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천전리 각석 명문 해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133번째 줄: 133번째 줄:
 
|}
 
|}
  
*I guess here they mean a political affiliation rather than an administrative one.
+
* I guess here they mean a political affiliation rather than an administrative one.
**Or should it be just Lady Eosachu since 여랑 is basically her title (여랑왕).
+
** Or should it be just Lady Eosachu since 여랑 is basically her title (여랑왕).
***I calculated the date to the Gregorian calendar [https://ctext.org/date.pl?if=en&entityid=93862&year=g42&month=6&day=%2018 here]
+
*** I calculated the date to the Gregorian calendar [https://ctext.org/date.pl?if=en&entityid=93862&year=g42&month=6&day=%2018 here]
  
  
153번째 줄: 153번째 줄:
 
#*King Jingheung’s major achievements also include the compilation of ''National History'' (Guksa) and great support of Buddhism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Heungnyunsa and Hwangnyongsa Temples. His newly conquered lands included the former Gaya Confederacy and stretched all the way to the basin of the Hangang River and the present-day Hangyeongnam-do Region. Steles commemorating the king’s visit to the new parts of his domain were installed on Bukhansan Mountain in Seoul as well as Hwangchoryeong and Maunryeong Passes in Wonsan, North Korea. King Jinheung also established an elite male youth institution Hwarangdo to train elite warriors.  
 
#*King Jingheung’s major achievements also include the compilation of ''National History'' (Guksa) and great support of Buddhism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Heungnyunsa and Hwangnyongsa Temples. His newly conquered lands included the former Gaya Confederacy and stretched all the way to the basin of the Hangang River and the present-day Hangyeongnam-do Region. Steles commemorating the king’s visit to the new parts of his domain were installed on Bukhansan Mountain in Seoul as well as Hwangchoryeong and Maunryeong Passes in Wonsan, North Korea. King Jinheung also established an elite male youth institution Hwarangdo to train elite warriors.  
  
*Again, I think it is the political aspect of the term ''bu'' that should be of interest here, not the administrative one.  
+
* Again, I think it is the political aspect of the term ''bu'' that should be of interest here, not the administrative one.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07_0050_0040_0020_0010 참조]: 조정은 6부의 대표자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정치운영은 국왕과 6부 대표자들과의 합의 아래 이루어졌다. 그 뒤 사탁부가 국왕의 통제 아래 들어가면서 흔히 왕(금석문에는 寐錦王으로 표기됨)의 동생으로 임명되는 葛文王을 사탁부에 소속시켰다. 이처럼 왕실이 탁부와 사탁부를 발판으로 하여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여 간 결과 다른 부 대표들의 조정에서의 입지는 약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07_0050_0040_0020_0010 참조]: 조정은 6부의 대표자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정치운영은 국왕과 6부 대표자들과의 합의 아래 이루어졌다. 그 뒤 사탁부가 국왕의 통제 아래 들어가면서 흔히 왕(금석문에는 寐錦王으로 표기됨)의 동생으로 임명되는 葛文王을 사탁부에 소속시켰다. 이처럼 왕실이 탁부와 사탁부를 발판으로 하여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여 간 결과 다른 부 대표들의 조정에서의 입지는 약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e Korean version it says it was also used in reference to the king himself. It is probably a typo.  
+
*** In the Korean version it says it was also used in reference to the king himself. It is probably a typo.  
****Saying that Silla’s kings were referred to as 매금 up to 520 is not technically correct since there were a bunch of other names prior to the 5th century. I made some changes in the text to accommodate this detail.  
+
**** Saying that Silla’s kings were referred to as 매금 up to 520 is not technically correct since there were a bunch of other names prior to the 5th century. I made some changes in the text to accommodate this detail.  
*****I mentioned Sabuji here because otherwise, it is not even clear why we even mention 진흥왕 here. I presume there could be some inscriptions connected to him on the rock?
+
***** I mentioned Sabuji here because otherwise, it is not even clear why we even mention 진흥왕 here. I presume there could be some inscriptions connected to him on the rock?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3년 6월 5일 (월) 00:44 판


천전리 각석 명문 해설
울주천전리각석 명문.jpg
Goto.png 종합안내판: 울주 천전리 각석



해설문

국문

천전리 각석 명문 해설

울주 천전리 각석과 명문

천전리 각석은 높이 2.7미터, 너비 9.5미터정도 되는 바위에 선사시대 그림과 신라 때의 글씨 및 그림이 새겨진 것이다. 각석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바위 중간부분 아래쪽에 있는 을사명(원명, 525년)과 기미명(추명, 539년)에 새긴 글씨이다. 525년에 새긴 글씨(을사명)는 가장 오래된 신라 명문의 하나이다.

