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YoutubeChannel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연구 방법) |
(→연구 방법)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 | 2) '''비평의 유무 판단'''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감상에만 머무르는지 비평의 단계로 나아가는지 확인할 것이다. <ref> | + | 2) '''비평의 유무 판단'''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감상에만 머무르는지 비평의 단계로 나아가는지 확인할 것이다. <ref> 한래희(2013:223)의 이선영ㆍ권영민(2003) 재인용 및 신강호(1989)가 제시한 기준 참조해 본고에서 재분류한 것이다. 각각의 기준은 아래의 주석과 같다. </ref> <ref> 한래희(2013).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리터러시연구(6), 213-247 <br>한래희(2013:223)가 재인용한 이선영ㆍ권영민(2003)의 비평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
<br>판단하다(to judge) | <br>판단하다(to judge) | ||
가치를 평가하다(to evaluate) | 가치를 평가하다(to evaluate) |
2020년 10월 12일 (월) 11:53 판
연구 목적
유튜브 인기 영화 채널의 오디오비주얼 대중비평으로의 가능성 탐구
연구 대상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는 영화 유튜브 채널 내 영화 관련 영상
- 채널 및 영상 수 [1]
- 총 3채널, 영상 93편 수집
- 지무비 : G Movie (117만) : 28편
- 고몽 (112만) : 38편
- 김시선 (97.9만) [2] : 27편
- 콘텐츠 [3]
영화
|
---|
|
연구 방법
- 연구 진행 순서
- 2020.1.~2020.10.3. 내 세 개의 채널에서 다루어진 콘텐츠 내 영화 관련 영상 추출
- 대상으로 한 영화 및 상영 플랫폼 확인
- 영상 분석 기준을 토대로 오디오비주얼 구성 및 감상-비평 형태 확인
- 영상 분석 기준
1) 오디오비주얼 리뷰의 구성 확인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채널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2) 비평의 유무 판단 : 오디오비주얼 리뷰가 감상에만 머무르는지 비평의 단계로 나아가는지 확인할 것이다. [4] [5][6]
※ 감상을 확인할 기준
- 영화
- 영화의 장르 구별 : 영화의 장르를 언급한다.
- 이야기 전개 설명 : 이야기의 전개를 설명한다. 이야기의 전개는 문학 비평에서의 그것과 같이 ’플롯, 성격, 행위의 원인과 결과, 클라이막스 등‘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는 것이 해당한다.
- 감상평
- 연기의 기본적인 개요 서술 : 배우의 연기에 대한 개인 감상을 서술한다.
- 작품의 오락적인 가치에 대한 일반적인 관찰 : 작품의 대중적인 가치(재미)의 유무에 대해 제시한다.
※ 비평을 판별할 기준
- 영화
- 심리 분석 :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동기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상징 분석 : 미장센을 통해 영화가 내포하는 상징이나 의미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 오락 가치 : 주관적인 가치 기준으로 재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근거(연기의 질, 특수효과, 무대장치 등)를 토대로 영화의 오락적 가치를 판별한다.
- 비평
- 강점과 결점 찾기 : 영화가 갖는 고유의 강점과 결점에 대해 언급하는 대목이 있다.
- 비교 : 영화를 다른 영화나 예술 작품, 사회 현상(실화)와 비교하려는 시도가 있다.
- 가치 평가 : 대중성, 상업성의 기준으로 영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점이 있다. [7]
연구 데이터
- ↑ 구독자 수는 2020년 10월 4일 기준 집계이다. 구독자가 100만을 상회하거나 육박하는 상위 3개 채널 내의 영화 관련 영상을 중심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 ↑ 100만이 되지는 않지만 광고성 영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100만을 육박해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 ↑ 채널 간 중복으로 제시된 영화는 두꺼운 글씨로 표시했다.
- ↑ 한래희(2013:223)의 이선영ㆍ권영민(2003) 재인용 및 신강호(1989)가 제시한 기준 참조해 본고에서 재분류한 것이다. 각각의 기준은 아래의 주석과 같다.
- ↑ 한래희(2013).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리터러시연구(6), 213-247
한래희(2013:223)가 재인용한 이선영ㆍ권영민(2003)의 비평문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단하다(to judge) 가치를 평가하다(to evaluate) 분석하다(to analyse) 감상하다(to appreciate) 결점을 찾는다(to fault-finding) 칭찬하다(to praise) 종류를 나누다(to classify) 비교하다(to compare) - ↑ 신강호(1989). 영화비평의 방법론. 영화연구(6), 181-200 신강호의 기준은 영화 초창기 감상(신강호, 1989:183)과 대중 비평-학술 비평을 구분한 대목의 기준(신강호, 1989:184)의 대목을 개조식으로 나열한 것이다.
- ↑ 신강호(1989:184)는 대중 비평의 주요 쟁점이 ‘영화가 볼 만 한 가치가 있는가?’를 판별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가치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영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소비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때에 중요한 가치인 대중성, 상업성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