 및 감상-비평 형태 확인 | # 영상 분석 기준을 토대로 오디오비주얼 구성 및 감상-비평 형태 확인 | ||
160번째 줄: | 160번째 줄: | ||
## 창작 형식 : 이미지 구성, 구도를 언급하거나 촬영 기법과 연관해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는지 확인 (메시지와 중복 적용 가능) | ## 창작 형식 : 이미지 구성, 구도를 언급하거나 촬영 기법과 연관해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는지 확인 (메시지와 중복 적용 가능) | ||
## 메시지 : 영화의 이미지 내에서 상징, 의도된 이미지 배치, 숨겨진 의미 등이 있는지 확인 (창작 형식과 중복 적용 가능) | ## 메시지 : 영화의 이미지 내에서 상징, 의도된 이미지 배치, 숨겨진 의미 등이 있는지 확인 (창작 형식과 중복 적용 가능) | ||
− | |||
==연구 데이터== | ==연구 데이터== |
2020년 11월 10일 (화) 14:29 판
연구 목적
유튜브 인기 영화 채널 내 오디오비주얼 영화 리뷰의 대중 비평 가능성 탐구
연구 대상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는 영화 유튜브 채널 내 영화 관련 영상
- 채널 및 영상 수 [1]
- 총 3채널, 영상 93편 수집
- 지무비 : G Movie (117만) : 28편
- 고몽 (112만) : 38편
- 김시선 (97.9만) [2] : 27편
- 콘텐츠 [3]
영화
|
---|
|
연구 방법
- 연구 진행 순서
- 2020.1.~2020. 9. 내 세 개의 채널에서 다루어진 콘텐츠 내 영화 관련 영상 추출
- 대상으로 한 영화 및 상영 플랫폼 확인
- 영상 분석 기준을 토대로 오디오비주얼 구성 및 감상-비평 형태 확인
- 영상 분석 기준
1) 오디오비주얼 영화 리뷰의 장르 단계 확인 : 오디오비주얼 영화 리뷰가 리뷰의 장르를 적용했을 때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 리뷰 장르의 구분
- Taboada(2011)[4]은 온라인 리뷰 장르에는 몇 가지 단계(stage)가 있다고 정리한다. 본고는 해당 연구에서 제시한 온라인 리뷰의 장르적인 속성을 바탕으로 영상의 내용적인 측면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리뷰가 저자 배경(가치관, 관련 사실)이나 리뷰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영화 요약)에서 시작해 평가로 마무리된다고 한다.
→ 해당 연구에서 제시한 '개요, 플롯, 캐릭터, 저자 배경, 평가[5] '를 본고의 목적에 맞게 재서술할 것이다.
- 플롯 : 영화의 스토리 중 주요한 사건, 장면을 중심으로 서술, 등장인물의 행동, 태도, 감정 등도 함께 제시될 수 있음 (스토리 소개 목적, 속성 : 사건, 인물)
- 속성-사건 : 사건, 캐릭터로 양분되는데 사건은 영화 내 발생하는 객관적인 사실만을 진술할 경우
- 속성-인물 : 인물는 장면 안에서 인물의 감정이나 태도, 입장, 등 캐릭터에 관한 내용이 함께 서술될 경우
- 관련 정보 : 영화와 관련된 정보를 소개. 개봉년도(개봉일자), 박스오피스 순위, 개봉 국가 등 영화 관련 사실들이나 영화 이해를 위한 추가적인 배경 설명 등이 제시될 수 있음 (추가적인 배경 설명의 예- 보복 운전을 소재로 삼은 영화의 경우 보복 운전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는 것)
- 평가 : 영화를 관람한 후 작품에 대한 리뷰어의 평가. 오락적인 가치(재미)나 감상평 혹은 깨달음을 등도 함께 기술될 수 있음
- 분석 : 리뷰어의 시선으로 작품 분석이 시도됨. 작품의 저자(감독)이 내포한 의도, 상징, 영화 자체의 의의, 함의 등이 서술될 수 있음
2) 오디오비주얼 영화 리뷰의 형식 확인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장르 단계별로 어떠한 형식을 취하는지 확인할 것이다.
※ 영상의 형식적인 측면
- 리뷰의 단계별로 어떠한 형식을 차용했는지 확인할 것이다.
- 위 구분은 이자혜ㆍ박미선(2019:351)[6]이 재인용한 반 덴 버그ㆍ키스(van den Berg&Kiss, 2016)의 분류표를 가져온 것이다.
→ 이러한 비평 기준을 참조해 유튜브 채널 영상 분석을 위한 기준을 새로 제작할 것이다.
- 장면 나열 : 플롯, 스토리 설명을 위해 영화 장면이 나열되는 경우. 영화 장면 외에 기타 설명(자막, 목소리) 없음. 보이스오버 없음.
- 장면 해설 : 플롯, 스토리 설명을 위해 영화 장면과 함께 나레이터의 목소리를 통한 설명이 첨가되는 경우. 보이스오버 있음. (속성 : 자막, 목소리)
- 속성-자막 : 영화의 장면의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자막이 사용된 경우, 목소리와 중복 적용 가능
- 속성-목소리 : 영화의 장면의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목소리가 사용된 경우, 목소리와 중복 적용 가능
- 인용 : 예시로서 영화, 혹은 타 영화나 영상, 이미지를 가져와 인용문처럼 제시하는 경우. 보이스오버 무관.
