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22번째 줄: 22번째 줄:
 
=='''개요'''==
 
=='''개요'''==
 
{{글상자|
 
{{글상자|
|내용= 최익한은 해방 이후 북한에서 조선인민공화국 간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 1897년 경북 울진 출생으로 3·1운동의 영향을 받아 항일운동에 가담하였고,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금원으로 활약하였다.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에서 유학 중 일월회와 조선공산당 일본부에서 활동했다. 사회주의 활동을 하다가 투옥되어 7년간 복역 후 학문활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 우익을 보다 넓게 포괄하려는 입장에서 민족주자연맹에 참여하였고, 1948년 월북한 후 학문연구에 몰두한 것으로 전해진다. 실학연구의 선구자로 대표적인 저술서로 『실학파와 정다산』이 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내용= 해방 이후 북한에서 조선인민공화국 간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생애'''==
 
=='''생애'''==
 
----
 
----
==='''생애초반'''===
+
==='''학문의 길'''===
 
{{글상자|
 
{{글상자|
|내용=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15세 때 영남학파의 거유(巨儒)인 {{TagPerson|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 들어가 5년 동안 수학하였다. 1917년 곽종석의 권유로 서울에 가서 신학문을 익혔다. {{TagInstitution|중동학교}}를 마친 뒤 {{TagInstitution|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영문학을 배웠다. 이어 {{TagEvent|삼일운동}}의 영향을 받아 {{TagEvent|항일운동}}에 가담하였고,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금원으로 활약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내용=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15세 때 영남학파의 거유(巨儒)인 {{TagPerson|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탐구하였다. 1917년 곽종석의 권유로 신학문을 배우게 되었는데, 이것이 그의 인생에서 큰 전환점이 되었다.<ref>『[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ref> 상경하여 1년만에 {{TagInstitution|중동학교}}를 마친 뒤 1918년부터 2년간 {{TagInstitution|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영문학을 배웠다.<ref>『[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ref> 이어 {{TagEvent|삼일운동}}의 영향을 받아 {{TagEvent|항일운동}}에 가담하였고.<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영주군에서 1,600원을 모아 상하이로 보내는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 자금 모집책으로 활약하였다.<ref>『[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ref>
 
}}
 
}}
  
 
==='''일본에서 사회주의사상 입문'''===
 
==='''일본에서 사회주의사상 입문'''===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19년 8월 영주군에서 1,600원을 모금하여 보낸 사건으로 1921년 {{TagInstitution|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1924년 석방되었다. 그 뒤 일본으로 건너가 {{TagInstitution|와세다대학}} 정경학부를 다니면서 사회주의사상을 받아들였다. 당시 진보적인 사상단체인 {{TagGroup|고려공산청년동맹}} · {{TagGroup|일월회}} · {{TagGroup|재일본무산청년동맹}} · {{TagGroup|신흥과학연구회}} 등에 가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3차 {{TagGroup|조선공산당}}에 참여하여 일본부 조직부장을 맡았다(1927년 9월∼11월). {{TagGroup|신간회}} 창립을 전후한 시기에는 방향전환론을 주장하는 ML당의 이론가로 활약하였다. 그 뒤 조선공산당 일본부 선전부장으로 있다가 1928년 2월에 잡혀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내용= 1919년 8월 영주군에서 1,600원을 모금하여 보낸 사건으로 1921년 {{TagInstitution|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3년만에 석방되었다. 그 뒤 일본으로 건너가 {{TagInstitution|와세다대학}} 정경학부를 다니면서 사회주의사상을 받아들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당시 진보적인 사상단체인 {{TagGroup|고려공산청년동맹}} · {{TagGroup|일월회}} · {{TagGroup|재일본무산청년동맹}} · {{TagGroup|신흥과학연구회}} 등에 가입하였다.
 