명문을 주목할 때, 이를 ‘천전리 서석(川前里 書石)’이라 부르며, 6세기 전반에 신라 왕족이 이곳에 행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을사명(원명) 주요 부분

乙巳
沙喙部葛
文王覓遊來.始·見谷·
之.古谷无名谷.善石淂造(書).
△以下爲名書石谷字作之.
幷遊友妹麗德光妙於史
鄒女郞王之.

을사년에 사탁부의 갈문왕이 찾아 놀러 와서
처음으로 골짜기를 보았다. 오래된 골짜기인데도
이름이 없는 골짜기였다. 좋은 돌을 얻어 글을 새기고
이하에는 서석곡이라 이름하고 글자를 지었다.
함께 논 벗은 매(妹)인 아름다운 덕을 지닌 밝고
신묘한 어사추여랑님이다.

기미명(추명) 주요 부분

過去乙巳年六月十八日昧.沙喙
部徙夫知葛文王妹於史鄒女郞
王.共遊來以後△年八巳年過去.妹王考
妹王過人.丁巳年王過去.其王妃只沒尸兮妃
愛自思.己未年七月三日其王· 妹共見書石
叱見來谷.此時共三來· 另卽知太王妃夫乞
支妃.徙夫知王子郞深△夫知共來.此時△

지난 을사년 6월 18일 새벽 사탁부의 사부지 갈문왕과 매인
어사추여랑님이 함께 놀러온 이후 △년을(?)사년(?)이 지나갔다. 매왕(妹王)을
생각하니 매왕은 죽은 사람이다.
정사년(537)에는 (사부지)왕이 죽었다.
그 왕비인 지몰시혜비가 (사부지)왕을 사랑하고 그리워하셔
기미년 7월 3일 (갈문)왕과 매가 함께 보았던 서석을 보러 계곡에 왔다.
이때 함께 셋이 왔는데, 무즉지태왕비 부걸지비와 사부지왕자인 랑심△맥부지가 함께 왔다.

천전리 각석 명문은 6세기 신라 정치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

  1. 천전리 각석 명문의 사료적 가치
    • 각석 명문은 신라왕실 구성원 존재 양상·부(部)·갈문왕·왕권 강화·여성 지위 등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중고기(법흥왕~진덕여왕까지, 520~654) 신라 정치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사료이다.
  2. 왕실 소속부
    • 천전리 각석 명문을 비롯한 6세기 초반 금석문에서 보면, 국왕인 법흥왕은 탁부(양부), 동생인 사부지갈문왕은 사탁부(사량부) 소속이다. 신라 왕실은 탁부와 사탁부에 속하였는데, 이를 2부 체제라 일컫기도 한다.
  3. 갈문왕(葛文王) 제도
    • 갈문왕도 ‘왕(王)’으로 표기하였으며, 갈문왕 부인인 지몰시혜도 ‘왕비(王妃)’라 불렸다. 갈문왕은 국왕과 비견되어 일반 신하와는 다른 존재였다.
    • 갈문왕은 신라 초기에 다른 족단의 우두머리에게 주는 지위였으나, 4세기 후반에 김씨 지배체제가 강화되면서 김씨 족단 내의 인물인 왕의 동생이 갈문왕을 주로 차지하였는데, 법흥왕대까지 그런 관행이 이어지고 있었다.
  4. 왕호의 변화
    • 신라의 왕호는 520년대까지 매금왕[울진봉평비(524년)-‘탁부 모즉지매금왕(喙部 牟卽智寐錦王’)]이었으나, 530년대에는 대왕(大王), 태왕(太王)으로 격상되었다. 천전리 각석의 535년(을묘명) 명문에서 법흥왕은 ‘성법흥대왕(聖法興大王)’, 539년(기미명) 명문에는 ‘무즉지태왕(另卽知太王), 이라 하여 신라 국왕의 위상이 달라졌음을 나타낸다.
  5. 진흥왕(540년~576년)의 활동
    • 진흥왕은 법흥왕에 이어 7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으므로 태후인 지몰시혜비(지소부인)가 진흥왕이 직접 정사를 돌보기 시작한 551년까지 섭정한 것으로 보인다.
    • 진흥왕은 545년 거칠부에 명하여 국사(國史)를 편찬했고, 553년 한강유역 점령, 562년 가야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하였다. 진흥왕은 새로 확보한 영토를 순수하고 서울 북한산, 함경도 원산의 황초령·마운령에 각각의 순수비(巡狩碑)를 세웠으며, 화랑도 창설, 흥륜사 준공, 황룡사 창건 등의 업적을 남겼다.

