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헌공 윤전 사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정 국문)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충헌공윤전사우.jpg
 
|사진=충헌공윤전사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2830000 충헌공 윤전 사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2830000 충헌공 윤전 사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충헌공 윤전 사우
 
|대표명칭=충헌공 윤전 사우
|영문명칭=
+
|영문명칭=Shrine of Yun Jeon
 
|한자=忠憲公 尹栓 祠宇
 
|한자=忠憲公 尹栓 祠宇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333번지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333번지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병자호란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윤전(1575~1637)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
충헌공 윤전 사우*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목숨을 잃은 충헌공 윤전(忠憲公 尹烇, 1575~1637)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윤전은 이괄의 난(1624)때 공주로 피신한 인조를 호종(扈從)하였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왕세자의 교육기관)의 필선(弼善)이셨던 선생은 세자빈‧대군‧원손 등을 모시고 강화도로 들어가 적과 대항하다가 절사(節死)하셨다.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윤전은 파평 윤씨 충헌공파의 시조이다. 1610년(광해군 2)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정치적 다툼으로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는 피난하는 인조를 모셨고, 병자호란 때는 세자빈 일행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했다.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하려다 실패하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원래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던 사당을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
윤전 사우는 1807년(순조 7) 그의 후손들이 살던 부여 초촌면에 처음 세웠으나 1920년대 초 윤전의 부인 해평 윤씨와 아들 윤원거(尹元擧)의 묘가 있는 유평리로 옮겨 왔다.  
  
 
===수정 국문===
 
====초고====
 
사우(祠宇)는 선조(先祖)·선현(先賢)의 신주(神主) 혹은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사당이다. 노성면 병사리에 위치한 충헌공 윤전 사우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윤전(1575~1637)의 위패를 모신 사우이다.
 
 
윤전의 사우는 《순조실록》 7년(1807) 3월 25일 기사에 따르면 유생들의 상소로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사람들은 모두 은혜를 입었으니 마땅히 부조를 허락해야 한다”는 중론에 따라 부조묘(不祧廟)* 형식으로 건립되었다.
 
 
본래 후손들이 살았던 부여군 초촌지역에 건립되었으나 1920년대 초반 윤전의 처 해평윤씨와 아들 윤원거(1601~1672)의 묘가 있는 유평리에 사당과 종가를 마련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새로 옮겨진 것이다.
 
 
윤전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광해군 2년(1610)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615년 호조좌랑에 이르렀으나 이위경 등 대북파(大北派)에게 몰려 파면되었다. 인조반정으로 복직하여 경기도도사가 되었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는 공주에 피신한 인조를 호위하였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세자빈·대군·원손을 모시고 강화도로 들어가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후 1702년(숙종 28)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
*부조묘 : 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둔 사당. 본래 4대가 넘는 조상의 신주는 사당에서 꺼내 묻어야 하지만 나라에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는 왕의 허락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는 불천지위(不遷之位)가 된다. 따라서 불천지위가 된 대상은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사우: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은 집.
 +
* 위패: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이슬 수정본>'''
+
===영문===
 +
'''Shrine of Yun Jeon'''
  
이 건물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윤전(尹烇,1575-1637)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지어진 사당이다.
+
This shrine was established for the veneration of Yun Jeon (1575-1637, posthumous name: Chungheon), the founder of the Chungheongong Branch of the Papyeong Yun Clan.
  
윤전은 파평윤씨 충헌공파의 시조이다. 1610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정쟁으로 인해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도성 밖으로 피난하는 인조(재위 1623-1649)를 호종하였다. 1637년 병자호란 때에는 세자빈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을 떠났고,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했다.  
+
Yu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610 and began his service as a civil official but due to the political strife was dismissed and reinstated several times. During an uprising in 1624, he escorted King Injo (r. 1623-1649) to refuge.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7, Yun escorted the crown princess to Ganghwado Island. When the fortress where they were hiding fell, Yun attempted to take his own life rather than dying at enemy hands, but did not succeed and was killed by the enemy.
  
사당은 순조 7년(1807)에 그의 후손들이 살았던 부여 초촌 지역에 처음 세워졌으며, 1920년대 초반 그의 부인 해평윤씨(海平尹氏)와 아들 윤원거(尹元擧, 1601-1672)의 묘가 있는 유평리에 사당과 종가를 마련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
This shrine was originally established in 1807 in Chochon-myeon Township of Buyeo, where his descendants lived. In the early 1920s, it was moved here to Yupyeong-ri Village where the tombs of his wife Lady Yun and his son Yun Won-geo (1601-1672) are located.
  
