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국사대사전 (國史大事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최성수(JBNU2024)]]가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61번째 줄: 64번째 줄:
 
}}
 
}}
  
==='''한국고대사의 연구 (韓國古代史의 硏究)'''===
+
==='''한국고대사의 연구 (韓國古代史의 硏究)<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039 한국고대사의 연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글상자|
 
{{글상자|
 
|내용=1971년 이홍직의 일주기에 맞추어 이홍직이 저술한 한국고대사에 대한 논문을 모아 엮은 학술서이다. 해당 연구자료에는 서설 외에 22편의 논문이 삼국 이전·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편으로 체재를 갖추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설은 저자의 문학박사 학위논문인 「삼국시대사의 문헌학적 연구」의 서설부분에 해당한다. 삼국 이전편은 단군신화와 여명기(黎明期)의 한일관계 및 그에 얽힌 전설을 다룬 논문 등 2편으로 되어 있다.
 
|내용=1971년 이홍직의 일주기에 맞추어 이홍직이 저술한 한국고대사에 대한 논문을 모아 엮은 학술서이다. 해당 연구자료에는 서설 외에 22편의 논문이 삼국 이전·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편으로 체재를 갖추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설은 저자의 문학박사 학위논문인 「삼국시대사의 문헌학적 연구」의 서설부분에 해당한다. 삼국 이전편은 단군신화와 여명기(黎明期)의 한일관계 및 그에 얽힌 전설을 다룬 논문 등 2편으로 되어 있다.
148번째 줄: 151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7월 31일 (수) 00:00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최성수(JBNU2024)가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홍직(李弘稙)
이홍직.jpg
출처 : 고려대학교 역사학과online, 고려대학교
 
한글명 이홍직 한자명 李弘稙 영문명 Lee Hong Jik 가나명 이칭 남운(南雲)
성별 생년 1909년 몰년 1970년 출신지 경기도 이천 전공 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한국고문화논고」, 「국사대사전」, 「한국고대사의 연구」 등을 저술한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다.[1]


생애


출생 및 성장

1909년 경기도 이천에서 이승대(李承大)인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 연천의 삭령공립보통학교기관에 입학하였다가 서울로 전학하였다.[3] 1919 부모를 따라 일본에 가서 소학교를 마쳤으며, 1927년 동경부립제일중학교기관, 1931년 우라와고등학교(浦和高等學校)기관를 졸업하고 1935년에 동경제국대학기관 문학부 국사학과를 졸업하면서 문학사학위를 받았다.[4]


광복 전

1935년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한 이후, 1936년에 귀국하여 이왕직기관[5]국조보감 찬집위원회 촉탁이 되었으며 이왕직도서관 주임을 맡았다.[6] 그 뒤 1945년 광복이 되던 해까지 계속 이왕직에 재직하면서 연희전문학교기관[7]와 명륜전문학교기관 강사로 출강하였다.[8]


광복 후

1945년 12월부터 1951년 3월까지 국립박물관기관 박물감과 진열과장을 거쳤으며, 이 기간 동안에도 여러 대학에 강사로 출강하였다.[9] 1951년 해군본부 전사편찬실 편수관을 거쳐[10] 1953년에는 연희대학교기관 문과대학의 사학과 교수가 되었다.[11] 1958년에는 고려대학교기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겼으며, 그 뒤 중앙도서관장과 박물관장 등의 교내 보직을 역임하였다.[12] 1969년에는 고려대학교에서「삼국시대사의 문헌학적 연구」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수직에 재직하면서 국보고적 · 명승 · 천연기념물보존회단체 제1부위원, 국사편찬위원회단체 위원, 고등고시위원, 학술원 인문과학부 제3분과회위원, 한일회담 대표, 문화재위원회단체 제1분과위원회위원장 등 사회 각 분야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3]


사망

1970년에 사망하였다.[14]





연구


국사대사전 (國史大事典)[15]

1963년 이홍직이 편찬한 국사 사전으로 상, 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복 이후 한국사에 관한 사전 편찬 작업은 몇 차례에 걸쳐 시도되었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고 말았다. 1958년에는 한국사학회단체에서 연구회지 『사학연구』의 부록에 <국사술어해설>을 연재하기 시작하였으나, 제8호 이후 중단되어 '가’자 항목도 채 마치지 못하였다. 또한, 1959년 백낙준(白樂濬)의 후원으로 사회과학사서간행회가 『한국사사전』을 소사전 형식으로 출간하였다. 이에 이홍직은 단독으로 출판사 측의 후원을 통해 국사대사전을 편찬하였다. 사전에는 일반사에 해당하는 정치·제도·외교 등 3만에 가까운 항목이 수록되어 있으며, 한국사와 관계가 깊은 중국 역대의 각 왕조 및 중국 서적 등도 항목으로 담고 있다.


