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0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三十日,過豐潤縣,是日陰,早發行至漢水,一名還鄉河,下流入梁河. 諺傅唐太宗征遼還時所名,又過登雲門,至豐潤縣城西門,門之重城內,有火神廟,入其城,過武安王廟、騰霄門、繡衣門,復出城東門,門之楣刻書‘興州前衛,門外有在城總鋪,鋪之東有東關遞運所,所有官員姓名田能也,鬚眉皓白,頗示款待之意,請藏吏鄭文宗,速討車輛,以送臣等,文宗啡然怒撥田能之巔,其大無官衙上下之節類如此,縣有鴉鵑、靈應二山在西北,陳宮山在北,崖兒口山在東北,馬頭、明月、腰帶三山在東,唯鴉鵑近城。臣等又過林城鋪,至義豐驛. | 三十日,過豐潤縣,是日陰,早發行至漢水,一名還鄉河,下流入梁河. 諺傅唐太宗征遼還時所名,又過登雲門,至豐潤縣城西門,門之重城內,有火神廟,入其城,過武安王廟、騰霄門、繡衣門,復出城東門,門之楣刻書‘興州前衛,門外有在城總鋪,鋪之東有東關遞運所,所有官員姓名田能也,鬚眉皓白,頗示款待之意,請藏吏鄭文宗,速討車輛,以送臣等,文宗啡然怒撥田能之巔,其大無官衙上下之節類如此,縣有鴉鵑、靈應二山在西北,陳宮山在北,崖兒口山在東北,馬頭、明月、腰帶三山在東,唯鴉鵑近城。臣等又過林城鋪,至義豐驛. | ||
+ | |||
+ | ---- | ||
+ | |||
풍윤현(豐潤縣)<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mode=&page=&fcs=&fcsd=&cf=&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4518_006&aa15no=006&aa20no=24518_006_0007&gnd1=&gnd2=&keywords=&rowcount=10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ref><ref>[https://wkiss.wikim.re.kr/m/board/publication/download/16/1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문학적이해, 세계김치연구소]</ref>을 지났습니다. | 풍윤현(豐潤縣)<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mode=&page=&fcs=&fcsd=&cf=&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4518_006&aa15no=006&aa20no=24518_006_0007&gnd1=&gnd2=&keywords=&rowcount=10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ref><ref>[https://wkiss.wikim.re.kr/m/board/publication/download/16/1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문학적이해, 세계김치연구소]</ref>을 지났습니다. | ||
7번째 줄: | 10번째 줄: | ||
일찍 출발하여 환향하(還鄕河)<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mode=&page=&fcs=&fcsd=&cf=&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4518_006&aa15no=006&aa20no=24518_006_0006&gnd1=&gnd2=&keywords=&rowcount=10 ]</ref>라고도 하는 경수(硬水)에 이르렀는데 물길은 양하(梁河)로 흘러 들어갔습니다.<ref>[http://m.blog.daum.net/manjumongol/668?np_nil_b=-1 고구려 오골성을 찾았다.]</ref> | 일찍 출발하여 환향하(還鄕河)<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mode=&page=&fcs=&fcsd=&cf=&cd=&gb=&aa10up=&aa10no=kh2_je_a_vsu_24518_006&aa15no=006&aa20no=24518_006_0006&gnd1=&gnd2=&keywords=&rowcount=10 ]</ref>라고도 하는 경수(硬水)에 이르렀는데 물길은 양하(梁河)로 흘러 들어갔습니다.<ref>[http://m.blog.daum.net/manjumongol/668?np_nil_b=-1 고구려 오골성을 찾았다.]</ref> | ||
− |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당태종(唐太宗) | + |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당태종(唐太宗)이 요동을 정벌하고 돌아올 때에 지은 이름이라고 하였습니다. |
또 등운문(登雲門)을 지나서 풍윤현성(豐潤縣城) 서문에 이르니 서문의 겹성의 안에 화신묘(火神廟)가 있었습니다. | 또 등운문(登雲門)을 지나서 풍윤현성(豐潤縣城) 서문에 이르니 서문의 겹성의 안에 화신묘(火神廟)가 있었습니다. | ||
− | 그 성으로 들어가 무안왕묘(武安王廟) | + | 그 성으로 들어가 무안왕묘(武安王廟), 등소문(__騰門), 수의문(繡衣門)을 지나서 다시 성의 동문으로 나오니, 동문의 문미(門__)에는 '홍주전둔위(興州前屯衛)'라고 새겨 있었습니다. |