*건물 정면으로 툇마루를 내었고, 지붕의 측면에는 비바람을 막기 위한 풍판을 달았다. 주변에는 담장이 설치되어 있다.
+
===영문 해설 내용===
*사우는 보통 제사를 모시는 경우도 많은데, 여기에서는 언제 제향을 올리는지 확인 불가능함.
+
이 사당은 파평윤씨 충헌공파의 시조 윤전(1575-1637, 시호: 충헌)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
윤전은 1610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정쟁으로 인해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피난하는 인조(재위 1623-1649)를 호종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세자빈 일행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1차 수정====
+
윤전의 사당은 1807년 그의 후손들이 살던 부여 초촌면에 처음 세웠다가, 1920년대 초 윤전의 부인 해평윤씨와 아들 윤원거(1601-1672)의 묘가 있는 유평리로 옮겨 왔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61번째 줄: 53번째 줄: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충헌공_윤전_사우||Place||충헌공_윤전_사우||
 +
|-
 +
|L34-0283-0000||Heritage||(충청남도_문화재자료_제283호)_충헌공_윤전_사우||
 +
|-
 +
|윤전||Actor||윤전(尹烇,_1575-1637)||
 +
|-
 +
|병자호란||Event||병자호란(1637)||세자빈 일행과 강화도로 피난 후 항전하다 죽음
 +
|-
 +
|이괄의_난||Event||이괄의_난(1624)||인조 호종
 +
|-
 +
|조선_인조||Actor||조선_인조(재위_1623~1649)||
 +
|-
 +
|윤원거||Actor||윤원거(尹元擧,_1601-1672)||
 +
|-
 +
|해평윤씨||Actor||해평윤씨||윤전의 부인이다.
 +
|-
 +
|윤원거_묘||Object||윤원거_묘||
 +
|-
 +
|부여_초촌면||Place||부여_초촌면||순조 7년(1807) 사우가 처음 세워진 지역
 +
|-
 +
|공주시_계룡면_유평리||Place||공주시_계룡면_유평리|| 1920년대 옯겨짐(현재 위치)
 
|}
 
|}
  
67번째 줄: 80번째 줄: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
 
|-
 +
|윤전||충헌공_윤전_사우||isEnshrinedIn
 +
|-
 +
|윤전||병자호란||isRelatedTo
 +
|-
 +
|윤전||이괄의_난||isRelatedTo
 +
|-
 +
|조선_인조||이괄의_난||isRelatedTo
 +
|-
 +
|윤전||윤원거||hasSon
 +
|-
 +
|윤전||해평윤씨||hasWife
 +
|-
 +
|윤원거_묘||충헌공_윤전_사우||isNear
 +
|-
 +
|충헌공_윤전_사우||L34-0283-0000||isDesignatedAs
 +
|-
 +
|충헌공_윤전_사우||부여_초촌면||formerLocation
 +
|-
 +
|충헌공_윤전_사우||공주시_계룡면_유평리||currentLocation
 
|}
 
|}
  
 +
=='''참고자료'''==
 +
* 공주시, 『공주의 문화유산 1: 도지정문화재 및 향토문화유적』, 2012, 237~238쪽.
 +
* ‘윤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3298&cid=40942&categoryId=33383
 +
* ‘부조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4562
 +
* ‘충헌공 윤전 사우’, 디지털공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ongju.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1564
 +
* ‘충헌공 윤전 사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2830000
 +
*[[충헌공 윤전 재실]] (논산시) 항목 -> 윤전은 파평윤씨 충헌공파의 시조이다. 1610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정쟁으로 인해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도성 밖으로 피난하는 인조(재위 1623-1649)를 호종하였다. 1637년 병자호란 때에는 세자빈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을 떠났고,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했다.
  
