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김현우(SNU2024)]]가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br/>
 
<br/>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송석하.jpg
 
|사진= 송석하.jpg
|사진출처= 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871
+
|사진출처=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View.do?currentPage=1&type=D&type2=&arcvGroupNo=2849&lowerArcvGroupNo=&arcvMetaSeq=38943&arcvNo=103088&realArcvGroupNo=2849&searchVal=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 송석하(宋錫夏)
 
|대표명= 송석하(宋錫夏)
 
|한글명=송석하
 
|한글명=송석하
 
|한자명=宋錫夏
 
|한자명=宋錫夏
 
|영문명=Song Soek-ha
 
|영문명=Song Soek-ha
|가나명=
 
 
|이칭=석남(石南)
 
|이칭=석남(石南)
 
|성별=남성
 
|성별=남성
22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송석하는 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개설하고, 국립민족박물관을 설립한 민속학자이다.
+
|내용= 송석하는 한국 민속 연구 및 인류학의 확립에 기여한 선구자적 인물이다. 그는 {{TagGroup|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였으며 {{TagInstitution|서울대학 인류학과}}를 개설하고 {{TagInstitution|국립민속박물관}}을 설립하였다.
 
}}
 
}}
  
 
=='''생애'''==
 
=='''생애'''==
 
----
 
----
==='''유년시절'''===
+
==='''유년기 및 청소년기'''===
 
{{글상자|
 
{{글상자|
|내용= 고종의 시종부경(侍從副卿)을 지낸 태관(台觀)의 장남이다. 1922년 부산 제2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상과대학에 유학하였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귀국하였고, 그 뒤부터 민속에 관심을 가지고 현지조사에 나서기 시작하였다.
+
|내용= 송석하는 당대 대부호 집안의 자제로 1904년 고종의 시종부경(侍從副卿)을 지낸 {{TagPerson|송태관(台觀)}}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향 양득리에서 10여리 거리의 {{TagInstitution|언양공립보통학교}}를 다니다가 부친을 따라 반구동으로 이사를 가면서 {{TagInstitution|부산공립상업학교}}로 전학하여 1916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한다.<ref>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ref> 이 무렵 부산에 있는 부친을 따라서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인 {{TagInstitution|부산공립상업학교}}진학해 1920년 졸업한다.}}
호는 석남(石南)이며, 경남 울주군 상북면 양등리에서 한말 궁내부 시종부경(侍從副卿)을 지낸 부친 은진 송(宋)씨 태관(台觀)과 모친 경주 최(崔)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대부호 집안에서 태어나 1917년(14세)당시 명문 부산공립 상업학교(현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를 졸업하고 일본의 동경상과 대학에서 유학중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했다. 일본 유학생활을 통해 식민지 조국의 현실과 고통을 체험한 그는 귀국 후 우리민속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전국을 돌면서 조사 연구에 몰두했는데, 특히 민속극과 민속오락의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
 
  
 
==='''일본 유학'''===
 
==='''일본 유학'''===
 
{{글상자|
 
{{글상자|
|내용= 일본의 동경상과 대학에서 유학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했다. 대다수 당대 지식인들이 그렇듯, 일본 유학 생활을 통해 식민지 조국의 현실과 고통을 체험한 그는 귀국 후 우리 민속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전국을 돌면서 조사 연구에 몰두했는데, 특히 민속극과 민속오락의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
|내용= 1920년 부산공업학교(현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를 졸업한 후 {{TagInstitution|일본의 동경상과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그러나 약 2년 간의 유학 생활 동안 {{TagEvent|1923년 관동대지진}}에서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고 가정 문제로 부친의 학비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ref>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ref> 일본 생활에서 식민지 조국의 현실과 고통을 경험한 그는 귀국 후 우리 민속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전국을 돌면서 조사 연구에 몰두했는데, 이는 후에 그가 민속극과 민속오락의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기게 된 배경이 되었다.<ref>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ref>
 