}}
 
}}
  
==='''징역 후 학문활동'''===
+
==='''조선공산단 활동과 감옥 생활'''===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32년 7월 대전형무소로 이송 도중 대전역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여 징역 1년이 추가되어 7년간 복역하였다. 1935년 12월 출옥한 뒤에는 서울로 옮겨왔다. {{TagEvent|만주사변}} 이후 전시체제로 이행한 상황하에서는 공개적인 사회주의운동이 불가능하였으므로 학문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TagInstitution|조선일보사}} 향토문화조사위원, {{TagInstitution|동아일보사}} 논설사원으로 활동하였고, 신문이 폐간된 뒤에는 {{TagJournal|『춘추』}}지에 글을 발표하였다. 광복 직후에는 ML계 인사들과 함께 조선공산당 서울시당부에 참여하는 것을 시작으로 활발한 정치활동을 전개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내용= 1927년에는 {{TagGroup|조선공산당}} 일본부 조직부장을 맡아 서울과 도쿄를 왕래하면서 조선공산당과 관련된 활동을 전개하였다. 조선공산당 제2차 대회에서 결정된 사상 단체 해체론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글을 {{TagJournal|『이론투쟁』[1927. 4]}}에 기고하고, 1928년 1월 26일부터 2월 11일까지 7회에 걸쳐 {{TagJournal|『조선일보』}}에 {{TagArticle|「조선 사회 운동의 빛」}}을 발표하는 등 민족협동전선 운동의 강화를 위해서 특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글에서 최익한은 1927년에 조선 사회 운동이 “이론은 추상에서 구체로, 조직은 저급에서 고급으로, 실천은 소수에서 대중으로” 나아갔고, “파벌주의 청산, 사상 단체 해체, 민족적 단일당의 결성, {{TagGroup|신간회}} 지지 및 그 지회 조직” 등이 이루어져 획기적으로 진일보하였음을 강조하였다.<ref>『[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ref> 『조선일보』에 위 글을 발표한 1928년 2월에 일제의 조선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가 행해졌고, 최익한은 도쿄에서 체포되어 징역 6년을 선고받아 {{TagInstitution|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32년 7월 {{TagInstitution|대전형무소}}로 이감 도중 대전역에서 “조선공산당 만세!”, “조선 민족 해방 운동 만세!”를 외치며 만세 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1년이 더해져 7년 동안 감옥 생활을 하였다.<ref>『[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ref>
 
}}
 
}}
  
==='''활발한 정치활동과 그 이후'''===
+
==='''출옥 후 학문활동'''===
 
{{글상자|
 
{{글상자|
|내용= {{TagGroup|조선건국준비위원회}} · {{TagGroup|조선인민공화국}}의 간부로 지명되었고, 조선공산당에 입당한 뒤(1945.9.) {{TagPerson|박헌영(朴憲永)}} 일파의 노선에 반대하는 {{TagGroup|사회노동당}} · {{TagGroup|근로인민당}} 창당에 관여하였다. 통일전선형성문제에서는 우익을 보다 넓게 포괄하려는 입장에 서서 우익정당과의 제휴를 모색하였고 {{TagGroup|민족자주연맹}}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언제나 사회주의운동 내에서 비주류에 속하였으며, 결국 1948년 {{TagEvent|남북협상}}을 계기로 월북하였다. 월북한 뒤 {{TagGroup|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을 지냈지만, 정치적인 활동보다는 학문연구에 더욱 몰두한 것 같다. {{TagJournal|『력사제문제』(1949∼1950)}} · {{TagJournal|『력사과학』(1955)}} 등에 실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는 한편, {{TagInstitution|김일성대학(金日成大學)}}에서 강의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그 뒤의 소식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7년 9~10월경 숙청설과 1970년대 초 타계설이 돌고 있다.<ref>『[https://www.kyobobook.co.kr/service/profile/information?chrcCode=111354450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 </ref>
+
|내용= 1935년 12월 출옥한 뒤에는 서울로 옮겨왔다. {{TagEvent|만주사변}} 이후 전시체제로 이행한 상황하에서는 공개적인 사회주의운동이 불가능하였으므로 학문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TagInstitution|조선일보사}} 향토문화조사위원, {{TagInstitution|동아일보사}} 논설사원으로 활동하였고, 신문이 폐간된 뒤에는 {{TagJournal|『춘추』}}지에 글을 발표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
 
