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상자|
 +
|내용=<center><big>'''👩🏻‍🏫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분류:2024-1 BigData(SNU)|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전정민(JBNU2024)]]이 작성했습니다.'''</big></center>
 +
}}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font face="함초롬돋움">{{버튼클릭|[[:분류:Person|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
 
----
4번째 줄: 7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이윤재.jpg
 
|사진= 이윤재.jpg
|사진출처= 전통문화포털 이윤재 <ref>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3?brdType=R&thisPage=9&bbIdx=8623&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ref>
+
|사진출처=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3?brdType=R&thisPage=9&bbIdx=8623&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이윤재]」, 『분야별 문화 인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통문화포털』<sup>online</sup></online></html>, zum.
 
|대표명= 이윤재(李允宰)
 
|대표명= 이윤재(李允宰)
 
|한글명= 이윤재
 
|한글명= 이윤재
30번째 줄: 33번째 줄:
 
==='''어린시절'''===
 
==='''어린시절'''===
 
{{글상자
 
{{글상자
|내용=1888년 12월 24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ref>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ref>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TagPerson|이용준}}과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br>
+
|내용=1888년 12월 24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ref>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ref>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TagPerson|이용준}}과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br> <ref>『[https://namu.wiki/w/%EC%9D%B4%EC%9C%A4%EC%9E%AC(%EA%B5%AD%EC%96%B4%ED%95%99%EC%9E%90) 이윤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ref>
 
6살 무렵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서 인근 고을까지 소문이 났다고 한다.
 
6살 무렵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서 인근 고을까지 소문이 났다고 한다.
 
}}
 
}}
 
==='''3·1 운동에 참여하다'''===
 
==='''3·1 운동에 참여하다'''===
 
{{글상자
 
{{글상자
|내용={{TagInstitution|숭덕 학교}} 재직 중이던 1919년 {{TagEvent|3·1 운동}}이 일어나자 {{TagEvent|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직역 3년을 선고 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그는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TagPerson|신채호 선생}}의 도움으로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고 {{TagInstitution|베이징 대학}} 사학과에 입학했다.
+
|내용={{TagInstitution|[[숭덕 학교]]}} 재직 중이던 1919년 {{TagEvent|[[3·1 운동]]}}이 일어나자 {{TagEvent|[[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ref>『[https://dalseong.grandculture.net/dalseong/dir/GC40800954 이윤재]』,<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달성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옥살이를하였다. <ref>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ref> 그는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TagPerson|[[신채호]] 선생}}의 도움으로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고 {{TagInstitution|[[베이징 대학]]}} 사학과에 입학했다. <ref>『[https://namu.wiki/w/%EC%9D%B4%EC%9C%A4%EC%9E%AC(%EA%B5%AD%EC%96%B4%ED%95%99%EC%9E%90) 이윤재]』<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위키백과 </ref>
 
}}
 
}}
 
==='''한글과 이윤재'''===
 
==='''한글과 이윤재'''===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27년 {{TagGroup|개명 개구락부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참가하였고, 민족정신의 보전·계승을 위한 잡지 {{TagBook|『한빛』}}을 편집, 발행하였다. 1929년 {{TagGroup|조선어연구회}} {{TagGroup|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집행위원, 1930년 {{TagGroup|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위원}}이 되어 국어통일운동의 중진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부터 {{TagInstitution|연희전문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이때부터 4년간 매년 여름 지방을 순회하며 한글강습회를 열었다. 1932년에는 {{TagGroup|조선어학회}}의 기관지 {{TagBook|『한글』}}의 편집 및 발행 책임을 맡았으며, 1934년에는 {{TagGroup|진단학회}}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1935년 {{TagInstitution|감리교신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TagGroup|조선어 표준어사정위원회}}의 사정위원이 되었고, 1936년 {{TagGroup|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편찬전임집필위원이 되었다. 1940년 6월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결정에 참여하여 조선어 사전 편찬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1941년 {{TagInstitution|기독 신문사}} 주필로 일하면서 한글 보급과 우리말 사전 편찬에 주력하였다
+
|내용= 1927년 {{TagGroup|[[개명 개구락부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참가하였고, 민족정신의 보전·계승을 위한 잡지 {{TagBook|[[『한빛』]]}}을 편집, 발행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한빛]』<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ref> 1929년 {{TagGroup|[[조선어연구회]]}} {{TagGroup|[[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집행위원, 1930년 {{TagGroup|[[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위원]]}}이 되어 국어통일운동의 중진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부터 {{TagInstitution|[연희전문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이때부터 4년간 매년 여름 지방을 순회하며 한글강습회를 열었다. 1932년에는 {{TagGroup|[[조선어학회]]}}의 기관지 {{TagBook|[[『한글』]]}}의 편집 및 발행 책임을 맡았으며, 1934년에는 {{TagGroup|[[진단학회]]}}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1935년 {{TagInstitution|[[감리교신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TagGroup|[[조선어 표준어사정위원회]]}}의 사정위원이 되었고, 1936년 {{TagGroup|[[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편찬전임집필위원이 되었다. 1940년 6월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결정에 참여하여 조선어 사전 편찬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1941년 {{TagInstitution|[[기독 신문사]]}} 주필로 일하면서 한글 보급과 우리말 사전 편찬에 주력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이윤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ref>
 