}}
 
}}
  
==='''조선민속학회 창립'''===
+
==='''조선민속학회 창립과 『조선민속』 창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1930년대에 들어서며 송석하는 민속학 연구 분야를 사회적으로 확립, 확장하는데 주요한 기여를 이루었다. 그는 1932년 4월 민속 · 역사학자인 {{TagPerson|손진태}}, {{TagPerson|작가 정인섭}}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민속학회인 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이 조직은 일제강점기의 조선 민속을 수집, 연구하고 민속극의 가면 전람회 개최와 같은 사회 활동도 펼쳤으며 광복 직후까지 활동을 이어갔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028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또 그는 1933년 1월 사재를 들이고 자택을 사무실로 삼아 민속학 동인연구지 {{TagJournal|『조선민속』}}을 발행하기 시작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871 송석하 (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이는 한국의 민속 연구와 인류학이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체계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된 시초라고 볼 수 있다.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는 민속자료를 보존하겠다는 그의 의지는 1954년에 발족한 한국민속학회, 1969년에 출범한 한국민속연구회 등을 거쳐 현재의 한국민속학자대회으로 승계되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028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국립민족박물관을 1946년에 개관'''===
+
==='''해방 후'''===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송석하는 해방 후 한국 민속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의지를 더욱 적극적으로 실현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 11월 8일 그는 자신의 수장품을 중심으로 {{TagInstitution|국립민속박물관}}을 창립하였고, 1966년 10월 4일에는 경복궁 내 {{TagLocation|수정전(修政殿)}}에 한국민속관을 열었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221 국립민속박물관 (國立民俗博物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또한 1946년에 서울대학에 인류학과를 설치하고 강의를 맡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의 영문명을 '인류학박물관(Museum of Anthropology)'으로 삼고, 1946년에 발족한 조선인류학회의 사무실을 민족박물관에 마련하는 등 민속학을 인류학으로까지 넓히려는 노력을 이어갔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871 송석하 (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그러나 열성적인 학자이자 사회 활동가였던 그는 1948년 민속문화 보전의 의지를 다 펼치기 전에 오랜 지병인 고혈압으로 인해 44세의 이른 나이로 별세하였다.
}}
+
 
  
==='''서울대학에 인류학과를 설치'''===
 
{{글상자|
 
|내용=
 
 
}}
 
}}
  
==='''타계'''===
 
{{글상자|
 
|내용=
 
}}
 
  
 
{{상단이동
 
{{상단이동
65번째 줄: 58번째 줄:
 
=='''연구'''==
 
=='''연구'''==
 
----
 
----
==='''제목1'''===
+
==='''민속학 분야의 열정적인 활동가'''===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송석하는 민속학 분야에서 정규과정을 밝은 적은 없으나, 1929년 26세의 나이에 {{TagArticle|「조선의 인형극」}}을 발표하면서 민속학으로 관심사를 확장하게 되었다. 이어 1932년 {{TagArticle|「조선의 민속극」}}을  발표하고 인형극, 가면극, 민속무용, 연극, 무속, 농촌오락 등 넓은 분야의 민속 문화로의 연구를 이어갔다.<ref> 특히 해당 문서에서는 전국을 답사하며 다양한 사진 기록을 남기고 사진에 대한 정보를 꼼꼼하게 기록한 그를 한국최초의 영상민속학자라고 칭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국립민족박물관의 기초적인 사료를 마련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
</ref> 그 과정에서 현장답사, 민속자료 채집 등의 민속 연구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1932년에는 한국 민속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조선민속학회를 손진태, 정인섭과 함께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으며, 이어 1933년 1월에 사비를 들여 『조선민속』이라는 학회지를 발행하면서 한국 민속학 분야의 개척자로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학문적 연구에 그치지 않고 대중에게 민속을 더욱 알리고자 노력했는데, 오늘날의 한국민속예술축제와 유사한 조선민속예술경연대회를 기획하였고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수집한 많은 민속자료를 일간지와 잡지, 각종 매체에 기고하면서 민속 문화를 우리 일상에서 접할 수 있도록 힘썼다.<ref>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
</ref> 이와 같은 행적은 민속에 대한 송석하의 남다른 애정을 나타내며 학문에 몰두하는 연구자이기보다 문화 운동에 적극성을 보이는 그의 활동가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
 
