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North Korea Humanities

42번째 줄: 42번째 줄:
 
==='''독립운동의 시작'''===
 
==='''독립운동의 시작'''===
 
{{글상자
 
{{글상자
|내용= 1913년 마산 창신 학교(昌信學校), 1917년 마산 의신 여학교(義信女學校)를 거쳐, 평안북도 영변의 숭덕 학교(崇德學校) 교사로 재직하였다. 숭덕 학교 재직 중이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직역 3년을 선고 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
|내용= 1913년 마산 창신 학교, 1917년 마산 의신 여학교를 거쳐, 평안북도 영변의 숭덕 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숭덕 학교 재직 중이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직역 3년을 선고 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
}}
 +
==='''중국으로의 망명'''===
 +
{{글상자
 +
|내용=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1년부터 1924년 3월까지 중국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공부하였다.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 중에도 국내에서 최남선이 발행하던 잡지인 『동명』에 「중국의 새 문자」, 「몽고 민족의 독립운동」, 「중화민국 의회 소사」, 「북경 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계와 정계와의 충돌」, 「경한철(京漢鐵) 종업원 총동맹 파공(罷工)의 전말」, 「호적(胡適) 씨의 건설적 문학 혁명론」, 「민중 혁명화하는 중국의 학생 운동」 등 주로 중국 현대사와 민중 운동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인 1924년 9월에는 정주 오산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흥사단의 국내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수양 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협성 학교, 배재 학교, 동덕 학교, 중앙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
}}
 +
==='''한글 '''===
 +
{{글상자
 +
|내용=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1년부터 1924년 3월까지 중국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공부하였다.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 중에도 국내에서 최남선이 발행하던 잡지인 『동명』에 「중국의 새 문자」, 「몽고 민족의 독립운동」, 「중화민국 의회 소사」, 「북경 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계와 정계와의 충돌」, 「경한철(京漢鐵) 종업원 총동맹 파공(罷工)의 전말」, 「호적(胡適) 씨의 건설적 문학 혁명론」, 「민중 혁명화하는 중국의 학생 운동」 등 주로 중국 현대사와 민중 운동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인 1924년 9월에는 정주 오산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흥사단의 국내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수양 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협성 학교, 배재 학교, 동덕 학교, 중앙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
 
}}

2024년 6월 10일 (월) 09:58 판

인물(Person) 목록으로 이동하기



이윤재(李允宰)
이윤재.jpg
출처 : 전통문화포털 이윤재 [1]
 
한글명 이윤재 한자명 李允宰 영문명 Yunjae Lee 가나명 이칭 환산(桓山),한뫼,한메
성별 남성 생년 1888년 몰년 1943년 출신지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 전공 역사학




항목

차례


개요 생애 연구 데이터 참고자원 주석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국어학자, 역사학자
3.1 독립운동을 주동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역사의식을 높이는 교육자였다.




생애


어린시절

1888년 12월 24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2]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이용준과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6살 무렵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서 인근 고을까지 소문이 났다고 한다.


우리의 역사와 한글에 관심을 두다

당시 외세의 침략에 시달리던 나라를 본 이윤재는 애국개몽운동에 생각을 같이하여 그의 나이 21세에 김해보통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김해 합성학교[3]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하여 민족의식을 가르치기 시작하였고 계성학교의 고등과정을 배우며 우리말과 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1913년 마산 창신학교, 마산의신여학교[4]에서 우리말과 국사를 가르쳤다. 이때 주시경 선생의 학문을 스스로 배우며 한글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독립운동의 시작

1913년 마산 창신 학교, 1917년 마산 의신 여학교를 거쳐, 평안북도 영변의 숭덕 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숭덕 학교 재직 중이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영변 지방의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직역 3년을 선고 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 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중국으로의 망명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1년부터 1924년 3월까지 중국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공부하였다.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 중에도 국내에서 최남선이 발행하던 잡지인 『동명』에 「중국의 새 문자」, 「몽고 민족의 독립운동」, 「중화민국 의회 소사」, 「북경 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계와 정계와의 충돌」, 「경한철(京漢鐵) 종업원 총동맹 파공(罷工)의 전말」, 「호적(胡適) 씨의 건설적 문학 혁명론」, 「민중 혁명화하는 중국의 학생 운동」 등 주로 중국 현대사와 민중 운동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인 1924년 9월에는 정주 오산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흥사단의 국내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수양 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협성 학교, 배재 학교, 동덕 학교, 중앙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한글

출옥 후 마산으로 돌아와 있다가 1921년 6월 중국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1년부터 1924년 3월까지 중국베이징 대학 사학과에서 공부하였다.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 중에도 국내에서 최남선이 발행하던 잡지인 『동명』에 「중국의 새 문자」, 「몽고 민족의 독립운동」, 「중화민국 의회 소사」, 「북경 대학을 중심으로 한 학계와 정계와의 충돌」, 「경한철(京漢鐵) 종업원 총동맹 파공(罷工)의 전말」, 「호적(胡適) 씨의 건설적 문학 혁명론」, 「민중 혁명화하는 중국의 학생 운동」 등 주로 중국 현대사와 민중 운동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귀국 후인 1924년 9월에는 정주 오산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흥사단의 국내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수양 동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 밖에도 협성 학교, 배재 학교, 동덕 학교, 중앙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 https://www.kculture.or.kr/brd/board/252/L/menu/463?brdType=R&thisPage=9&bbIdx=8623&rootCate=&searchField=&searchText=&recordCnt=10
  2. 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3. 현 합성초등학교
  4. 현 마산의신여자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