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AnalectsAndSuperiorma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편찬 데이터)
(편찬 데이터)
11번째 줄: 11번째 줄:
 
! 구절 || 편 || 장 || 인 || 의 || 예 || 지 || 계층성 함유  
 
! 구절 || 편 || 장 || 인 || 의 || 예 || 지 || 계층성 함유  
 
|-
 
|-
| 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학이편  || 1장 || X ||X || O ||O || X'
+
| 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학이편  || 1장 || X ||X || O ||O || X
 
|-
 
|-
|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 ||학이편|| 8장 ||X ||X ||O ||O ||X'
+
|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 ||학이편|| 8장 ||X ||X ||O ||O ||X
 
|-
 
|-
|君子周而不比,小人比而不周 ||위정편|| 14장 || X'|| O ||X ||X|| X'
+
|君子周而不比,小人比而不周 ||위정편|| 14장 || X|| O ||X ||X|| X
 
|-
 
|-
 
|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이인편 ||11장|| O'|| O ||X|| X|| X
 
|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이인편 ||11장|| O'|| O ||X|| X|| X
 
|-
 
|-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 ||공야장편 ||3장 ||O|| O ||O ||O|| X'
+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 ||공야장편 ||3장 ||O|| O ||O ||O|| X
 
|-
 
|-
 
|吾聞之也,君子周急不繼富. ||옹야편 ||3장|| O ||O|| X|| X ||O
 
|吾聞之也,君子周急不繼富. ||옹야편 ||3장|| O ||O|| X|| X ||O
 
|-
 
|-
|何為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陷也;可欺也,不可罔也. ||옹야편|| 24장|| O|| X ||X|| O|| O'
+
|何為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陷也;可欺也,不可罔也. ||옹야편|| 24장|| O|| X ||X|| O|| O
 
|-
 
|-
|吾少也賤,故多能鄙事。君子多乎哉?不多也. ||자한편|| 6장 ||X ||X ||O ||X|| O'
+
|吾少也賤,故多能鄙事。君子多乎哉?不多也. ||자한편|| 6장 ||X ||X ||O ||X|| O
 
|-
 
|-
|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위영공편|| 20장 ||X' ||X ||O ||O|| O'
+
|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위영공편|| 20장 ||X' ||X ||O ||O|| O
 
|-
 
|-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위영공편|| 33장 ||X' ||X|| X ||O ||O
+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위영공편|| 33장 ||X ||X|| X ||O ||O

2020년 9월 30일 (수) 10:27 판

탐구의 목적

“‘君子’는 『논어』에서 빈번하게 언급되는 중요한 개념어 가운데 하나이다. 해당 표현은 덕을 갖춘 이상적 인물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君主 즉 위정자로서의 현실적 지위를 가리키기도 한다. 해당 개념어의 구체적 발화 맥락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仁, 義, 禮, 智 등의 여타 개념어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편찬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논어』에서 언급되는 ‘君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탐구의 대상

탐구의 방법

편찬 데이터

구절 계층성 함유
人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 학이편 1장 X X O O X
君子不重則不威,學則不固. 학이편 8장 X X O O X
君子周而不比,小人比而不周 위정편 14장 X O X X X
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이인편 11장 O' O X X X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 공야장편 3장 O O O O X
吾聞之也,君子周急不繼富. 옹야편 3장 O O X X O
何為其然也?君子可逝也,不可陷也;可欺也,不可罔也. 옹야편 24장 O X X O O
吾少也賤,故多能鄙事。君子多乎哉?不多也. 자한편 6장 X X O X O
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위영공편 20장 X' X O O O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위영공편 33장 X X X O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