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1420000 중흥...)
 
27번째 줄: 27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이 불상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원하며, 모든 중생을 구원할 때까지 성불을 미루는 보살인 지장보살을 표현한 것이다.
  
 +
언제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
불상은 어깨까지 내려오는 두건을 쓰고 있어 지장보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의 지장보살은 조선 초기까지 더러 보이므로, 이 불상의 조성 연대를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
 +
 +
불상은 왼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오른쪽 다리는 접어 연꽃으로 장식한 대좌 위에 둔 반가 자세를 하였다. 대좌에는 발 받침대도 표현되어 있다.
 +
 +
법의는 스님들이 입는 장삼을 걸쳤는데, 가슴 앞에서 겹쳐진 옷고름을 표현한 것이 특이하다.
 +
 +
석조 불상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 불상은 점판암을 사용해 제작되었다. 코와 목, 양 손과 왼쪽 발끝은 시멘트로 보수한 것이다. 불상의 높이는 79cm이다.
 +
 +
본래 중흥사 삼층석탑 옆에 있었던 이 불상은 도난을 당해 1978년 서울로 불법 반출되었다가 이듬해에 다시 돌아왔다고 한다. 현재는 요사채에 모셔져 있다.
 +
 +
*중흥사(中興寺)는 통일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가 운암사(雲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로,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 끝에 불에 타 폐사되었다. 지역 독지가인 하태호(河泰鎬)의 후원으로 1963년 중창한 이후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차 수정====
 
====1차 수정====
34번째 줄: 48번째 줄:
 
=='''문맥요소'''==
 
=='''문맥요소'''==
 
===Nodes===
 
===Nod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Object||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
|-
 +
|광양_중흥사||Place||광양_중흥사||
 +
|-
 +
|도선국사||Actor||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중흥사 창건
 +
|-
 +
|지장보살||Concept||지장보살||
 +
|-
 +
|반가상||Concept||반가상||
 +
|-
 +
|광양_중흥사_요사채||Place||광양_중흥사_요사채||
 +
|}
 +
  
 
===Links===
 
===Link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200px"| Source ||style="width:200px"| Target || style="width:200px"| Relation
 +
|-
 +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광양_중흥사_요사채||currentLocation
 +
|-
 +
|광양_중흥사||광양_중흥사_요사채||hasPart
 +
|-
 +
|광양_중흥사||도선국사||founder
 +
|-
 +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지장보살||depicts
 +
|-
 +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반가상||type
 +
|}
  
  
 
=='''참고자료'''==
 
=='''참고자료'''==
===참고사진'''===
+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81 →  하단부에 와서도 군의(裙衣) 자락이 아닌 두루마기 같은 형태로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되었다. 이러한 불상의 의문(衣文 : 옷자락 무늬)은 우리나라 불상에서는 보기 드문 특이한 것이다. / 코는 손상을 입어 시멘트로 보수하였다. 목에 삼도가 보이나 목 부분이 균열되어 시멘트로 보수하여 놓았다. 양손과 왼쪽 발끝은 시멘트로 다시 만들었다. / 통례와는 달리 왼쪽 발을 가부좌하고 오른발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강진 무위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 가운데 오른쪽(향좌) 지장보살의 형식과 같아 주목된다
 +
*광양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광양 중흥사, 들꽃-문화재 다 모여라, 네이버 블로그, 2017.3.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eng19&logNo=22095365566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 불상은 도난을 몇 번 당해 만나기가 쉽지 않다. 요사채에 보관하고 있어 스님의 안내를 받지 않으면 만날 수가 없다. / 안내판 사진 / 광양 중흥사는 중흥산성 내에 있는 절로 임진왜란 때 화재로 폐사되었다.
 +
*위치 부적절한 문화재 안내판, 시민 혼란만 가중, 광양시민신문, 2019.5.6. http://m.gycitizen.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49 →안내판에 쓰인 고려시대 ‘석조지상보 살반가상’은 1986년 9월 26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되었으며, 한쪽 다리만 가부좌를 튼 돌로 만들어진 조그만 보살상으로 도난의 우려가 있어 현재 중흥사 요사채에 모시고 있다.
 +
*중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75 → 중흥사(中興寺)는 통일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가 운암사(雲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이다. 후대에 중흥산성 안에 자리하고 있어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이 사찰은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 끝에 불에 타 폐사되었던 절터에 비구니들이 작은 암자를 건립하여 명맥을 이어왔으며, 1943년에 다시 폐허가 되었던 가람을 지역 독지가인 하태호(河泰鎬)의 후원으로 1963년 중창하게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1년 4월 23일 (금) 14:25 판


