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숭녕

North Korea Humanities

김지선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7월 19일 (금) 23:11 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김웅희(JBNU2024)가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숭녕(李崇寧)
이숭녕.jpg
출처 : 이숭녕 국어학자online, 온라인추모소.
 
한글명 이숭녕 한자명 李崇寧 영문명 Lee, Sung Nyong 가나명 이칭 심악(心岳)
성별 남성 생년 1908년 몰년 1994년 출신지 한성부 남서 대평방 수하동계 수하동 전공 조선어문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경성제대 법문학부 조선어학과를 졸업한뒤 평양사범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8.15 광복과 함께 서울대학교기관에서 국어학을 강의하면서 우리나라 국어학의 기초를 닦았다.[1]음운론, 어휘, 의미론, 문법론, 어학사등 국어학의 전 분야에연구영역을 확대해 오면서, 1백30여편의 연구논문과 20여권의 저술을 냈다.[2] 그는 학문에 대한 공로로 서울시문화상(1956), 3.1문화상(1962), 대한민국문화포장(1962), 국민훈장동백장(1970), 국민훈장모란장(1973년)등을 수상했다.[3]


생애


출생 및 어린시절

1908년 6월 7일 한성부 남서 대평방 수하동계 수하동(現 서울특별시 중구 수하동)의 외가에서 아버지 이병관인물(李炳觀) 슬하 4남 4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4] 어려서 아버지로부터 한문을 배우고 보인학교(輔仁學校)와 매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가 경성제2고등보통학교로 전학해 1926년 졸업했다.[5]


대학 재학 시절

삼수 끝에 1928년 경성제국대학기관 예과 문과(B조)에 입학하여 1930년 수료했는데, 대학 예과 시절에는 허난설헌에 대한 논문을 졸업논문으로 제출하는 등 국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었고, 1930년 경성제국대학 본과 법문학부로 진학해 사학과를 전공으로 택하였으나, 재학 중 언어학자였던 고바야시 히데오의 영향으로 음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곧 문학과 조선어문학전공으로 전과하게 되었다.[6] 당시 전공 조교였던 조윤제(趙潤濟)와 이희승(李熙昇) 등의 동문들이 조직한 조선문학회단체에 가입하였고, 조선어문학회보(朝鮮語文學會報)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7] 1933년에 "조선어의 Hiatus현상 고찰"이라는 논문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8]


졸업 이후

1933년부터 평양사범학교 교유로 부임하여 1945년 8.15 광복 전까지 재직하면서, 국어학자로서 활동하였다.[9] 평양사범학교기관 재직 시절 1935년에 진단학회단체(震檀學會)에 입회하고 「진단학보(震壇學報)」 에 「어명잡고(魚名雜攷)」를 발표하는등 본격적인 학술활동을 시작하였다.[10]


광복 이후

1945년 10월 경성대학기관 예과 교수, 11월 법문학부 조교수로 발령받았으며, 경성대학이 서울대학교로 개편되면서 1946년 9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했다.[11]이후 1954년 4월 대한민국학술원기관 인문사회과학부 회원에 피선되었으며, 1956년 3월 서울대학교 대학원기관에서 「음운론연구」이라는 학위논문으로 국어국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2] 이후 1971년 2월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장에 취임했고, 1973년 8월 정년퇴임하면서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13]


정년 퇴임 이후

1973년 12월 한양대학교기관문리과대학장에 부임했고, 1974년 한양대학교 국학연구원이 출범하자 초대 연구원장에 취임해 1980년 5월까지 역임했다.[14] 1980년 1월에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기관 초대 대학원장에 취임했다.[15] 1981년 4월에는 대한민국 학술원 원로회원이 되었다.[16]건강을 위해 등산을 즐겼던 그는 1985년에는 한국산악회단체 회장으로 추대되었다.[17]1980년대 말부터 뇌간경색증으로 고생하다 1994년 2월 2일 서울 원자력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6세.[18]





연구


중세국어문법 (中世國語文法)

이숭녕이 15세기 국어 문법구조를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1961년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한 문법서.[19]이 책은 최초로 시도된 중세국어문법구조의 체계적 서술이다.[20]특히, 조사를 곡용요소로 처리하고 후치사를 독립된 품사로 인정한 것이 특징이다.[21] 이 책은 람스테트(Ramstedt, G.J.) 등 알타이문법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그 뒤의 국어문법사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22]


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

이숭녕이 음운론에 관해 서술하여 1949년에 간행한 학술서.[23]이 책의 중요한 내용은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의 규정에서 ‘·’음의 본질을 고찰하고 신숙주(申叔舟)를 비롯하여 고노(河野六郞)에 이르기까지 이미 발표된 ‘·’음에 대한 여러가지 설(說)을 개관, 비판하고 형태소(形態素, morpheme)내의 위치에 따른 ‘·’음의 변화와 움라우트현상을 통하여 ‘·’의 음가가 모음 ‘아·오’의 간음(間音)이며 ‘·’음은 17세기에 소실되었음을 밝힌 것이다[24].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서울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병관 Person: 이숭녕 A hasSon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경성제국대학 A graduates B
Person: 이숭녕 Group: 조선문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숭녕 Group: 진단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경성대학 A worksAt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대한민국학술원 A worksAt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A worksAt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한양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숭녕 Group: 한국산악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숭녕 Institution: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A worksAt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원로 국어학자/이숭녕씨 별세」, 『조선일보』, 1994.02.03. 01면, 『조선일보』online, 조선일보.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새국어생활 』, 26권, 4호, 2016.
이숭녕 (李崇寧)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숭녕online, 위키백과.
재봉틀의 국어방,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작성일: 2007년 09월 03일.
중세국어문법(中世國語文法)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석


  1. 원로 국어학자/이숭녕씨 별세」, 『조선일보』, 1994.02.03. 01면, 『조선일보』online, 조선일보.
  2. 원로 국어학자/이숭녕씨 별세」, 『조선일보』, 1994.02.03. 01면, 『조선일보』online, 조선일보.
  3. 원로 국어학자/이숭녕씨 별세」, 『조선일보』, 1994.02.03. 01면, 『조선일보』online, 조선일보.
  4.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새국어생활 』, 26권, 4호, 2016.
  5.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새국어생활 』, 26권, 4호, 2016.
  6.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새국어생활 』, 26권, 4호, 2016.
  7. 이숭녕 (李崇寧)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이숭녕 (李崇寧)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이병근, 「[현대 국어학의 개척자 이숭녕 선생], 『새국어생활 』, 26권, 4호, 2016.
  10. 이숭녕 (李崇寧)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이숭녕 (李崇寧)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이숭녕online, 위키백과.
  13. 이숭녕online, 위키백과.
  14. 재봉틀의 국어방,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작성일: 2007년 09월 03일.
  15. 재봉틀의 국어방,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작성일: 2007년 09월 03일.
  16. 재봉틀의 국어방,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작성일: 2007년 09월 03일.
  17. 재봉틀의 국어방, "국어학자 이숭녕(李崇寧)",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online, 작성일: 2007년 09월 03일.
  18. 원로 국어학자/이숭녕씨 별세」, 『조선일보』, 1994.02.03. 01면, 『조선일보』online, 조선일보.
  19. 중세국어문법(中世國語文法)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중세국어문법(中世國語文法)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 중세국어문법(中世國語文法)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2. 중세국어문법(中世國語文法)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3. 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4. 조선어음운론연구(朝鮮語音韻論硏究)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