영문

Petroglyphs and Inscriptions of Cheonjeon-ri, Ulju

Carved images (and designs) dating back to the Bronze Age (1500-300 BCE), as well as inscriptions and carved images of the Silla period (57 BCE – 935 CE), are distributed over a flat surface of a rock measuring 9.5 m in width and 2.7 m in height. Among approximately 250 inscriptions featured on the rock, the two most noteworthy inscriptions are located in its middle bottom part and date to 525 and 539. These are the records about Silla’s royal family members visiting this place. The record of 525 is one of Silla’s earliest extant stone inscriptions.

Extract from Inscription of Year 525

乙巳
沙喙部葛
文王覓遊來.始·見谷·
之.古谷无名谷.善石淂造(書).
△以下爲名書石谷字作之.
幷遊友妹麗德光妙於史
鄒女郞王之.

In the eulsa year (525), Galmunwang (Prince Sabuji) from Satak-bu District/Satakbu Fraction* came with a visit and beheld the stream valley for the first time.
Despite being an ancient valley, it did not have a name.
Upon leaving an inscription on a fine rock, he named the valley Seoseokgok (“the Valley of the Inscribed Rock”).
Galmunwang was accompanied by his sister Lady Eosachuyeorang**, a bright and enigmatic person of great virtues.

Extract from Inscription of Year 539

過去乙巳年六月十八日昧.沙喙
部徙夫知葛文王妹於史鄒女郞
王.共遊來以後△年八巳年過去.妹王考
妹王過人.丁巳年王過去.其王妃只沒尸兮妃
愛自思.己未年七月三日其王· 妹共見書石
叱見來谷.此時共三來· 另卽知太王妃夫乞
支妃.徙夫知王子郞深△夫知共來.此時△

(?) years have passed since Galmunwang of Satak-bu District/Satakbu Fraction* and his sister Lady Eosachuyeorang** visited this place in the morning of the 18th day of the sixth month of the eulsa year (July 25, 525***).
As for Lady Eosachuyeorang, she has already passed away, and so did Galmunwang in the jeonsa year (537).
On the third day of the seventh month of the gimi year (August 4, 539) Galmunwang’s grieving wife Lady Jimolsihye came to the valley to see the rock on which her husband and Lady Eosachuyeorang left an inscription.
At the time, Lady Jimolsihye was accompanied by Queen Bugeolji, the consort of King Beopheung (r. 514-540) and Galmunwang’s son Simmaekbu.
  

  • I guess here they mean a political affiliation rather than an administrative one.
    • Or should it be just Lady Eosachu since 여랑 is basically her title (여랑왕).
      • I calculated the date to the Gregorian calendar here


Cheonjeon-ri Inscriptions as Historical Records Shedding Light on Silla’s Sociopolitical System in the 6th Century

