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EmotionAndAffectFromAnalect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편찬 데이터)
(편찬 데이터)
8번째 줄: 8번째 줄: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ample Data
 
|+ Sample Data
! 편 || 장 || 인물 || 대상 || 감정 || 정동과 정서 || 표현
+
! 편 || 장 || 인물 || 대상 || 감정 || Affection, Emotion || 긍정, 부정 || 원문 구절 || 표현
 
|-
 
|-
| 1 || 1 || 공자 ||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 기쁨 || || 說
+
| 1 || 1 || 공자 ||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 기쁨 || Emotion || 긍정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說
 
|-
 
|-
| 1 || 5 || 공자 || 사람 || 사랑 || ||
+
| 1 || 1 || 공자 ||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는 것 || 즐거움 || Emotion || 긍정 ||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 樂
 
|-
 
|-
| 1 || 6 || 공자 || 사람 || 사랑 || ||
+
| 1 || 8 || 공자 || 군자가 중후하지 않은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君子 不重則不威 學則不固 ||  
 
|-
 
|-
| 1 || 7 || 자하 || 여색 || 좋아함 || ||
+
| 1 || 15 || 공자 ||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고 예를 좋아함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  
 
|-
 
|-
| 1 || 14 || 공자 || 학문 || 좋아함 || ||
+
| 1 || 16 || 공자 ||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 || 걱정 || Emotion || 부정 ||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 患
 
|-
 
|-
| 1 || 16 || 공자 ||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 || 걱정 || ||
+
| 2 || 1 || 공자 || 덕으로 하는 정치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 共之 ||  
 
|-
 
|-
| 2 || 3 || 공자 || 백성 || 부끄러워함 || ||
+
| 2 || 3 || 공자 || 백성을 법령과 형벌로 다스리는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  
 
|-
 
|-
| 2 || 6 || 공자 || 자식 || 근심 || ||
+
| 2 || 3 || 공자 || 백성을 덕과 예로 다스리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  
 