한국고대사의 연구 (韓國古代史의 硏究)[16]

1971년 이홍직의 일주기에 맞추어 이홍직이 저술한 한국고대사에 대한 논문을 모아 엮은 학술서이다. 해당 연구자료에는 서설 외에 22편의 논문이 삼국 이전·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편으로 체재를 갖추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설은 저자의 문학박사 학위논문인 「삼국시대사의 문헌학적 연구」의 서설부분에 해당한다. 삼국 이전편은 단군신화와 여명기(黎明期)의 한일관계 및 그에 얽힌 전설을 다룬 논문 등 2편으로 되어 있다.

고구려편에는 고구려의 흥기,『일본서기(日本書紀)』에 실려 있는 고구려관계 기사,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되어 있는 고구려인 등을 다룬 논문 6편이 실려 있다. 백제편은 백제의 건국설화, 백제 인명(人名)을 성씨별로 정리한 논문 등 4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라편에는 신라의 발흥기, 경주 서봉총(瑞鳳塚)에서 나온 은제합우(銀製盒杅) 등을 다룬 논문 4편이 실려 있다. 통일신라편은 일본 쇼소원(正倉院)에서 발견된 「신라민정문서(新羅民政文書)」를 검토한 논문, 신라 말기의 전란과 승군(僧軍) 다룬 논문 등 6편으로 되어 있다.

논문의 주제에서 알 수 있듯이,『삼국사기』·『삼국유사』·『일본서기』, 그밖에 중국쪽의 여러 역사서에 대한 문헌학적 검토에 일차적인 중점이 놓여 있으며, 광복 후 세상에 알려지게 된 고고미술자료 등을 다루고 있다.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승대 Person: 이홍직 A hasSon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동경부립제일중학교 A graduates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우라와고등학교 A graduates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동경제국대학 문학부 국사학과 A graduates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이왕직 A worksAt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국립박물관 A worksAt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연희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홍직 Institution: 고려대학교 A worksAt B
Person: 이홍직 Group: 국사편찬위원회 A isMemberOf B
Person: 이홍직 Group: 문화재위원회 A isMemberOf B
Book: 국사대사전 Person: 이홍직 A creator B
Book: 한국고대사의 연구 Person: 이홍직 A creato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홍직",『두산백과』online, 두피디아.
  • "이홍직",『고려대학교 역사학과 퇴직교수』online, 고려대학교.
  • "국사대사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대사의 연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홍직",『두산백과』online, 두피디아.
  4.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일제강점기 대한제국황실이 이왕가(李王家)로 격하되면서 황실업무를 담당하던 궁내부의 업무를 인수하기 위해 제정된 기구로 조선총독부가 아닌 일본의 궁내성에 소속된 기구이다.
  6. "이홍직",『고려대학교 역사학과 퇴직교수』online, 고려대학교.
  7. 경신학교의 후신으로 세브란스병원과 함께 연세대학교의 공동 전신이던 학교이다. 1915년 3월 5일에 조선기독교학교로 첫 발족하고 1917년 4월 7일에 구제전문학교인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거듭 발족하였다. 1944년 4월에 적산(敵産)이라는 명목으로 학교가 몰수되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조선인 간부와 교수진을 추방하였으며, 교명이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京城工業經營專門學校)로 변경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을유 해방 이후 일제가 패망하자, 미군정청을 비롯한 정부에 의해 대학기관으로 승격되어 4년제 대학 연희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8.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이홍직",『두산백과』online, 두피디아.
  11.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2.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이홍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4. "이홍직",『두산백과』online, 두피디아.
  15. "국사대사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6. "한국고대사의 연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