  1. Historical Value of Cheonjeon-ri Inscriptions
    • The Inscription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several sociopolitical aspects of life in Silla during the 6th-7th centuries, which includes the structure of the royal court,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unit bu (“district”)* in Silla’s capital, the nature of the title Galmunwang, the consolidation of king’s authority, and the status of women.
  2. Structure of Royal Court
    • The six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lla’s capital also represented separate political entities or fractions which ruled the kingdom. According to the 6th-century inscriptions on this rock, King Beopheung and his younger brother Prince Sabuji Galmunwang belonged respectively to Takbu and Satakbu Fractions** which eventually consolidated a lot of power weakening the position of other fractions and effectively formed a two-fraction government system.
  3. Title of Galmunwang
    • Over the history of the Silla kingdom, the royal title Galmunwang was used in reference to the king’s father***, father-in-law, a younger brother, or other (male?) relatives. The precise meaning of the title Galmunwang remains unknown.
    • In the early years of the kingdom, the selection of a king was done on a rotation principle between three dominant clans: Bak, Seok, and Kim. Thus, the title Galmunwang was given to the head(s) of the clan(s) which are not the clan of the ruling king. In the late 4th century, the Kim Clan strengthened its power and established a hereditary crown inheritance system. At the time, the title Galmunwang was mostly granted to the king’s younger brother. This practice continued until the reign of King Beopheung (r. 514-540).
  4. Change of Kingship Titles
    • The term maegum**** (“the great chief,”) referring to Silla’s rulers, which had been in use since the late 4th century disappeared by the 530s when the titles daewang or taewang, meaning “the great king” were introduced. In fact, the inscriptions on this rock dating to 535 and 539 regard King Beopheung as Seongbeopheung Daewang and Mujeukji Taewang,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tatus of kingship itself had undergone certain changes.
  5. Achievements of King Jinheung
    • King Jinheung (r. 540-576), the son of Prince Sabuji (Galmunwang)***** ascended to the throne at a young age, and until 551 his mother Lady Jimolsihye acted as a regent.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the kingdom’s territory underwent unprecedented expansion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Silla’s rule.
    • King Jingheung’s major achievements also include the compilation of National History (Guksa) and great support of Buddhism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Heungnyunsa and Hwangnyongsa Temples. His newly conquered lands included the former Gaya Confederacy and stretched all the way to the basin of the Hangang River and the present-day Hangyeongnam-do Region. Steles commemorating the king’s visit to the new parts of his domain were installed on Bukhansan Mountain in Seoul as well as Hwangchoryeong and Maunryeong Passes in Wonsan, North Korea. King Jinheung also established an elite male youth institution Hwarangdo to train elite warriors.
  • Again, I think it is the political aspect of the term bu that should be of interest here, not the administrative one.
    • 참조: 조정은 6부의 대표자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정치운영은 국왕과 6부 대표자들과의 합의 아래 이루어졌다. 그 뒤 사탁부가 국왕의 통제 아래 들어가면서 흔히 왕(금석문에는 寐錦王으로 표기됨)의 동생으로 임명되는 葛文王을 사탁부에 소속시켰다. 이처럼 왕실이 탁부와 사탁부를 발판으로 하여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여 간 결과 다른 부 대표들의 조정에서의 입지는 약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In the Korean version it says it was also used in reference to the king himself. It is probably a typo.
        • Saying that Silla’s kings were referred to as 매금 up to 520 is not technically correct since there were a bunch of other names prior to the 5th century. I made some changes in the text to accommodate this detail.
          • I mentioned Sabuji here because otherwise, it is not even clear why we even mention 진흥왕 here. I presume there could be some inscriptions connected to him on the rock?

영문 해설 내용

천전리 각석 명문 해설

울주 천전리 각석과 명문

천전리 각석은 너비 9.5m, 높이 2.7m 정도 되는 바위에 청동기시대 그림과 신라 때의 글씨 및 그림이 새겨진 것이다. 바위 곳곳에 새겨진 250여 개의 명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바위 중간 부분 아래 쪽에 있는 2개의 명문으로 각각 525년과 539년에 새겨졌다. 두 명문은 6세기 전반에 신라 왕족이 이곳에 행차했음을 기록하였으며, 525년의 명문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신라 명문 중 하나이다.

525년 명문 주요 부분

乙巳
沙喙部葛
文王覓遊來.始·見谷·
之.古谷无名谷.善石淂造(書).
△以下爲名書石谷字作之.
幷遊友妹麗德光妙於史
鄒女郞王之.