}}
 
}}
 
==='''민족말살 정책과의 충돌'''===
 
==='''민족말살 정책과의 충돌'''===
 
{{글상자
 
{{글상자
|내용= 그러나 이윤재를 비롯한 한글학자들의 활동은 당시 일제의 {{TagEvent|민족 말살 정책}}과 충돌하였다. 결국 1942년 10월 사전 편찬 사업에 종사하던 이윤재를 비롯한 {{TagGroup|조선어 학회}} 회원들은 {{TagInstitution|함경남도홍원 경찰서}} 형사들에게 피체되었다. 이른바 {{TagEvent|조선어 학회 사건}}이었다. 일제 당국은 이윤재를 비롯한 {{TagGroup|조선어 학회}} 회원들에게 "민족 운동의 한 가지 형태로서 소위 어문 운동은 민족 고유의 어문의 정리·통일·보급을 도모하는 하나의 민족 운동인 동시에 가장 심모원려(深謀遠慮)한 민족 독립운동의 점진 형태(漸進形態)이다."라고 하여 「치안 유지법」 제1조의 내란죄를 적용하였다. 이윤재는 {{TagInstitution|함흥 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인 1943년 12월 8일 새벽, 독방에서 55세의 나이로 옥사하였다.
+
|내용= 그러나 이윤재를 비롯한 한글학자들의 활동은 당시 일제의 {{TagEvent|[[민족 말살 정책]]}}과 충돌하였다. 결국 1942년 10월 사전 편찬 사업에 종사하던 이윤재를 비롯한 {{TagGroup|[[조선어 학회]]}} 회원들은 {{TagInstitution|[[함경남도홍원 경찰서]]}} 형사들에게 피체되었다. 이른바 {{TagEvent|[[조선어 학회 사건]]}}이었다. 일제 당국은 이윤재를 비롯한 {{TagGroup|[[조선어 학회]]}} 회원들에게 "민족 운동의 한 가지 형태로서 소위 어문 운동은 민족 고유의 어문의 정리·통일·보급을 도모하는 하나의 민족 운동인 동시에 가장 심모원려(深謀遠慮)한 민족 독립운동의 점진 형태(漸進形態)이다."라고 하여 「치안 유지법」 제1조의 내란죄를 적용하였다. 이윤재는 {{TagInstitution|[[함흥 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인 1943년 12월 8일 새벽, 독방에서 55세의 나이로 옥사하였다.그의 사후 1948년 그가 이루고자 했던 표준한글사전이 발간됬다.
 +
}}
 +
 
 +
{{상단이동
 +
|페이지={{FULLPAGENAMEE}}
 +
}}
 +
 
 +
=='''연구'''==
 +
----
 +
==='''한빛'''===
 +
{{글상자
 +
|내용= 1월 15일 {{TagInstitution|[[한빛사]]}}의 편집 겸 발행인 이윤재가 창간한 30여 면의 잡지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한빛]』<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ref> 같은 해 8월 1일 통권 제15호로 종간되었으나, 이 잡지는 제2권 제1호의 「여쭙는 말」을 통하여 말하고 있는 것처럼, 조선역사·조선지리·조선교학·조선예술 등 순전히 조선의 것만을 소개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기사는 학구적·연구적인 것을 피하고, 되도록 통속적·실용적 기사를 게재하여 장래의 주인들인 소년들의 독서물로 애용되기를 바랐던 점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한빛]』<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ref>
 +
}}
 +
 
