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EmotionAndAffectFromAnalect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편찬 데이터)
(편찬 데이터)
8번째 줄: 8번째 줄: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sortable 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ample Data
 
|+ Sample Data
! 편 || 장 || 인물 || 대상 || 감정
+
! 편 || 장 || 인물 || 대상 || 감정 || 정동과 정서 || 표현
 
|-
 
|-
| 1 || 1 || 공자 ||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 기쁨
+
| 1 || 1 || 공자 ||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 기쁨 ||
 
|-
 
|-
 
| 1 || 5 || 공자 || 사람 || 사랑
 
| 1 || 5 || 공자 || 사람 || 사랑
32번째 줄: 32번째 줄:
 
| 2 || 20 || 공자 || 백성 || 효도와 사랑
 
| 2 || 20 || 공자 || 백성 || 효도와 사랑
 
|-
 
|-
| 3 || 4 || 공자 || 임방의 질문 || 기쁨
 
|-
 
| 3 || 8 || 공자 || 자하의 깨달음 || 기쁨
 
|-
 
| 3 || 17 || 공자 || 예 || 아까움
 
|-
 
| 3 || 21 || 재아 || 백성 || 전율
 
|-
 
| 3 || 24 || 의땅의 국경을 지키는 사람 || 공자의 벼슬 잃음 || 걱정
 
|-
 
| 3 || 25 || 공자 || 순 임금의 음악인 소 || 좋음
 
|-
 
| 3 || 25 || 공자 || 무 왕의 음악인 무 || 좋지 않음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기쁨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두려움
 
|-
 
| 5 || 1 || 공자 || 공야장 || 사위 삼을 만함
 
|-
 
| 5 || 2 || 공자 || 자천 || 군자다움
 
|-
 
| 5 || 5 || 공자 || 칠조개 || 기뻐함
 
|-
 
| 5 || 6 || 자로 || 공자의 말 || 기뻐함
 
|-
 
| 5 || 13 || 자로 || 좋은 말을 듣고 실행하지 못하였을 때, 좋은 말을 또 다시 듣는 것 || 두려움
 
|-
 
| 5 || 15 || 공자 || 자산 || 군자의 도를 갖춤
 
|-
 
| 5 || 16 || 공자 || 안평중 || 공경
 
|-
 
| 5 || 21 || 공자 || 진나라의 문인이 정치에 소략한 것 || 안타까움
 
|-
 
| 5 || 24 || 공자 || 좌구명 || 동의
 
|-
 
| 5 || 24 || 공자 || 듣기 좋은 말만 하고 지나치게 공손한 것 || 부끄러움
 
|-
 
| 5 || 24 || 공자 || 원망하면서도 그 사람과 사귀는 것 || 부끄러움
 
|-
 
| 6 || 9 || 공자 || 안회 || 어짊
 
|-
 
| 6 || 26 || 자로 || 공자가 남자를 만남 || 기뻐하지 않음
 
|-
 
| 7 || 1 || 공자 || 옛것을 전술하기만 하고 창작하지 않으며 옛것을 믿는 것 || 좋아함
 
|-
 
| 7 || 2 || 공자 || 배우기, 남을 가르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 || 싫어하지 않음
 
|-
 
| 7 || 3 || 공자 || 덕을 닦지 못하는 것과 학문을 강마하지 못하는 것과 의를 듣고도 옮겨가지 못하는 것과 불선을 고치지 못하는 것 || 걱정거리
 
|-
 
| 7 || 4 || 공자 || 한가로이 계실 때 || 느긋, 온화함
 
|-
 
| 7 || 15 || 공자 ||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발배개를 베고 눕는 것 || 즐거움
 