을사년(525년)에 사탁부(신라 때 경주 6부의 하나)의 갈문왕이 찾아 놀러 와서 처음으로 이곳의 골짜기를 보았다.
이곳은 오래된 골짜기인데도 이름이 없었다.
좋은 돌을 찾아 글을 새기고, 이 골짜기를 “돌에 글자를 새긴 골짜기”라는 뜻의 서석곡이라 하였다.
함께 온 이는 누이인 어사추여랑으로, 아름다운 덕을 지닌 밝고 신묘한 분이시다.

539년 명문 주요 부분

過去乙巳年六月十八日昧.沙喙
部徙夫知葛文王妹於史鄒女郞
王.共遊來以後△年八巳年過去.妹王考
妹王過人.丁巳年王過去.其王妃只沒尸兮妃
愛自思.己未年七月三日其王· 妹共見書石
叱見來谷.此時共三來· 另卽知太王妃夫乞
支妃.徙夫知王子郞深△夫知共來.此時△

지난 525년 [음력] 6월 18일 새벽 사탁부의 사부지 갈문왕과 누이인 어사추여랑이 함께 놀러온 이후 (?)년이 지나갔다.
어사추여랑을 생각하니 그녀는 이미 세상을 떠났고, 537년에는 갈문왕이 죽었다.
그 왕비인 지몰시혜비가 갈문왕을 그리워하다가
539년 [음력] 7월 3일 갈문왕과 누이가 함께 보고 글을 써놓은 돌을 보러 이 골짜기에 왔다.
이때 무즉지태왕(법흥왕, 재위 514-540)의 왕비인 부걸지비와 갈문왕의 아들인 심맥부가 함께 왔다.

천전리 각석 명문은 6세기 신라 정치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

  1. 천전리 각석 명문의 사료적 가치
    • 각석 명문은 신라 왕실의 구성원, 왕경의 행정구역인 부(部), 갈문왕, 왕권 강화, 여성 지위 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며, 6-7세기 신라 정치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사료이다.
  2. 왕실 소속부
    • 신라 초기 왕경에는 6개의 정치체가 있었다. 천전리 각석 명문을 비롯한 6세기 초반 금석문에 따르면, 국왕인 법흥왕은 탁부(양부), 동생인 사부지 갈문왕은 사탁부(사량부) 소속이다. 신라 왕실은 탁부와 사탁부에 속하였는데, 이를 2부 체제라 일컫기도 한다.
  3. 갈문왕(葛文王) 제도
    • 갈문왕은 왕이나 왕비의 아버지, 외할아버지, 동생 등 근친에게 사용하던 왕호이다. 갈문왕이라는 명칭의 뜻은 알 수 없다.
    • 신라 초기에는 박, 석, 김의 3개 성씨가 돌아가면서 왕을 내며 지배체제를 유지했다. 원래 갈문왕은 왕이 속하지 않은 다른 성씨의 우두머리에게 주는 지위였다. 4세기 후반 김씨 지배체제가 강화되면서부터 왕의 동생이 갈문왕의 칭호를 주로 받았으며, 법흥왕(재위 514-540) 때까지 그런 관행이 이어졌다.
  4. 왕호의 변화
    • 신라 왕의 칭호는 520년대까지 “대수장(大首長)”을 뜻하는 매금이었으나, 530년대에 들어 대왕(大王), 태왕(太王)으로 격상되었다. 천전리 각석의 535년 명문과 539년 명문에서 법흥왕은 각각 ‘성법흥대왕(聖法興大王)’, ‘무즉지태왕’으로 일컬어지며 신라 국왕의 위상이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5. 진흥왕의 활동
    • 진흥왕(재위 540-576)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초반에는 어머니인 지몰시혜비가 섭정하였다. 551년부터 진흥왕이 직접 정사를 돌보기 시작하였고, 이후 신라 최대의 영토를 개척하고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진흥왕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역사서인 『국사(國史)』를 편찬하게 하였고, 불교를 진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흥륜사와 황룡사 등 대규모 사찰을 창건하였다. 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가야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으며, 새로 넓힌 영토를 직접 돌아보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서울 북한산, 함경도 원산의 황초령·마운령 등에 비석을 세웠다.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청소년 수련단체인 화랑도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