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개화기 과목별 교사일람

pattern
최원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10일 (수) 17:13 판 (지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경

  • 전덕기

영어

국어

  • 주시경: 이화학당·흥화학교·기호학교·융희학교·중앙학교·휘문의숙·배재학당 등에서 강의
  • 남궁 억: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배화학당(培花學堂)의 한글, 역사, 가정 교사

국사

  • 남궁 억: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배화학당(培花學堂)의 한글, 역사, 가정 교사

세계사

지리

  • 유옥겸
  • 문일평: 평양의 대성학교, 의주의 양실학교, 서울의 경신학교, 박달학원, 부인 김씨를 정신여학교로 보내 신교육을 받게 했다. 그는 서울에 있을 때 경신학교 교장이었던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학감 김규식과 교류했고 최남선이 설립한 광문회와 상동교회 내의 상동청년회에서 활동했는데 최남선은 상동청년회에서 역사를 가르쳤고 문일평은 지리를 가르쳤다. 아오야마학원 중학부에 창강생으로 입학했다. 미사노리 학교에 입학했는데 이 곳에서 홍명희와 이광수 등을 만났다. 이후 일본어가 익숙해진 문일평은 1907년 9월 메이지학원 중학부에 편입했으며 서북 지방 출신들이 주도한 '태극학회'에 가입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1912년 가을 와세다 대학 정치경제과에 진학하여 1학기 동안 공부하면서 김성수, 안재홍, 송진우 등과 교유함. 문일평은 상하이와 난징에서 조소앙, 홍명희, 정인보 등과 함께 기숙하면서 중국신문사 대공화보(大共和報)에서 사원으로 근무하는 동시에 신규식이 설립한 동제사(同濟社)라는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했다.문일평은 상하이에서 중국 혁명당 지도자 및 청년 외교관들과 교유 관계를 맺었고 박은식, 신채호, 정인보, 홍명희 등과 교류함.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하자 문일평은 3월 8일 오후 안동교회의 김백원(金百源) 목사를 만나 독립 문제에 관해 논의한 뒤 기미독립선언서의 후속으로서 또 하나의 문서를 작성하기로 했다. 3월 11일 오전 작성된 문서를 김백원에게 보낸 문일평은 3월 12일 오전 서린동의 한 중국 음식점에서 김백원 목사, 승동교회의 차상진(車相晋) 목사, 조형균(趙衡均), 문성호(文成鎬), 김극선, 백관형(白觀亨) 등과 함께 논의했다. 3월 23일 오후 문일평은 '김백원과 차상진 등 12인'의 애원서(哀願書)를 발표했다. 서울 중등학교, 개성 송도중학교, 경성여자상업학교 등에서 교사로 근무하다가 1925년 8월 역사 교사 생활을 청산함.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1932년 8월까지 임시 교사로 근무함.

문일평은 일본 식민학자들이 설립한 청구학회에 참여했다가 1932년 탈퇴했고 1934년 5월 이병도 등이 설립한 식민사관 성향의 진단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그가 왜 이런 행보를 보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현재까지 한국 역사학계에서 논쟁거리로 거론되고 있다.-->이만규와 비슷. 현채와도 비슷. 반일에서 일본쪽으로 기운 사람들.

세계지리

수학

과학

  • 이만규

박물

경제

체육

가정

  • 남궁 억: 1910년(융희 4년) 10월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되자 배화학당(培花學堂)의 한글, 역사, 가정 교사