 +
==='''표준한글사전'''===
 +
{{글상자
 +
|내용= 일제강점기 국어학자 이윤재(1888-1943)가 1948년 75,000여 어휘의 뜻을 풀이한 사전. 국어사전. B6판. 1권 1책. 연활자본. 총 912면(일러두기 4면, 본문 908면). 1948년 고려서적주식회사에서 출판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우리말과 한자말,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사투리 및 특별히 많이 쓰이는 전문어·제도어를 골라서 뜻을 풀이한 규범적 국어사전이다.이 사전에 실린 어휘수는 대략 7만5000 정도로 추산되는데, 배열 차례가 한글학회의 ≪큰 사전≫과 달리 ‘ㄲ, ㄸ, ㅃ, ㅆ, ㅉ’을 각각 ‘ㄱ, ㄷ, ㅂ, ㅅ, ㅈ’의 맨 끝에 붙였다. 정서법은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 따랐고, 표준말과 비표준말의 가림도 조선어학회의 <사정한 조선어표준말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비표준말들은 →로 표준말과 대응시켜 놓아 표준어 사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사전은 모든 한자어나 외래어의 머리에 < 표시를 하여 순우리말에 대한 의식이 강한 점이 특징이다. <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표준한글사전]』<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ref>
 +
}}
 +
 
 +
{{상단이동
 +
|페이지={{FULLPAGENAMEE}}
 
}}
 
}}
 +
 +
=='''데이터'''==
 +
----
 +
==='''TripleData'''===
 +
<font face="함초롬돋움">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F0F8FF;"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Source (A) !! style="width:35%;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Target (B) !! style="width:30%; background:#87CEFA; text-align: center; color:navy"|Relationship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김해공립보통학교 || A graduates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계성학교고등과 || A graduates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중국베이징대학 || A graduates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김해합성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마산창신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마산의신여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정주오산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협성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Institution: 연희전문학교 || A worksAt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동우회 || A isMemberOf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계명 구락부 || A isMemberOf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조선어 학회 || A isMemberOf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위원 || A isMemberOf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우리말 표준어 사정회 || A isMemberOf B
 +
|-
 +
| Person: 이윤재 || Group: 조선어 연구회 || A isMemberOf B
 +
|-
 +
|}
 +
<br/><br/>
 +
 +
==='''Timeline'''===
 +
----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W4_obOJ8HmY2kPhf--wPqbhiVIN2WKuYwCEsceKcs/edit?pli=1#gid=0 Timeline Google Spreadsheets]
 +
<html><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W4_obOJ8HmY2kPhf--wPqbhiVIN2WKuYwCEsceKcs&font=Default&lang=en&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html>
 +
<br/><br/>
 +
 +
==='''Network Graph'''===
 +
----
 +
*[[{{FULLPAGENAMEE}}.lst]]
 +
{{NetworkGraph | title={{FULLPAGENAMEE}}.lst}}
 +
 +
{{상단이동
 +
|페이지={{FULLPAGENAMEE}}
 +
}}
 +
<br/><br/>
 +
 +
=='''참고자원'''==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469 이윤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p>
 +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3?brdType=R&thisPage=9&bbIdx=8623&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이윤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전통문화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p>
 +
*"『[https://dalseong.grandculture.net/dalseong/toc/GC40800954 이윤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달성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p>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659 한빛]』",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중앙연구회.
 +
{{상단이동
 +
|페이지={{FULLPAGENAMEE}}
 +
}}
 +
 +
<br/><br/>
 +
 +
 +
=='''주석'''==
 +
----
 +
<references/>
 +
<br/><br/>
 +
{{상단이동
 +
|페이지={{FULLPAGENAMEE}}
 +
}}
 +
 +
<br/><br/><br/><br/>
 +
[[분류:Person-SNU추가]][[분류:2024-1 BigData(SNU)]]

2024년 7월 19일 (금) 23:27 기준 최신판

👩🏻‍🏫본 문서는 서울대학교 " 24-1 미디어위키를 활용한 역사 데이터 편찬" 수강생 전정민(JBNU2024)이 작성했습니다.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윤재(李允宰)
이윤재.jpg
출처 : 이윤재」, 『분야별 문화 인물』, 『전통문화포털』online, zum.
 
한글명 이윤재 한자명 李允宰 영문명 Yunjae Lee 가나명 이칭 환산(桓山),한뫼,한메
성별 남성 생년 1888년 몰년 1943년 출신지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 전공 역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국어학자, 역사학자
3·1 운동사건을 주동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역사의식을 높이는 교육자였다.


생애


어린시절

1888년 12월 24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1]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이용준인물과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2] 6살 무렵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서 인근 고을까지 소문이 났다고 한다.