|-
 
|-
| 2 || 18 || 공자 || 행실 || 후회 ||  ||
+
| 2 || 7 || 공자 ||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
 +
|-
 +
| 2 || 14 || 공자 || 두루 조화를 이루고 당파를 형성하지 않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
 +
|-
 +
| 2 || 16 || 공자 || 이단을 전공하는 것 || 해로움 || Emotion || 부정 || 攻乎異端 斯害也已 || 害
 +
|-
 +
| 2 || 20 || 공자 || 백성을 장엄하게 대하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
 +
|-
 +
| 2 || 20 || 공자 || 효도와 사랑을 베푸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
 +
|-
 +
| 2 || 22 || 공자 || 성실성이 없는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
 +
|-
 +
| 2 || 24 || 공자 || 의로운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見義不爲 無勇也 ||
 +
|-
 +
| 3 || 4 || 공자 || 임방의 예의 근본에 대한 질문 || 기쁨 || Affection || 긍정 || 大哉 問 ||
 +
|-
 +
| 3 || 8 || 공자 || 자하의 깨달음 || 기쁨 || Affection || 긍정 ||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
 +
|-
 +
| 3 || 10 || 공자 || 노나라의 체제사가 강신주를 따르는 것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禘 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
 +
|-
 +
| 3 || 14 || 공자 || 주나라가 하, 은, 이대의 예를 본보기로 삼은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
 +
|-
 +
| 3 || 17 || 공자 || 예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
 +
|-
 +
| 3 || 25 || 공자 || 순 임금의 음악인 소 || 좋음 || Emotion || 긍정 || 謂韶 盡美矣 又盡善也 || 善
 +
|-
 +
| 3 || 25 || 공자 || 무 왕의 음악인 무 || 좋지 않음 || Emotion || 부정 || 謂武 盡美矣 未盡善也 || 未盡善
 +
|-
 +
| 4 || 1 || 공자 || 마을의 인심이 인후한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里仁 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
 +
|-
 +
| 4 || 16 || 공자 || 의에 밝은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君子 喩於義 小人 喩於利 ||
 +
|-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기쁨 || Affection || 긍정 ||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
 +
|-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두려움 || Emotion || 부정 ||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 喜
 +
|-
 +
| 4 || 22 || 공자 || 실천이 미치지 못하는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 恥
 +
|-
 +
| 5 || 1 || 공자 || 공야장 || 사위 삼을 만함 || Affection || 긍정 || 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 妻之 ||
 +
|-
 +
| 5 || 2 || 공자 || 자천의 군자다움 || 기뻐함 || Affection || 긍정 || 謂子賤 君子哉 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
 +
|-
 +
| 5 || 5 || 공자 || 칠조개의 대답 || 기뻐함 || Emotion || 긍정 || 使漆雕開 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 說 || 說
 +
|-
 +
| 5 || 15 || 공자 || 자산(군자의 도 4가지가 있음)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謂子産 有君子之道 四焉 其行己也 恭 其事上也 敬 其養民也 惠 其使民也 義 ||
 +
|-
 +
| 5 || 16 || 공자 || 안평중이 남과 사귀기를 잘하는 것 || 공경 || Emotion || 긍정 || 晏平仲 善與人交 久而敬之 || 敬
 +
|-
 +
| 5 || 21 || 공자 || 진나라의 문인이 정치에 소략한 것 || 안타까움 || Affection || 부정 || 歸與歸與 吾黨之小子 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
 +
|-
 +
| 5 || 24 || 공자 || 듣기 좋은 말만 하고 지나치게 공손한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巧言令色足恭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 恥
 +
|-
 +
| 5 || 24 || 공자 || 원망하면서도 그 사람과 사귀는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匿怨而友其人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 恥
 +
|-
 +
| 5 || 25 || 공자 || 늙은이를 편안하게 해주고, 벗에게는 미덥게 하고 젊은이를 감싸주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老者 安之 朋友 信之 少者 懷之 ||
 +
|-
 +
| 5 || 26 || 공자 || 자신의 허물을 보고 진심으로 자책하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
 +
|-
 +
| 5 || 27 || 공자 || 배우는 것 || 좋아함 || Emotion || 긍정 || 十室之邑 必有忠信 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 好
 +
|-
 +
| 6 || 9 || 공자 || 안회 || 어짊 || Emotion || 긍정 || 子 曰 賢哉 回也 ||
 +
|-
 +
| 6 || 11 || 공자 || 군자다운 학자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
 +
|-
 +
| 6 || 11 || 공자 || 소인 같은 학자 || 싫어함 || Affection || 부정 ||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
 +
|-
 +
| 6 || 15 || 공자 || 도를 따르는 것 || 기쁨 || Affection || 긍정 ||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
 +
|-
 +
| 6 || 15 || 공자 || 도를 따르지 않는 것 || 슬픔 || Affection || 부정 ||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
 +
|-
 +
| 6 || 16 || 공자 || 문채와 질박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것 || 군자와 같음 || Affection || 긍정 || 文質 彬彬 然後 君子 ||
 +
|-
 +
| 6 || 17 || 공자 || 정직하지 않음 || 화남 || Affection || 부정 || 人之生也 直 罔之生也 幸而免 ||
 +
|-
 +
| 6 || 27 || 공자 || 중용의 덕을 실천하는 이가 적은 것 || 슬픔 || Affection || 부정 ||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 久矣 ||
 +
|-
 +
| 6 || 28 || 공자 ||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어 많은 사람을 구제하는 것 || 좋아함 || Affection || 긍정 || 如有博施於民 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 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
 