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
한자 中興寺石造地藏菩薩半跏像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중흥로 263-100 (운평리)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지정일 1986년 2월 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일반적인 반가상(半跏像) 양식과는 달리 왼발을 오른 무릎 위에 올리고, 오른발은 내리고 있다. 높이는 79cm이다. 머리에 두건을 쓰고 있어 지장보살로 여겨진다. 이런 모습의 지장보살상은 조선 초기까지 더러 보인다. 얼굴은 형식화가 엿보이지만 풍만하고, 체구는 다소 무겁고 둔해 보이지만 친근감을 준다. 옷은 독특하게도 스님들이 입는 장삼을 걸쳤다. 두건과 함께 친밀감을 나타내려는 것으로 보인다. 불상을 올린 대좌는 아래쪽만 보이는데, 연꽃이 겹겹이 새겨져 있다. 발 받침대도 있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고통에 허덕이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로 고려시대 이후에는 석조불이 주로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강암이 아니라 점판암이 사용된 점도 특이하다. 중흥사 반가상이 소중한 이유는 불상 중에 반가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조성 시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추정된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상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원하며, 모든 중생을 구원할 때까지 성불을 미루는 보살인 지장보살을 표현한 것이다.

언제 만들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은 어깨까지 내려오는 두건을 쓰고 있어 지장보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의 지장보살은 조선 초기까지 더러 보이므로, 이 불상의 조성 연대를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

불상은 왼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오른쪽 다리는 접어 연꽃으로 장식한 대좌 위에 둔 반가 자세를 하였다. 대좌에는 발 받침대도 표현되어 있다.

법의는 스님들이 입는 장삼을 걸쳤는데, 가슴 앞에서 겹쳐진 옷고름을 표현한 것이 특이하다.

석조 불상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 불상은 점판암을 사용해 제작되었다. 코와 목, 양 손과 왼쪽 발끝은 시멘트로 보수한 것이다. 불상의 높이는 79cm이다.

본래 중흥사 삼층석탑 옆에 있었던 이 불상은 도난을 당해 1978년 서울로 불법 반출되었다가 이듬해에 다시 돌아왔다고 한다. 현재는 요사채에 모셔져 있다.

  • 중흥사(中興寺)는 통일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가 운암사(雲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로,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 끝에 불에 타 폐사되었다. 지역 독지가인 하태호(河泰鎬)의 후원으로 1963년 중창한 이후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Object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광양_중흥사 Place 광양_중흥사
도선국사 Actor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 중흥사 창건
지장보살 Concept 지장보살
반가상 Concept 반가상
광양_중흥사_요사채 Place 광양_중흥사_요사채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광양_중흥사_요사채 currentLocation
광양_중흥사 광양_중흥사_요사채 hasPart
광양_중흥사 도선국사 founder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지장보살 depicts
중흥사_석조지장보살반가상 반가상 type


참고자료

  •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81 → 하단부에 와서도 군의(裙衣) 자락이 아닌 두루마기 같은 형태로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되었다. 이러한 불상의 의문(衣文 : 옷자락 무늬)은 우리나라 불상에서는 보기 드문 특이한 것이다. / 코는 손상을 입어 시멘트로 보수하였다. 목에 삼도가 보이나 목 부분이 균열되어 시멘트로 보수하여 놓았다. 양손과 왼쪽 발끝은 시멘트로 다시 만들었다. / 통례와는 달리 왼쪽 발을 가부좌하고 오른발을 내리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강진 무위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 가운데 오른쪽(향좌) 지장보살의 형식과 같아 주목된다
  • 광양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광양 중흥사, 들꽃-문화재 다 모여라, 네이버 블로그, 2017.3.9.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eng19&logNo=22095365566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 불상은 도난을 몇 번 당해 만나기가 쉽지 않다. 요사채에 보관하고 있어 스님의 안내를 받지 않으면 만날 수가 없다. / 안내판 사진 / 광양 중흥사는 중흥산성 내에 있는 절로 임진왜란 때 화재로 폐사되었다.
  • 위치 부적절한 문화재 안내판, 시민 혼란만 가중, 광양시민신문, 2019.5.6. http://m.gycitizen.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49 →안내판에 쓰인 고려시대 ‘석조지상보 살반가상’은 1986년 9월 26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되었으며, 한쪽 다리만 가부좌를 튼 돌로 만들어진 조그만 보살상으로 도난의 우려가 있어 현재 중흥사 요사채에 모시고 있다.
  • 중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3975 → 중흥사(中興寺)는 통일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가 운암사(雲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이다. 후대에 중흥산성 안에 자리하고 있어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이 사찰은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 끝에 불에 타 폐사되었던 절터에 비구니들이 작은 암자를 건립하여 명맥을 이어왔으며, 1943년에 다시 폐허가 되었던 가람을 지역 독지가인 하태호(河泰鎬)의 후원으로 1963년 중창하게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