3) 비평의 유무 판단 : 오디오비주얼 리뷰 중 평가, 분석의 장르 단계가 감상에만 머무르는지 비평의 층위에도 해당할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 선행 연구의 기준을 재서술한 감상, 비평 하위 기준
- 감상
- 영화 설명
- 영화의 장르 구별 : 영화의 장르를 언급한다.
- 이야기 전개 설명 : 이야기의 전개를 설명한다. 이야기의 전개는 ’플롯, 성격, 행위의 원인과 결과, 클라이막스 등‘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는 것이 해당한다.
- 감상평
- 연기의 주관적 감상: 배우의 연기에 대한 개인 감상을 서술한다.
- 작품의 오락적 가치 제시 : 작품의 오락적 가치(재미)의 유무에 대해 제시한다. (영화가 재미있다, 없다 정도의 제시만 하는 단계)
- 영화 설명
- 비평
- 영화 설명
- 심리 분석 :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동기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상징 분석 : 미장센을 통해 영화가 내포하는 상징이나 의미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오락 가치 : 주관적인 가치 기준으로 재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근거(연기의 질, 특수효과, 무대장치 등)를 토대로 영화의 오락적 가치를 판별한다.
- 비평
- 강점과 결점 찾기 : 영화가 갖는 고유의 강점과 결점에 대해 언급하는 대목이 있다.
- 비교 : 영화를 다른 영화나 예술 작품, 사회 현상(실화)와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
- 가치 평가 : 대중성, 상업성의 기준으로 영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점이 있다. [12]
- 영화 설명
→ 본고는 아래 기준들 중 비평의 기준을 영화의 층위별로 나누어 해당 영상이 비평을 시도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할 것이다.
- 감상
- 경험 : 영화와 관련된 자신의 유사 경험 언급
- 관람 계기 : 영화를 보게 된 심정적, 상황적 계기 언급
- 직관적 감정 : 영화를 본 후에 느낀 근거 없는 직관적인 감상평 연급(이 영화는 재미있다, 신기하다, 한 번 볼 만 하다, 추천한다 등)
- 비평
- 감독 : 감독의 제작 스타일과 관련된 분석 시도. 특히, 같은 감독의 다른 작품들과 리뷰한 작품과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는지 확인
- 캐릭터 : 등장 인물의 행동과 동기를 심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는지 확인
- 창작 형식 : 이미지 구성, 구도를 언급하거나 촬영 기법과 연관해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는지 확인 (메시지와 중복 적용 가능)
- 메시지 : 영화의 이미지 내에서 상징, 의도된 이미지 배치, 숨겨진 의미 등이 있는지 확인 (창작 형식과 중복 적용 가능)
연구 데이터
- ↑ 구독자 수는 2020년 10월 4일 기준 집계이다.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거나 육박하는 상위 3개 채널 내의 영화 관련 영상을 중심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 ↑ 100만이 되지는 않지만 광고성 영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100만을 육박해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 ↑ 채널 간 중복으로 제시된 영화는 두꺼운 글씨로 표시했다.
- ↑ Maite Taboada(2011). Stages in an online review genre. Text & Talk -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Language, Discourse & Communication Studies. 31. 247-269.
- ↑ Taboada(2011)의 연구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개요 (subject matter) : 영화 전체 총평 및 서사 간단 요약 (예 - 이 영화는 ~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플롯 (plot) : 영화의 스토리 중 주요한 사건, 장면을 중심으로 서술
- 캐릭터 (character) : 플롯 설명과 함께 등장. 장면 안에서 캐릭터의 행동과 감정, 태도 기술
- 저자 배경 (background) : 저자가 자신과 리뷰 대상(영화, 작품)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저자 자신의 개인적인 배경이 소개되거나 저자가 자신의 가치관, 깨달음 등을 통고하는 단계이다. 평가와는 다르며 감상 서술에 가깝다. 저자가 리뷰 대상에 대한 관점을 명시하거나 관련 사실을 제시하지 않은 한 리뷰의 첫머리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 평가 (evaluation) : 영화에 대한 평가를 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층위에서 이루어진다. 영화 전반, 스토리, 감독, 배우를 비롯한 기타 사항에 대한 저자의 평가가 제시된다.
- ↑ 이자혜ㆍ박미선(2019), 오디오비주얼 필름 크리틱: 학문적 영화비평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하여, 영화연구(82), 335-370.
- ↑ 한래희(2013:223)의 이선영ㆍ권영민(2003) 재인용 및 신강호(1989)가 제시한 기준 참조해 본고에서 재분류한 것이다. 각각의 기준은 아래의 주석과 같다.
- ↑ 한래희(2013).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리터러시연구(6), 213-247
- ↑ 한래희(2013:223)가 재인용한 이선영ㆍ권영민(2003)의 비평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단하다(to judge) 가치를 평가하다(to evaluate) 분석하다(to analyse) 감상하다(to appreciate) 결점을 찾는다(to fault-finding) 칭찬하다(to praise) 종류를 나누다(to classify) 비교하다(to compare) - ↑ 신강호(1989). 영화비평의 방법론. 영화연구(6), 181-200
- ↑ 신강호의 기준은 영화 초창기 감상(신강호, 1989:183)과 대중 비평-학술 비평을 구분한 대목의 기준(신강호, 1989:184)의 대목을 개조식으로 나열한 것이다.
- ↑ 신강호(1989:184)는 대중 비평의 주요 쟁점이 ‘영화가 볼 만 한 가치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가치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영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소비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때에 중요한 가치인 대중성, 상업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