=='''참고자료'''==
 
* 지자체 제공 참고자료
 
* 두산백과 ’윤전’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3298&cid=40942&categoryId=333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부조묘’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7631&cid=46635&categoryId=46635
 
* 향토문화전자대전 ‘충헌공 윤전 사우’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581233&cid=51898&categoryId=54037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충헌공 윤전 사우’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2830000,34&pageNo=1_1_1_0
 
  
<추가>
 
*[[충헌공 윤전 재실]] (논산시) 항목 -> 윤전은 파평윤씨 충헌공파의 시조이다. 1610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으나, 정쟁으로 인해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도성 밖으로 피난하는 인조(재위 1623-1649)를 호종하였다. 1637년 병자호란 때에는 세자빈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을 떠났고,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했다.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86번째 줄: 117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9월 22일 (수) 12:10 기준 최신판

충헌공 윤전 사우
Shrine of Yun Jeon
충헌공 윤전 사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충헌공 윤전 사우
영문명칭 Shrine of Yun Jeon
한자 忠憲公 尹栓 祠宇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333번지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3호
지정일 1986년 11월 19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충헌공 윤전 사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충헌공 윤전 사우*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목숨을 잃은 충헌공 윤전(忠憲公 尹烇, 1575~1637)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윤전은 파평 윤씨 충헌공파의 시조이다. 1610년(광해군 2)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정치적 다툼으로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때는 피난하는 인조를 모셨고, 병자호란 때는 세자빈 일행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했다.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하려다 실패하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윤전 사우는 1807년(순조 7) 그의 후손들이 살던 부여 초촌면에 처음 세웠으나 1920년대 초 윤전의 부인 해평 윤씨와 아들 윤원거(尹元擧)의 묘가 있는 유평리로 옮겨 왔다.


  • 사우: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은 집.
  • 위패: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

영문

Shrine of Yun Jeon

This shrine was established for the veneration of Yun Jeon (1575-1637, posthumous name: Chungheon), the founder of the Chungheongong Branch of the Papyeong Yun Clan.

Yu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610 and began his service as a civil official but due to the political strife was dismissed and reinstated several times. During an uprising in 1624, he escorted King Injo (r. 1623-1649) to refuge.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7, Yun escorted the crown princess to Ganghwado Island. When the fortress where they were hiding fell, Yun attempted to take his own life rather than dying at enemy hands, but did not succeed and was killed by the enemy.

This shrine was originally established in 1807 in Chochon-myeon Township of Buyeo, where his descendants lived. In the early 1920s, it was moved here to Yupyeong-ri Village where the tombs of his wife Lady Yun and his son Yun Won-geo (1601-1672) are located.

영문 해설 내용

이 사당은 파평윤씨 충헌공파의 시조 윤전(1575-1637, 시호: 충헌)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윤전은 1610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정쟁으로 인해 파직과 복직을 거듭하였다. 1624년 반란이 일어났을 때 피난하는 인조(재위 1623-1649)를 호종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세자빈 일행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강화도의 성이 함락된 후 자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적에게 죽임을 당했다.

윤전의 사당은 1807년 그의 후손들이 살던 부여 초촌면에 처음 세웠다가, 1920년대 초 윤전의 부인 해평윤씨와 아들 윤원거(1601-1672)의 묘가 있는 유평리로 옮겨 왔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충헌공_윤전_사우 Place 충헌공_윤전_사우
L34-0283-0000 Heritage (충청남도_문화재자료_제283호)_충헌공_윤전_사우
윤전 Actor 윤전(尹烇,_1575-1637)
병자호란 Event 병자호란(1637) 세자빈 일행과 강화도로 피난 후 항전하다 죽음
이괄의_난 Event 이괄의_난(1624) 인조 호종
조선_인조 Actor 조선_인조(재위_1623~1649)
윤원거 Actor 윤원거(尹元擧,_1601-1672)
해평윤씨 Actor 해평윤씨 윤전의 부인이다.
윤원거_묘 Object 윤원거_묘
부여_초촌면 Place 부여_초촌면 순조 7년(1807) 사우가 처음 세워진 지역
공주시_계룡면_유평리 Place 공주시_계룡면_유평리 1920년대 옯겨짐(현재 위치)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윤전 충헌공_윤전_사우 isEnshrinedIn
윤전 병자호란 isRelatedTo
윤전 이괄의_난 isRelatedTo
조선_인조 이괄의_난 isRelatedTo
윤전 윤원거 hasSon
윤전 해평윤씨 hasWife
윤원거_묘 충헌공_윤전_사우 isNear
충헌공_윤전_사우 L34-0283-0000 isDesignatedAs
충헌공_윤전_사우 부여_초촌면 formerLocation
충헌공_윤전_사우 공주시_계룡면_유평리 currentLoca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