동문 밖에 재성총포(在城總鋪)가 있고, 그 포의 동쪽에는 동관체운소(東關遞運所)가 있었습니다. | 동문 밖에 재성총포(在城總鋪)가 있고, 그 포의 동쪽에는 동관체운소(東關遞運所)가 있었습니다. | ||
− | 체운소에 있는 전능(田能)이라는 관원은 수염과 눈썹이 하얀 노인이었는데 자못 간곡히 대접하려는 뜻을 보이면서, 장타리(藏採吏) | + | <span style="color:red">체운소에 있는 전능(田能)이라는 관원은 수염과 눈썹이 하얀 노인이었는데 자못 간곡히 대접하려는 뜻을 보이면서, 장타리(藏採吏) 정문종(鄭文宗)을 꾸짖어 속히 수레를 준비하여 신 등을 보내게 하자 정문종은 발끈 성을 내며 전능의 수염을 뽑아 버렸습니다. </span> |
− | 관아에서 상하의 예절같은 것이 전혀 없는 것이 이와 같은 정도였습니다. | + | <span style="color:red">관아에서 상하의 예절같은 것이 전혀 없는 것이 이와 같은 정도였습니다. </span> |
풍윤현에는 아골산(__鴻山), 영응산(靈應山) 두 산이 서북쪽에 있고, 진궁산(陳宮山)이 북쪽에 있고, 애아구산(崖兒口山)<ref>[http://m.blog.daum.net/han0114/17050065?np_nil_b=-1 우즈베키스탄과 철문관]</ref>이 동북쪽에 있고, 마두산(馬頭山), 명월산(明月山), 요대산(腰帶山) 등이 동쪽에 있었는데, 아골산만이 성에 가까웠습니다. | 풍윤현에는 아골산(__鴻山), 영응산(靈應山) 두 산이 서북쪽에 있고, 진궁산(陳宮山)이 북쪽에 있고, 애아구산(崖兒口山)<ref>[http://m.blog.daum.net/han0114/17050065?np_nil_b=-1 우즈베키스탄과 철문관]</ref>이 동북쪽에 있고, 마두산(馬頭山), 명월산(明月山), 요대산(腰帶山) 등이 동쪽에 있었는데, 아골산만이 성에 가까웠습니다. | ||
− | 신 등은 또 임성포(林城鋪) | + | 신 등은 또 임성포(林城鋪)를 지나서 의풍역(義豐驛)에 이르렀습니다. |
+ | |||
+ | |||
+ | ---- | ||
+ | |||
30th Day. Passing Feng-jun County. This day was cloudy. | 30th Day. Passing Feng-jun County. This day was cloudy. | ||
[We went from the Keng River past Feng-jun County to I-feng Station.] | [We went from the Keng River past Feng-jun County to I-feng Station.] | ||
+ | |||
+ | |||
+ | ---- | ||
+ | |||
*기후 | *기후 | ||
38번째 줄: | 49번째 줄: | ||
*사회 | *사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열하일기에 나오는 환향하 참고 | * 열하일기에 나오는 환향하 참고 |
2020년 12월 10일 (목) 18:16 판
三十日,過豐潤縣,是日陰,早發行至漢水,一名還鄉河,下流入梁河. 諺傅唐太宗征遼還時所名,又過登雲門,至豐潤縣城西門,門之重城內,有火神廟,入其城,過武安王廟、騰霄門、繡衣門,復出城東門,門之楣刻書‘興州前衛,門外有在城總鋪,鋪之東有東關遞運所,所有官員姓名田能也,鬚眉皓白,頗示款待之意,請藏吏鄭文宗,速討車輛,以送臣等,文宗啡然怒撥田能之巔,其大無官衙上下之節類如此,縣有鴉鵑、靈應二山在西北,陳宮山在北,崖兒口山在東北,馬頭、明月、腰帶三山在東,唯鴉鵑近城。臣等又過林城鋪,至義豐驛.
이 날은 흐렸습니다.
일찍 출발하여 환향하(還鄕河)[3]라고도 하는 경수(硬水)에 이르렀는데 물길은 양하(梁河)로 흘러 들어갔습니다.[4]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당태종(唐太宗)이 요동을 정벌하고 돌아올 때에 지은 이름이라고 하였습니다.
또 등운문(登雲門)을 지나서 풍윤현성(豐潤縣城) 서문에 이르니 서문의 겹성의 안에 화신묘(火神廟)가 있었습니다.
그 성으로 들어가 무안왕묘(武安王廟), 등소문(__騰門), 수의문(繡衣門)을 지나서 다시 성의 동문으로 나오니, 동문의 문미(門__)에는 '홍주전둔위(興州前屯衛)'라고 새겨 있었습니다.
동문 밖에 재성총포(在城總鋪)가 있고, 그 포의 동쪽에는 동관체운소(東關遞運所)가 있었습니다.
체운소에 있는 전능(田能)이라는 관원은 수염과 눈썹이 하얀 노인이었는데 자못 간곡히 대접하려는 뜻을 보이면서, 장타리(藏採吏) 정문종(鄭文宗)을 꾸짖어 속히 수레를 준비하여 신 등을 보내게 하자 정문종은 발끈 성을 내며 전능의 수염을 뽑아 버렸습니다.
관아에서 상하의 예절같은 것이 전혀 없는 것이 이와 같은 정도였습니다.
풍윤현에는 아골산(__鴻山), 영응산(靈應山) 두 산이 서북쪽에 있고, 진궁산(陳宮山)이 북쪽에 있고, 애아구산(崖兒口山)[5]이 동북쪽에 있고, 마두산(馬頭山), 명월산(明月山), 요대산(腰帶山) 등이 동쪽에 있었는데, 아골산만이 성에 가까웠습니다.
신 등은 또 임성포(林城鋪)를 지나서 의풍역(義豐驛)에 이르렀습니다.
30th Day. Passing Feng-jun County. This day was cloudy.
[We went from the Keng River past Feng-jun County to I-feng Station.]
- 기후
- 지명
- 언어(어원)
- 역사
- 지리
- 유학(묘)
- 인명
- 인물
- 유학
- 사회
- 열하일기에 나오는 환향하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