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령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3번째 줄: 3번째 줄: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 조령출.png
[[파일:조령출.png|섬네일]]
 
 
|사진출처= [https://munedong.com/808/wp-content/uploads/2021/04/image-43.png]
 
|사진출처= [https://munedong.com/808/wp-content/uploads/2021/04/image-43.png]
 
|대표명= 조령출(趙靈出)
 
|대표명= 조령출(趙靈出)
30번째 줄: 29번째 줄:
 
==='''유년기 및 청소년기'''===
 
==='''유년기 및 청소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출생했고, 4세 때 부모와 함께 서울로 이주하여 서당 수준의 보통학교를 다녔다. 1922년 부친이 별세하자 모친과 함께 함경도 안변 석왕사에 의탁하여, 석왕사 보통학교를 다녔다. 1924년 건봉사로 출가하여 ‘중련’(重連)이란 법명을 받았다. 1930년 건봉사 장학생으로 서울의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4685=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학중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光明日报社.</ref>
 
}}
 
}}
  
 
==='''일본 유학 시절'''===
 
==='''일본 유학 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5년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제2고등학원을 거쳐, 1938년 와세다대학 문학부(불문학 전공)에  1941년에 졸업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4685=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학중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光明日报社.</ref>  그는 유학 중에도 계속 대중가요 가사를 발표하였는데, 오케 음반, 포리돌, 콜롬비아, 태평 음반 등에 조명암(趙鳴岩), 김운탄(金雲灘), 이가실(李嘉實), 김다인(金茶人) 등의 필명을 두루 사용하며, 본격적인 대중가요 작사가로 활동하게 된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4685=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학중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光明日报社.</ref>
 
}}
 
}}
  
==='''일본 망명 생활'''===
+
==='''월북 생활'''===
{{글상자|
+
{{글상자|  
|내용=  
+
|내용= 그는 해방후 1948년에 월북하여 많은 활동들을 펼쳤다. 그는 해방 이후 좌익 진영인 조선연극건설본부 극작부 집행위원, 조선연극동맹 부위원장을 맡았고, 1946~1947년에는 각각 제1회, 제2회 ‘3·1기념 연극대회’ 참가작 「독립군」(나웅 연출), 「위대한 사랑」(안영일 연출)을 공연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4685=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 한국학중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光明日报社.</ref> 그는 1993년 사망할 때까지 국립예술극장, 조선작가동맹 작가, 국립영화문화창작사 주필, 국립민족예술극장 총장, 교육문화성 부상,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김일성상, 조국통일상 등을 받았다. <ref>조정훈, "[https://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117 '신라의 달밤' 월북작가 조령출.."민족이 아는 작가"]", 『북한소식』,  2016.04.05. <html><online style="color:purple">『통일뉴스』<sup>online</sup></online></html>, 통일뉴스.</ref>
 
}}
 
}}
  
==='''중국 항일 전쟁 및 국공 내전 시기'''===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페이지={{FULLPAGENAMEE}}
 
|페이지={{FULLPAGENAMEE}}
 
}}
 
}}
 
+
 
=='''연구'''==
 
=='''연구'''==
 
----
 
----

2024년 6월 13일 (목) 18:48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조령출(趙靈出)
조령출.png
출처 : [1]
 
한글명 조령출 한자명 趙靈出 영문명 Cho Ryongchul 가나명 이칭
성별 남성 생년 1913년 몰년 1993년 출신지 충청남도 아산 전공 문학(불문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중가요 작사가, 시인, 희곡작가로 활동한 조령출은 1948년 월북 이후 북조선연극동맹의 핵심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국립영화문학창작사 주필, 국립민족예술극장 총장, 교육문화성 부상, 조선문학예술총동맹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북한 문학예술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생애


유년기 및 청소년기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출생했고, 4세 때 부모와 함께 서울로 이주하여 서당 수준의 보통학교를 다녔다. 1922년 부친이 별세하자 모친과 함께 함경도 안변 석왕사에 의탁하여, 석왕사 보통학교를 다녔다. 1924년 건봉사로 출가하여 ‘중련’(重連)이란 법명을 받았다. 1930년 건봉사 장학생으로 서울의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1]


일본 유학 시절

1935년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제2고등학원을 거쳐, 1938년 와세다대학 문학부(불문학 전공)에 1941년에 졸업했다.[2] 그는 유학 중에도 계속 대중가요 가사를 발표하였는데, 오케 음반, 포리돌, 콜롬비아, 태평 음반 등에 조명암(趙鳴岩), 김운탄(金雲灘), 이가실(李嘉實), 김다인(金茶人) 등의 필명을 두루 사용하며, 본격적인 대중가요 작사가로 활동하게 된다..[3]


월북 생활

그는 해방후 1948년에 월북하여 많은 활동들을 펼쳤다. 그는 해방 이후 좌익 진영인 조선연극건설본부 극작부 집행위원, 조선연극동맹 부위원장을 맡았고, 1946~1947년에는 각각 제1회, 제2회 ‘3·1기념 연극대회’ 참가작 「독립군」(나웅 연출), 「위대한 사랑」(안영일 연출)을 공연했다.[4] 그는 1993년 사망할 때까지 국립예술극장, 조선작가동맹 작가, 국립영화문화창작사 주필, 국립민족예술극장 총장, 교육문화성 부상,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김일성상, 조국통일상 등을 받았다. [5]




연구


소설 『목양애화(牧羊哀話)』


창조사(創造社) 설립


『구망일보(救亡日報)』 발행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光明日报社.
  2.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光明日报社.
  3.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光明日报社.
  4. 조명암 (趙鳴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光明日报社.
  5. 조정훈, "'신라의 달밤' 월북작가 조령출.."민족이 아는 작가"", 『북한소식』, 2016.04.05. 『통일뉴스』online, 통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