}}
  
==='''제목2'''===
+
==='''활발한 사회적 교류를 통한 민속 연구의 확대'''===
 
{{글상자|
 
{{글상자|
|내용=  
+
|내용= 송석하는 민속연구의 다양한 전문가와 교류를 하였으며, 관련 단체와 기관 등을 설립하며 민속학의 범위를 넓혀간 인물이다. 그는 특히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의 {{TagPerson|아카마츠 교수}}와 {{TagPerson|아끼바 교수}}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알려지며, 사회문화분야의 조사사업에 참여하던 {{TagPerson|무라야마}}와 {{TagPerson|이마무라 토모에}}와도 민속탐사 분야에서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ref> 총독부 고고학 원로 아리미츠 교수가 송석하에 대한 질문의 첫 대답으로 "송석하는 아끼바의 제자였다"라고 하였다는 회고한 증언도 있다.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
</ref> 이러한 교류는 그가 전방위적인 현장답사(fieldwork)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송석하는 자신이 수집한 민속자료와 조선민족미술관의 {{TagPerson|야나기}}가 수집한 민예품을 기반으로 1945년 국립민족박물관의 개관을 준비했고, 1946년에는 미군정 시기 한국으로 발령받은 뉴멕시코대학 인류학과 출신 {{TagPerson|유진 크네즈 대위}}와 돈독한 유대 관계를 맺어 함께 조선인류학회를 창립하였다.<ref>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
</ref> 다만 송석하의 폭넓은 친교는 그가 일제의 정치권력과 밀접한 행보를 보이며 식민지배정책에 협조하였으므로 문화민족주의자로 공인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의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ref> 그러나 이에 대해 "당시 민속자료 수집과 조사에 일본관공서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을 상황이리라 짐작되나 그 활동이 노골적으로 일본에 이득을 준 것은 없으며 이를 친일 매국노라고 한다면 당대 사회 활동을 한 인물은 모두 친일파여야 한다"는 옹호적 의견도 제기된다.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6912‘한국 민속학 태두’ 울산 출신 민속학자 송석하, 친일 행적 ‘논란’]」, 『울산매일』, 2024.03.26. 12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울산매일 UTV』<sup>online</sup></online></html>, 울산매일신문사.  </ref>
 
}}
 
}}
  
==='''대표저작'''===
 
{{글상자|
 
|내용= 일본의 『민속예술』지에 「조선의 인형극」을 발표
 
}}
 
<ref>이 부분은 참고자료에 나와있는 논저를 정리한 것으로, 확인이 필요하다.</ref>
 
<font face="함초롬돋움">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style="width:7%;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연번 !! style="width:48%;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논문명 !! style="width:1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학술지&출판사 !! style="width:1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권호 !! style="width:2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간행연월일
 
|-
 
|A001|| 헬리움 가스 중에 있어서의 리찌움이온의 이동도 || 과학원 학보 || 2 || 1954.
 
|-
 
|A002|| 아르곤가스의 제3 비리알계수 || 과학원 학보 || 1 || 1955.
 
  
  
100번째 줄: 85번째 줄: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고등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Person: 송태관 || Person: 송석하 || A hasSon B
 +
|-
 +
| Person: 송석하 || Person: 김경옥 || A hasSpouse B
 
|-
 
|-
| Person: 홍길동 || Institution: ○○대학교 || A worksAt B
+
| Person: 송석하 || Institution: 부산공립상업학교 || A graduates B
 
|-
 
|-
| Person: 홍길동 || group: ○○학회 || A isMemberOf B
+
| Person: 송석하 || Institution: 일본 동경상과대학 || A takesCourseAt B
 
|-
 
|-
 +
| Person: 송석하 || Group: 조선민속학회 || A isMemberOf B
 +
|-
 +
| Person: 송석하 || Article: 「조선의 인형극」 || A isWriterOf B
 +
|-
 +
| Person: 송석하 || Article: 「조선의 민속극」 || A isWriterOf B
 +
|-
 +
| Journal: 『조선민속』 || Group: 조선민속학회 ||  A publisher B
 +
|-
 +
 +
 
|}
 
|}
 
<br/><br/>
 
<br/><br/>
 +
A publisher B
  
 
==='''Timeline'''===
 
==='''Timeline'''===
 
----
 
----
*[▶Time라인스프레드시트URL삽입 Timeline Google Spreadsheet]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jH_dd8JgwMMuFnX-Lj5MKk15V8uDDciuUFhftbqrHMI/edit?usp=sharing Timeline Google Spreadsheet]
▶Timeline임베딩
+
<html>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jH_dd8JgwMMuFnX-Lj5MKk15V8uDDciuUFhftbqrHMI&font=Default&lang=ko&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html>
 
<br/><br/>
 
<br/><br/>
  
127번째 줄: 127번째 줄:
 