|-
 
| 7 || 15 || 공자 || 의롭지 못하면서 부귀함 || 뜬구름과 같음
 
|-
 
| 7 || 19 || 공자 || 옛것 || 좋아함
 
|-
 
| 7 || 33 || 공자 || 인과 도를 행하는 것 || 싫어하지 않음
 
|-
 
| 7 || 36 || 공자 || 소인(小人) || 늘 근심함
 
|-
 
| 8 || 3 || 증자 || 죽음에 임한 상황 || 근심을 면하게 됨
 
|-
 
| 8 || 4 || 증자 || 새가 죽을 때 울음소리 || 슬픔
 
|-
 
| 8 || 4 || 증자 || 사람이 죽을 때 그 말 || 착함
 
|-
 
| 8 || 13 || 공자 || 배우기 || 좋아함
 
|-
 
| 8 || 17 || 공자 || 배움을 잃는 것 || 두려움
 
|-
 
| 9 || 4 || 공자 || 공자에게 없는 네 가지 마음 || 기필함, 집착함, 사사로운 뜻, 이기심
 
|-
 
| 9 || 20 || 공자 || 안연을 평하며 || 애석함
 
|-
 
| 9 || 26 || 자로 || 공자의 말 '값싼 해진 솜옷을 입고서 값비싼 갖옷을 입은 자와 같이 서있을 때' || 부끄러워하지않음
 
|-
 
| 9 || 26 || 자로 || 자신의 능함 || 기뻐함
 
|-
 
| 9 || 28 || 공자 || 지혜로운 자 || 미혹되지 않음
 
|-
 
| 9 || 28 || 공자 || 인한 자 || 근심하지 않음
 
|-
 
| 9 || 28 || 공자 || 용맹한 자 || 두려워하지 않음
 
|-
 
| 10 || 3 || 공자 || 국빈을 접대함 || 조심스러움
 
|-
 
| 10 || 4 || 공자 || 임금이 계시던 자리를 지남 || 조심스러움
 
|-
 
| 10 || 5 || 공자 || 옥규(玉圭)인 명규(命圭)를 잡을 때 || 조심스러움
 
|-
 
| 10 || 11 || 공자 || 계강자가 보낸 약(藥)의 성분을 알지 못함 || 조심스러움
 
|-
 
| 10 || 12 || 공자 || 마구간이 불 타자 사람에 대해 || 걱정
 
|-
 
| 11 || 22 || 공자 || 광 땅에서 두려운 일을 당하고 안연이 뒤쳐져 있었을 때 안연의 신변에 대해 || 걱정
 
|-
 
| 12 || 5 || 사마우 || 형제가 없음 || 걱정
 
|-
 
| 10 || 4 || 공자 || 궁궐의 당(堂)에서 내려옴 || 화평함
 
|-
 
| 11 || 25 || 공자 || 제자 점의 기발한 답변에 대해 || 기뻐함
 
|-
 
| 12 || 21 || 공자 || 제자 번지의 좋은 질문에 대해 || 기뻐함
 
|-
 
| 11 || 8 || 공자 || 제자 안연의 죽음 || 슬퍼함
 
|-
 
| 11 || 25 || 공자 || 제자 자로의 겸손하지 않고 경솔한 발언에 대해 || 비웃음
 
|-
 
| 10 || 8 || 공자 || 밥이 정(精)한 것, 회를 가늘게 썬 것 || 싫어하지 않음
 
|-
 
| 10 || 8 || 공자 || 쉰 밥, 상한 생선, 부패한 고기, 빛깔이 나쁜 것, 냄새가 나쁜 것, 요리를 잘못한 것, 제철에 나지 않은 것, 바르게 자르지 않음 것, 제격에 맞는 장을 얻지 못함, 시장에서 산 술, 시장에서 산 포 || 싫어함
 
|-
 
| 10 || 8 || 공자 || 음식을 먹을 때 말함, 잠자리에 누웠을 때 말함 || 싫어함
 
|-
 
| 11 || 14 || 공자 || 조화롭지 않은 자로의 비파 소리 || 만족스럽지 않음
 
|-
 
| 11 || 16 || 공자 || 염유가 이미 부유한 계씨를 위해 세금을 많이 거두어 재산을 더 늘려줌 || 분노함
 
 
|}
 
|}

2020년 9월 30일 (수) 10:26 판

탐구의 목적

탐구의 대상

탐구의 방법

편찬 데이터

Sample Data
인물 대상 감정 정동과 정서 표현
1 1 공자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기쁨
1 5 공자 사람 사랑
1 6 공자 사람 사랑
1 7 자하 여색 좋아함
1 14 공자 학문 좋아함
1 16 공자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 걱정
2 3 공자 백성 부끄러워함
2 6 공자 자식 근심
2 18 공자 행실 후회
2 20 공자 백성 장엄
2 20 공자 백성 효도와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