|-
 
|-
 
|}
 
|}

2020년 10월 9일 (금) 16:27 판

탐구의 목적

탐구의 대상

탐구의 방법

편찬 데이터

Sample Data
인물 대상 감정 Affection, Emotion 긍정, 부정 원문 구절 표현
1 1 공자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기쁨 Emotion 긍정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1 1 공자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는 것 즐거움 Emotion 긍정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1 8 공자 군자가 중후하지 않은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君子 不重則不威 學則不固
1 15 공자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고 예를 좋아함 좋아함 Affection 긍정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1 16 공자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 걱정 Emotion 부정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2 1 공자 덕으로 하는 정치 좋아함 Affection 긍정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 共之
2 3 공자 백성을 법령과 형벌로 다스리는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2 3 공자 백성을 덕과 예로 다스리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2 7 공자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2 14 공자 두루 조화를 이루고 당파를 형성하지 않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2 16 공자 이단을 전공하는 것 해로움 Emotion 부정 攻乎異端 斯害也已
2 20 공자 백성을 장엄하게 대하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2 20 공자 효도와 사랑을 베푸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2 22 공자 성실성이 없는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2 24 공자 의로운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見義不爲 無勇也
3 4 공자 임방의 예의 근본에 대한 질문 기쁨 Affection 긍정 大哉 問
3 8 공자 자하의 깨달음 기쁨 Affection 긍정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3 10 공자 노나라의 체제사가 강신주를 따르는 것 싫어함 Affection 부정 禘 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3 14 공자 주나라가 하, 은, 이대의 예를 본보기로 삼은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3 17 공자 좋아함 Affection 긍정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3 25 공자 순 임금의 음악인 소 좋음 Emotion 긍정 謂韶 盡美矣 又盡善也
3 25 공자 무 왕의 음악인 무 좋지 않음 Emotion 부정 謂武 盡美矣 未盡善也 未盡善
4 1 공자 마을의 인심이 인후한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里仁 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4 16 공자 의에 밝은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君子 喩於義 小人 喩於利
4 21 공자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기쁨 Affection 긍정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4 21 공자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두려움 Emotion 부정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4 22 공자 실천이 미치지 못하는 것 부끄러움 Emotion 부정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5 1 공자 공야장 사위 삼을 만함 Affection 긍정 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 妻之
5 2 공자 자천의 군자다움 기뻐함 Affection 긍정 謂子賤 君子哉 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5 5 공자 칠조개의 대답 기뻐함 Emotion 긍정 使漆雕開 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 說
5 15 공자 자산(군자의 도 4가지가 있음) 좋아함 Affection 긍정 謂子産 有君子之道 四焉 其行己也 恭 其事上也 敬 其養民也 惠 其使民也 義
5 16 공자 안평중이 남과 사귀기를 잘하는 것 공경 Emotion 긍정 晏平仲 善與人交 久而敬之
5 21 공자 진나라의 문인이 정치에 소략한 것 안타까움 Affection 부정 歸與歸與 吾黨之小子 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5 24 공자 듣기 좋은 말만 하고 지나치게 공손한 것 부끄러움 Emotion 부정 巧言令色足恭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5 24 공자 원망하면서도 그 사람과 사귀는 것 부끄러움 Emotion 부정 匿怨而友其人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5 25 공자 늙은이를 편안하게 해주고, 벗에게는 미덥게 하고 젊은이를 감싸주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老者 安之 朋友 信之 少者 懷之
5 26 공자 자신의 허물을 보고 진심으로 자책하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5 27 공자 배우는 것 좋아함 Emotion 긍정 十室之邑 必有忠信 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6 9 공자 안회 어짊 Emotion 긍정 子 曰 賢哉 回也
6 11 공자 군자다운 학자 좋아함 Affection 긍정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6 11 공자 소인 같은 학자 싫어함 Affection 부정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6 15 공자 도를 따르는 것 기쁨 Affection 긍정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6 15 공자 도를 따르지 않는 것 슬픔 Affection 부정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6 16 공자 문채와 질박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것 군자와 같음 Affection 긍정 文質 彬彬 然後 君子
6 17 공자 정직하지 않음 화남 Affection 부정 人之生也 直 罔之生也 幸而免
6 27 공자 중용의 덕을 실천하는 이가 적은 것 슬픔 Affection 부정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 久矣
6 28 공자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어 많은 사람을 구제하는 것 좋아함 Affection 긍정 如有博施於民 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 曰 何事於仁 必也聖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