3·1 운동에 참여하다

숭덕 학교기관 재직 중이던 1919년 3·1 운동사건이 일어나자 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사건을 주도하였다.[3]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옥살이를하였다. [4] 그는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신채호 선생인물의 도움으로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고 베이징 대학기관 사학과에 입학했다. [5]


한글과 이윤재

1927년 개명 개구락부 조선어사전 편찬위원단체으로 참가하였고, 민족정신의 보전·계승을 위한 잡지 『한빛』서적을 편집, 발행하였다.[6] 1929년 조선어연구회단체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단체의 집행위원, 1930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위원단체이 되어 국어통일운동의 중진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부터 [연희전문학교]]기관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이때부터 4년간 매년 여름 지방을 순회하며 한글강습회를 열었다. 1932년에는 조선어학회단체의 기관지 『한글』서적의 편집 및 발행 책임을 맡았으며, 1934년에는 진단학회단체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1935년 감리교신학교기관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조선어 표준어사정위원회단체의 사정위원이 되었고, 1936년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단체의 편찬전임집필위원이 되었다. 1940년 6월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결정에 참여하여 조선어 사전 편찬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1941년 기독 신문사기관 주필로 일하면서 한글 보급과 우리말 사전 편찬에 주력하였다.[7]


민족말살 정책과의 충돌

그러나 이윤재를 비롯한 한글학자들의 활동은 당시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사건과 충돌하였다. 결국 1942년 10월 사전 편찬 사업에 종사하던 이윤재를 비롯한 조선어 학회단체 회원들은 함경남도홍원 경찰서기관 형사들에게 피체되었다. 이른바 조선어 학회 사건사건이었다. 일제 당국은 이윤재를 비롯한 조선어 학회단체 회원들에게 "민족 운동의 한 가지 형태로서 소위 어문 운동은 민족 고유의 어문의 정리·통일·보급을 도모하는 하나의 민족 운동인 동시에 가장 심모원려(深謀遠慮)한 민족 독립운동의 점진 형태(漸進形態)이다."라고 하여 「치안 유지법」 제1조의 내란죄를 적용하였다. 이윤재는 함흥 형무소기관에서 복역하던 중인 1943년 12월 8일 새벽, 독방에서 55세의 나이로 옥사하였다.그의 사후 1948년 그가 이루고자 했던 표준한글사전이 발간됬다.





연구


한빛

1월 15일 한빛사기관의 편집 겸 발행인 이윤재가 창간한 30여 면의 잡지이다.[8] 같은 해 8월 1일 통권 제15호로 종간되었으나, 이 잡지는 제2권 제1호의 「여쭙는 말」을 통하여 말하고 있는 것처럼, 조선역사·조선지리·조선교학·조선예술 등 순전히 조선의 것만을 소개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기사는 학구적·연구적인 것을 피하고, 되도록 통속적·실용적 기사를 게재하여 장래의 주인들인 소년들의 독서물로 애용되기를 바랐던 점을 특색으로 들 수 있다. [9]


표준한글사전

일제강점기 국어학자 이윤재(1888-1943)가 1948년 75,000여 어휘의 뜻을 풀이한 사전. 국어사전. B6판. 1권 1책. 연활자본. 총 912면(일러두기 4면, 본문 908면). 1948년 고려서적주식회사에서 출판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우리말과 한자말, 널리 쓰이는 외래어와 사투리 및 특별히 많이 쓰이는 전문어·제도어를 골라서 뜻을 풀이한 규범적 국어사전이다.이 사전에 실린 어휘수는 대략 7만5000 정도로 추산되는데, 배열 차례가 한글학회의 ≪큰 사전≫과 달리 ‘ㄲ, ㄸ, ㅃ, ㅆ, ㅉ’을 각각 ‘ㄱ, ㄷ, ㅂ, ㅅ, ㅈ’의 맨 끝에 붙였다. 정서법은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 따랐고, 표준말과 비표준말의 가림도 조선어학회의 <사정한 조선어표준말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비표준말들은 →로 표준말과 대응시켜 놓아 표준어 사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사전은 모든 한자어나 외래어의 머리에 < 표시를 하여 순우리말에 대한 의식이 강한 점이 특징이다. [10]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김해공립보통학교 A graduates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계성학교고등과 A graduates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중국베이징대학 A graduates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김해합성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마산창신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마산의신여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정주오산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협성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Institution: 연희전문학교 A worksAt B
Person: 이윤재 Group: 동우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윤재 Group: 계명 구락부 A isMemberOf B
Person: 이윤재 Group: 조선어 학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윤재 Group: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위원 A isMemberOf B
Person: 이윤재 Group: 우리말 표준어 사정회 A isMemberOf B
Person: 이윤재 Group: 조선어 연구회 A isMemb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 "『이윤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 "『이윤재』", 『전통문화포털』online,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이윤재』", 『디지털달성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빛』",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주석


  1. 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2. 이윤재online, 위키백과.
  3. 이윤재』,『디지털달성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5. 이윤재online, 위키백과
  6. 한빛『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7. 이윤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8. 한빛『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9. 한빛『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
  10. 표준한글사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중앙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