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청곡사 업경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17일 (화) 01:4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청곡사업경전.jpg |사진출처=[http://t032.danah.co.kr/?c=1/10 업경전], 청곡사 홈페이지. |대표명칭=진주 청곡...)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청곡사 업경전
업경전, 청곡사 홈페이지.
대표명칭 진주 청곡사 업경전
한자 晉州 靑谷寺 業鏡殿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1440번길 138 (금산면, 청곡사)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지정일 1985년 1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진주 청곡사 업경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곡사 업경전*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조선 광해군 시절에 다시 짓고 조선 말기에 포우대사(布雨大師)가 고쳐 지었다.

업경전은 맞배지붕이고 천정은 우물천정으로 외부에 비해 내부가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특히, 마룻바닥은 자귀로 마감질이 된 우물마루로 오랜 역사를 잘 나타내고 있는 건물이다.

청곡사 업경전 안에는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 명부시왕, 판관, 금강역사 등이 모셔져 있다.


  • 업경전 : 명부전(冥府殿), 지장전(地藏殿)이라고 한다. 중생들이 생전에 쌓은 업(業)을 죽은 후에 심판하고 교화하는 역할을 하는 지장보살을 모신 건물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청곡사 업경전은 지장보살과 시왕을 모시고 있는 전각으로, 이러한 전각은 일반적으로 명부전 혹은 지장전이라고 부른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중생을 구원하는 보살이며,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시왕은 저승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재판관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각은 불교 사찰에서 저승세계를 상징하며, 죽은 이를 위한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청곡사의 전각들은 고려시대에 중창된 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17세기에 다시 지었고, 조선 말에 포우대사가 고쳐 지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고 한다. 지금의 건물은 2000년대 이후 다시 지은 것이다.

외관은 단순하면서도 앞면과 뒷면의 처마 형태를 다르게 처리해 특징을 살렸으며, 내부는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안에는 지장보살, 도명존자, 무독귀왕등의 삼존상을 중심으로 시왕상과 판관상 등 여러 권속들을 표현한 총 21구의 존상[진주 청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보물 제1689호]과 입구 좌·우에서 수호신 역할을 하는 금강역사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8호)이 모셔져 있다.

  • 사찰 홈페이지에서 제시한 연혁에 따르면 1602년 대웅전 중수, 1612년 대웅전 삼존불과 제석천왕 대범천왕 조성, 1661년 업경전 10왕 조성 등의 연혁이 확인되므로 ‘17세기’에 다시 지은 것으로 추정 가능하나, ‘조선 말 포우대사’와 관련해서는 관련 정보 확인 어려움(포우대사 생존 시기 확인이 어려워 ‘조선 말’이라는 시기도 명확히 규정할 수 없음.)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