=='''참고자원'''==
 
=='''참고자원'''==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221 국립민속박물관 (國立民俗博物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3?brdType=R&bbIdx=8556 석남 송석하 (石南 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통문화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871 송석하 (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5768&bbsId=BBSMSTR_1008&nm=NS_01_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유산청』<sup>online</sup></online></html>, 국가유산청.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2028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6912‘한국 민속학 태두’ 울산 출신 민속학자 송석하, 친일 행적 ‘논란’]」, 『울산매일』, 2024.03.26. 12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울산매일 UTV』<sup>online</sup></online></html>, 울산매일신문사.
 +
  
 
{{상단이동
 
{{상단이동
143번째 줄: 150번째 줄:
  
 
<br/><br/><br/><br/>
 
<br/><br/><br/><br/>
[[분류:Person]][[분류:2024-1 BigData(SNU)]]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7월 18일 (목) 14:56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김현우(SNU2024)가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송석하(宋錫夏)
송석하.jpg
출처 : "송석하(宋錫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글명 송석하 한자명 宋錫夏 영문명 Song Soek-ha 가나명 이칭 석남(石南)
성별 남성 생년 1904(고종 41)년 몰년 1948년 출신지 경상남도 울주 전공 일본 동경상과대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송석하는 한국 민속 연구 및 인류학의 확립에 기여한 선구자적 인물이다. 그는 조선민속학회단체를 창립하였으며 서울대학 인류학과기관를 개설하고 국립민속박물관기관을 설립하였다.


생애


유년기 및 청소년기

송석하는 당대 대부호 집안의 자제로 1904년 고종의 시종부경(侍從副卿)을 지낸 송태관(台觀)인물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향 양득리에서 10여리 거리의 언양공립보통학교기관를 다니다가 부친을 따라 반구동으로 이사를 가면서 부산공립상업학교기관로 전학하여 1916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한다.[1] 이 무렵 부산에 있는 부친을 따라서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인 부산공립상업학교기관에 진학해 1920년 졸업한다.


일본 유학

1920년 부산공업학교(현 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를 졸업한 후 일본의 동경상과대학기관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그러나 약 2년 간의 유학 생활 동안 1923년 관동대지진사건에서 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고 가정 문제로 부친의 학비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2] 일본 생활에서 식민지 조국의 현실과 고통을 경험한 그는 귀국 후 우리 민속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전국을 돌면서 조사 연구에 몰두했는데, 이는 후에 그가 민속극과 민속오락의 연구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기게 된 배경이 되었다.[3]


조선민속학회 창립과 『조선민속』 창간

1930년대에 들어서며 송석하는 민속학 연구 분야를 사회적으로 확립, 확장하는데 주요한 기여를 이루었다. 그는 1932년 4월 민속 · 역사학자인 손진태인물, 작가 정인섭인물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민속학회인 조선민속학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이 조직은 일제강점기의 조선 민속을 수집, 연구하고 민속극의 가면 전람회 개최와 같은 사회 활동도 펼쳤으며 광복 직후까지 활동을 이어갔다.[4] 또 그는 1933년 1월 사재를 들이고 자택을 사무실로 삼아 민속학 동인연구지 『조선민속』학술지을 발행하기 시작했다.[5] 이는 한국의 민속 연구와 인류학이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체계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된 시초라고 볼 수 있다.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는 민속자료를 보존하겠다는 그의 의지는 1954년에 발족한 한국민속학회, 1969년에 출범한 한국민속연구회 등을 거쳐 현재의 한국민속학자대회으로 승계되었다.[6]


해방 후

송석하는 해방 후 한국 민속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의지를 더욱 적극적으로 실현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 11월 8일 그는 자신의 수장품을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기관을 창립하였고, 1966년 10월 4일에는 경복궁 내 수정전(修政殿)공간에 한국민속관을 열었다.[7] 또한 1946년에 서울대학에 인류학과를 설치하고 강의를 맡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의 영문명을 '인류학박물관(Museum of Anthropology)'으로 삼고, 1946년에 발족한 조선인류학회의 사무실을 민족박물관에 마련하는 등 민속학을 인류학으로까지 넓히려는 노력을 이어갔다.[8] 그러나 열성적인 학자이자 사회 활동가였던 그는 1948년 민속문화 보전의 의지를 다 펼치기 전에 오랜 지병인 고혈압으로 인해 44세의 이른 나이로 별세하였다.





