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헌(SNU2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새 문서: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br/>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 한글명(한...)
 
5번째 줄: 5번째 줄: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 한글명(한자명)
+
|한글명= 김두헌(金斗憲)
|한글명=
+
|대표명= 김두헌
|한자명=
+
|한자명= 金斗憲
 
|영문명=
 
|영문명=
 
|가나명=
 
|가나명=
 
|이칭=
 
|이칭=
|성별=
+
|성별= 남성
|생년=
+
|생년= 1903년
|몰년=
+
|몰년= 1981년
|출신지=
+
|출신지= 전라남도 장흥
|전공=
+
|전공= 윤리학
 
}}
 
}}
 
{{인물항목
 
{{인물항목
|데이터={{FULLPAGENAMEE}}
+
|데이터=김두헌
 
}}
 
}}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해방 이후 『조선가족제도연구』 · 『현대의 가족』 등을 저술한 학자. 교육자.
 
}}
 
}}
  
 
=='''생애'''==
 
=='''생애'''==
 
----
 
----
==='''제목1'''===
+
==='''출생및 성장'''===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1903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출생했다. 1921년 {{TagInstitution|대구고등보통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29년 {{TagInstitution|도쿄제국대학}} 문학부 윤리학과를 졸업했다. 1929년 {{TagInstitution|이화여자전문학교}} 강사를 거쳐, 1930~1944년까지 {{TagInstitution|중앙불교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1934년 진단학회(震檀學會) 발기인으로 참여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8</ref>
 
}}
 
}}
  
==='''제목2'''===
+
==='''해방 이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해방 이후 진단학회 상임위원을 지냈고, 1945~1950년 동안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1950년 11월 문교부 고등교육국장, 1952년 전북대학교 총장, 1958년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1960~1972년 건국대학교 대학원장 및 1970년 윤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54년 학술원(學術院)의 종신회원이 되었다. 1969년 중국 원화학원[文化學院]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9028</ref>
 
}}
 
}}
  
==='''제목3'''===
+
==='''사망'''===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81년 10월 22일 사망했다.
 
}}
 
}}
  
==='''제목4'''===
 
{{글상자|
 
|내용=
 
}}
 
 
==='''제목5'''===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58번째 줄: 49번째 줄:
 
=='''연구'''==
 
=='''연구'''==
 
----
 
----
==='''제목1'''===
+
==='''<조선가족제도연구>'''===
{{글상자|
 
|내용=
 
}}
 
 
 
==='''제목2'''===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그의 학설은 인격완성주의・민족국가주의・자유민주주의・가치변증법・중도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국가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보수주의 유파에 속한다. 전공인 윤리학 외에 한국의 가족제도에 관심을 보여《조선가족제도연구》(1949), 《현대의 가족》(1975)와 같은 저서를 남겼다. 이 중 《한국가족제도연구》라는 제목으로 새로 출간된 《조선가족제도연구》는 《신동아》가 1985년에 선정한 한국의 100대 명저 가운데 사회학 분야에 포함되기도 했다.<ref>http://www.jhtoday.net/news/articleView.html?idxno=543</ref>
 
}}
 
}}
  
==='''제목3'''===
+
==='''교육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김두헌 박사는, 도쿄제대 졸업 후 귀국하여 교육계에 투신하며 이화여자전문학교, 혜화전문학교의 강사와 교수를 지냈는데, 혜화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일제 강점기 말기에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문화위원을 지내면서 학생들에게 학병으로 참전한 것을 독려하는 등 조선총독부의 전시 체제에 협조한 행적이 있다. 이로 인하여 김두헌 박사는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가운데 교육/학술 부문에 들어가 있다.<ref>http://www.jhtoday.net/news/articleView.html?idxno=543</ref>
 
}}
 
}}
  

2024년 6월 6일 (목) 18:18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김두헌
출처 :
 
한글명 김두헌(金斗憲) 한자명 金斗憲 영문명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03년년 몰년 1981년년 출신지 전라남도 장흥 전공 윤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조선가족제도연구』 · 『현대의 가족』 등을 저술한 학자. 교육자.


생애


출생및 성장

1903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출생했다. 1921년 대구고등보통학교기관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1929년 도쿄제국대학기관 문학부 윤리학과를 졸업했다. 1929년 이화여자전문학교기관 강사를 거쳐, 1930~1944년까지 중앙불교전문학교기관 교수로 재직했고, 1934년 진단학회(震檀學會) 발기인으로 참여했다.[1]


해방 이후

해방 이후 진단학회 상임위원을 지냈고, 1945~1950년 동안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1950년 11월 문교부 고등교육국장, 1952년 전북대학교 총장, 1958년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1960~1972년 건국대학교 대학원장 및 1970년 윤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54년 학술원(學術院)의 종신회원이 되었다. 1969년 중국 원화학원[文化學院]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2]


사망

1981년 10월 22일 사망했다.





연구


<조선가족제도연구>

그의 학설은 인격완성주의・민족국가주의・자유민주주의・가치변증법・중도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국가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보수주의 유파에 속한다. 전공인 윤리학 외에 한국의 가족제도에 관심을 보여《조선가족제도연구》(1949), 《현대의 가족》(1975)와 같은 저서를 남겼다. 이 중 《한국가족제도연구》라는 제목으로 새로 출간된 《조선가족제도연구》는 《신동아》가 1985년에 선정한 한국의 100대 명저 가운데 사회학 분야에 포함되기도 했다.[3]


교육계

김두헌 박사는, 도쿄제대 졸업 후 귀국하여 교육계에 투신하며 이화여자전문학교, 혜화전문학교의 강사와 교수를 지냈는데, 혜화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일제 강점기 말기에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문화위원을 지내면서 학생들에게 학병으로 참전한 것을 독려하는 등 조선총독부의 전시 체제에 협조한 행적이 있다. 이로 인하여 김두헌 박사는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가운데 교육/학술 부문에 들어가 있다.[4]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홍길동 Institution: ○○대학교 A worksAt B
Person: 홍길동 Group: ○○학회 A isMemberOf B



Timeline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