 +
==='''광복 후 활발한 정치활동'''===
 +
{{글상자|
 +
|내용= 광복이 되자 최익한은 다시 사회주의 운동을 재개하였다. {{TagGroup|조선건국준비위원회}} · {{TagGroup|조선인민공화국}}의 간부로 지명되었고, 조선공산당에 입당한 뒤(1945.9.) {{TagPerson|박헌영(朴憲永)}} 일파의 노선에 반대하는 {{TagGroup|사회노동당}} · {{TagGroup|근로인민당}} 창당에 관여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통일전선형성문제에서는 우익을 보다 넓게 포괄하려는 입장에 서서 우익정당과의 제휴를 모색하였고 {{TagGroup|민족자주연맹}}에 참여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그러나 언제나 사회주의운동 내에서 비주류에 속하였으며, 결국 1948년 {{TagEvent|남북협상}}을 계기로 월북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
 
 +
==='''월북 그 이후'''===
 +
{{글상자|
 +
|내용= 월북한 뒤 {{TagGroup|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을 지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이후로 최익한의 활동은 거의 알 수 없으며, 정치적인 활동보다는 학문연구에 더욱 몰두한 것으로 보인다. {{TagJournal|『력사제문제』(1949∼1950)}} · {{TagJournal|『력사과학』(1955)}} 등에 실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는 한편, {{TagInstitution|김일성대학(金日成大學)}}에서 강의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그 뒤의 소식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사망한 때도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1957년 9~10월경 숙청설과 1970년대 초 타계설이 돌고 있다.<ref>『[https://www.kyobobook.co.kr/service/profile/information?chrcCode=111354450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 </ref>
 
}}
 
}}
  
55번째 줄: 65번째 줄:
 
==='''글과 연구'''===
 
==='''글과 연구'''===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25년 {{TagJournal|『동아일보』}}에 {{TagArticle|「허생의 실적」}}이라는 글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TagArticle|「여유당전서를 독(讀)함」}} 등 많은 글들을 발표하였다. 특히, {{TagPerson|정약용(丁若鏞)}}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1930년대 국학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내용= 1925년 {{TagJournal|『동아일보』}}에 {{TagArticle|「허생의 실적」}}이라는 글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TagArticle|「여유당전서를 독(讀)함」}} 등 많은 글들을 발표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특히, {{TagPerson|정약용(丁若鏞)}}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1930년대 국학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
 
}}
  
102번째 줄: 112번째 줄:
 
<p>『[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p>『[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7580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p>『[https://www.kyobobook.co.kr/service/profile/information?chrcCode=111354450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
 
<p>『[https://www.kyobobook.co.kr/service/profile/information?chrcCode=111354450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교보문고.
 +
<p> 『[https://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711 최익한]』<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디지털울진문화대전.
 
----
 
----
  

2024년 6월 13일 (목) 17:29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최익한(崔益翰)
최익한.jpg
출처 : "최익한(崔益翰)",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한글명 최익한 한자명 崔益翰 영문명 CHOI IKHAN 가나명 이칭 창해(滄海)
성별 남성 생년 1897년 몰년 미상년 출신지 경상북도 울진 전공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해방 이후 북한에서 조선인민공화국 간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1]


생애


학문의 길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15세 때 영남학파의 거유(巨儒)인 곽종석(郭鍾錫)인물의 문하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성리학을 탐구하였다. 1917년 곽종석의 권유로 신학문을 배우게 되었는데, 이것이 그의 인생에서 큰 전환점이 되었다.[2] 상경하여 1년만에 중동학교기관를 마친 뒤 1918년부터 2년간 기독교청년회관기관에서 영문학을 배웠다.[3] 이어 삼일운동사건의 영향을 받아 항일운동사건에 가담하였고.[4], 영주군에서 1,600원을 모아 상하이로 보내는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 자금 모집책으로 활약하였다.[5]


일본에서 사회주의사상 입문

1919년 8월 영주군에서 1,600원을 모금하여 보낸 사건으로 1921년 경성복심법원기관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어 3년만에 석방되었다. 그 뒤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기관 정경학부를 다니면서 사회주의사상을 받아들였다.[6] 당시 진보적인 사상단체인 고려공산청년동맹단체 · 일월회단체 · 재일본무산청년동맹단체 · 신흥과학연구회단체 등에 가입하였다.