연구


민속학 분야의 열정적인 활동가

송석하는 민속학 분야에서 정규과정을 밝은 적은 없으나, 1929년 26세의 나이에 「조선의 인형극」원고을 발표하면서 민속학으로 관심사를 확장하게 되었다. 이어 1932년 「조선의 민속극」원고을 발표하고 인형극, 가면극, 민속무용, 연극, 무속, 농촌오락 등 넓은 분야의 민속 문화로의 연구를 이어갔다.[9] 그 과정에서 현장답사, 민속자료 채집 등의 민속 연구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1932년에는 한국 민속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조선민속학회를 손진태, 정인섭과 함께 창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으며, 이어 1933년 1월에 사비를 들여 『조선민속』이라는 학회지를 발행하면서 한국 민속학 분야의 개척자로서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학문적 연구에 그치지 않고 대중에게 민속을 더욱 알리고자 노력했는데, 오늘날의 한국민속예술축제와 유사한 조선민속예술경연대회를 기획하였고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수집한 많은 민속자료를 일간지와 잡지, 각종 매체에 기고하면서 민속 문화를 우리 일상에서 접할 수 있도록 힘썼다.[10] 이와 같은 행적은 민속에 대한 송석하의 남다른 애정을 나타내며 학문에 몰두하는 연구자이기보다 문화 운동에 적극성을 보이는 그의 활동가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활발한 사회적 교류를 통한 민속 연구의 확대

송석하는 민속연구의 다양한 전문가와 교류를 하였으며, 관련 단체와 기관 등을 설립하며 민속학의 범위를 넓혀간 인물이다. 그는 특히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의 아카마츠 교수인물와 아끼바 교수인물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고 알려지며, 사회문화분야의 조사사업에 참여하던 무라야마인물와 이마무라 토모에인물와도 민속탐사 분야에서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11] 이러한 교류는 그가 전방위적인 현장답사(fieldwork)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송석하는 자신이 수집한 민속자료와 조선민족미술관의 야나기인물가 수집한 민예품을 기반으로 1945년 국립민족박물관의 개관을 준비했고, 1946년에는 미군정 시기 한국으로 발령받은 뉴멕시코대학 인류학과 출신 유진 크네즈 대위인물와 돈독한 유대 관계를 맺어 함께 조선인류학회를 창립하였다.[12] 다만 송석하의 폭넓은 친교는 그가 일제의 정치권력과 밀접한 행보를 보이며 식민지배정책에 협조하였으므로 문화민족주의자로 공인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의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13]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송태관 Person: 송석하 A hasSon B
Person: 송석하 Person: 김경옥 A hasSpouse B
Person: 송석하 Institution: 부산공립상업학교 A graduates B
Person: 송석하 Institution: 일본 동경상과대학 A takesCourseAt B
Person: 송석하 Group: 조선민속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송석하 Article: 「조선의 인형극」 A isWriterOf B
Person: 송석하 Article: 「조선의 민속극」 A isWriterOf B
Journal: 『조선민속』 Group: 조선민속학회 A publisher B



A publisher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주석


  1.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2.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3.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4.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송석하 (宋錫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조선민속학회(朝鮮民俗學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국립민속박물관 (國立民俗博物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송석하 (宋錫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특히 해당 문서에서는 전국을 답사하며 다양한 사진 기록을 남기고 사진에 대한 정보를 꼼꼼하게 기록한 그를 한국최초의 영상민속학자라고 칭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국립민족박물관의 기초적인 사료를 마련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10.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11. 총독부 고고학 원로 아리미츠 교수가 송석하에 대한 질문의 첫 대답으로 "송석하는 아끼바의 제자였다"라고 하였다는 회고한 증언도 있다.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12. "우리나라 민속학, 인류학, 박물관 분야의 선구자 -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국가유산청』online, 국가유산청.
  13. 그러나 이에 대해 "당시 민속자료 수집과 조사에 일본관공서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을 상황이리라 짐작되나 그 활동이 노골적으로 일본에 이득을 준 것은 없으며 이를 친일 매국노라고 한다면 당대 사회 활동을 한 인물은 모두 친일파여야 한다"는 옹호적 의견도 제기된다. 「민속학 태두’ 울산 출신 민속학자 송석하, 친일 행적 ‘논란’」, 『울산매일』, 2024.03.26. 12면, 『울산매일 UTV』online, 울산매일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