미술

음악

윤리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실학

행정

  • 최광옥
  • 여준: 신흥무관학교 교장
  • 여병현: 서울 YMCA(1903.10.28), 캐나다 선교사 스코필드(Francis W. Schofield)
  • 덕원부사 정현석(鄭顯奭): 원산학사, 『고종실록』권20, 20년 10월 14일(신유), 1883년 8월에 학교 설립을 정부에 보고하여 정식으로 승인
  • 이용익: 보성학교(현재의 고려대)(1905)
  • 안창호: 대성학교를(1907-1912년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폐교)
  • 이승훈: 강명의숙(講明義塾), 오산학교(지금의 오산중, 고등학교)
  • 차미리사: 배화여학교 교사 및 기숙사 사감으로 재직, 조선여자교육협회(1920), 순회여자강연단(1921), 종교교회, 안창호, 양주삼, 상하이, 쑤저우[蘇州]에 있는 버지니아여학교, 캔자스(Kansas) 주의 더스칼대학 신학과를 졸업하고, 1917년 미국 선교회에서 한국으로 파견하는 선교사 8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귀국. 3.1운동 비밀연락책, 1934년 2월 안국동에 재단법인 근화학원(=덕성학원), 1950년 덕성여자초급대학(현재의 덕성여자대학교)을 설립하였고, 그 뒤 가톨릭으로 개종.
  • 민영환: 흥화학교(1898년 11월 5일-1911), 심상과(尋常科)·특별과·양지과(量地科)로 나누고, 영어·일어·측량술을 가르쳤다. 설립 초기 주·야학 과정을 개설하고, 입학시험을 통해 국·한문 해득자(解得者)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였다. 초등교육보다는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영어, 산술, 지지, 역사, 작문, 토론, 체조 등을 교육하였다.
  • 안창호: (1899) 평안남도 강서(江西)에 세운 초등과정의 학교. (1907) 대성학교를 설립하여 ‘점진’적으로 ‘대성’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뜻을 표현하였다. 안창호_미주한인사이트
  • 남궁 억: 현산학교(1907.7),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 원장(1912~), 모곡학교(1919.9)
  • 김규식: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초대간사 겸 청년회 학관 교사, YMCA 간사, 교사가 됐다. 그 뒤 청년회학관 학감


  • 핼리팩스(영국): 육영공원 교감
  • 허치슨(Hutchison)(영국): 육영공원 인계(1894) 관립한성외국어학교가 됨.
  • 메스트르(Maistre) 신부: 배론신학당(1855),(제천), 1861년에 성요셉 신학교라는 명칭을 사용, 신부(천주교 사제)양성을 목적, 한문, 라틴어, 수사학 등의 언어, 역사, 지리, 동식물학, 의학, 천주교 교리를 포함한 철학과 신학, 성가를 위한 음악을 가르쳤다. 1866년에 병인박해로 교장신부가 체포되어 순교됨에 따라 폐쇄되었다. 그 이후로 1887년에 용산신학교가 설립되었고 이 학교는 지금의 가톨릭대 신학부와 성신고등학교이다.
  • 아펜젤러(미국), (북감리교): 배재학당(1885)(지금의 배재중, 고, 대학)을 설립, 한문, 영어, 쉐필드의 만국역사 등을 가르쳤고, 본과는 영어과, 한문과, 지리과(지금의 대학 학과).
  • 스크랜튼(Scranton)(미국): 이화학당(1886)(지금의 이화여대), 언문의 읽기, 쓰기, 편지쓰기, 영어와 재봉, 침공, 수예 가르쳤다.
  • 언더우드: 언더우드학당(=경신학교)(지금의 경신고)
  • 알렌: 광혜원(=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 애니 엘러스 벙커(Dr. Annie Ellers Bunker)(미국 북장로회): 1887 서울 정동(貞洞), 1895년 현재의 학교가 있는 연지동으로 교사(校舍)를 옮기고 연동여학교(蓮洞女學校)라 칭하였다. 1903년 연동여자중학교라 개칭하였다가, 1909년 구한국(舊韓國) 학부(學部)로부터 인가를 받아 사립정신여학교로 또 다시 개칭하였다. 가장 영향력이 컸던 교사로는 신(辛)마리아·김마리아·딘(Miss lillian Dean)·겐소(Mrs, Mable Genso)·김원근(金瑗根) 등이다.
  • 길맹세(吉孟世)(프랑스인): (1897), 우무학당(郵務學堂) 기술 주임
  • 밀윤사(密倫士)(덴마크): (1897), 전무학당(電務學堂) 기술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