조선공산단 활동과 감옥 생활

1927년에는 조선공산당단체 일본부 조직부장을 맡아 서울과 도쿄를 왕래하면서 조선공산당과 관련된 활동을 전개하였다. 조선공산당 제2차 대회에서 결정된 사상 단체 해체론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글을 『이론투쟁』[1927. 4]학술지에 기고하고, 1928년 1월 26일부터 2월 11일까지 7회에 걸쳐 『조선일보』학술지에 「조선 사회 운동의 빛」원고을 발표하는 등 민족협동전선 운동의 강화를 위해서 특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글에서 최익한은 1927년에 조선 사회 운동이 “이론은 추상에서 구체로, 조직은 저급에서 고급으로, 실천은 소수에서 대중으로” 나아갔고, “파벌주의 청산, 사상 단체 해체, 민족적 단일당의 결성, 신간회단체 지지 및 그 지회 조직” 등이 이루어져 획기적으로 진일보하였음을 강조하였다.[7] 『조선일보』에 위 글을 발표한 1928년 2월에 일제의 조선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가 행해졌고, 최익한은 도쿄에서 체포되어 징역 6년을 선고받아 서대문형무소기관에 수감되었다. 1932년 7월 대전형무소기관로 이감 도중 대전역에서 “조선공산당 만세!”, “조선 민족 해방 운동 만세!”를 외치며 만세 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1년이 더해져 7년 동안 감옥 생활을 하였다.[8]


출옥 후 학문활동

1935년 12월 출옥한 뒤에는 서울로 옮겨왔다. 만주사변사건 이후 전시체제로 이행한 상황하에서는 공개적인 사회주의운동이 불가능하였으므로 학문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9] 조선일보사기관 향토문화조사위원, 동아일보사기관 논설사원으로 활동하였고, 신문이 폐간된 뒤에는 『춘추』학술지지에 글을 발표하였다.[10]


광복 후 활발한 정치활동

광복이 되자 최익한은 다시 사회주의 운동을 재개하였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단체 · 조선인민공화국단체의 간부로 지명되었고, 조선공산당에 입당한 뒤(1945.9.) 박헌영(朴憲永)인물 일파의 노선에 반대하는 사회노동당단체 · 근로인민당단체 창당에 관여하였다.[11] 통일전선형성문제에서는 우익을 보다 넓게 포괄하려는 입장에 서서 우익정당과의 제휴를 모색하였고 민족자주연맹단체에 참여하였다.[12] 그러나 언제나 사회주의운동 내에서 비주류에 속하였으며, 결국 1948년 남북협상사건을 계기로 월북하였다.[13]


월북 그 이후

월북한 뒤 최고인민회단체의 제1기 대의원을 지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이후로 최익한의 활동은 거의 알 수 없으며, 정치적인 활동보다는 학문연구에 더욱 몰두한 것으로 보인다. 『력사제문제』(1949∼1950)학술지 · 『력사과학』(1955)학술지 등에 실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는 한편, 김일성대학(金日成大學)기관에서 강의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14] 그 뒤의 소식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사망한 때도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1957년 9~10월경 숙청설과 1970년대 초 타계설이 돌고 있다.[15]





연구


글과 연구

1925년 『동아일보』학술지에 「허생의 실적」원고이라는 글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여유당전서를 독(讀)함」원고 등 많은 글들을 발표하였다.[16] 특히, 정약용(丁若鏞)인물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1930년대 국학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17]


저서

광복 이후에는 그 전에 쓴 「재해와 구제의 사적 단편관」원고 · 「조선의 후생정책」원고 등을 기초로 『조선사회정책사』(1947)서적를 간행하였으며, 1955년에는 그의 대표적인 저술인 『실학파와 정다산』서적을 간행한 실학연구의 선구자였다.[18]





데이터


TripleData

Source (A) Target (B) Relationship
Person: 최익한 Institution: 중동학교 A graduates B
Person: 최익한 Institution: 조선일보사 A worksAt B
Person: 최익한 Group: 조선공산당 A isMemberOf B



Timeline




Network Graph






참고자원

최익한(崔益翰)』,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최익한online, 교보문고.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주석


  1.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3.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4.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6.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8. 최익한online, 디지털울진문화대전.
  9.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최익한online, 교보문고.
  16.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최익한onlin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