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서 송남잡지

pattern
최원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2월 15일 (목) 07:50 판 (유서(類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학(家學)

임천(林川) 조(趙) 가학(家學): 졸수재 조성기부터

아무리 작은 마을에도 인재는 있다

김만중 vs 조성기

백탑파(白塔波)

백탑파 데이터

교육의 실학

실학사상과 교육

실학의 전개

유서(類書)

조선 후기 유서(類書)와 서학(西學)―『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유서(類書)는 단편적인 지식들을 정리하는 수준을 넘어 개별적 지식들에범주를 부여해 분류하고 평가하려는 능동적인 지식 재배치의 결과물이다. 당연히 지식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사회의 변화나 지적 조건의 변화는 지식의 정렬과 재배치, 위상이나 범주의 변경 등의 결과로 이어진다. 그런 맥락에서 유서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 시대, 한 사회 지식장의 표현형으로서, 이를 통해 시대의지적 조건과 지적 지향이 바뀌는 분기를 확인할 수 있다.

교육서 송남잡지: 분류, 어원, ‘아하! 순간’, 정체성

참고서 송남잡지

박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