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정지 장군 예장석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정지장군예장석묘.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2400020000 정지 장군 예...)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곳은 고려 말의 명장인 정지(1347-1391)의 묘이다. 정지는 전쟁에서 왜구를 무찌르는 공을 세웠고, 1388년 이성계(1335~1408)가 권력을 잡고 새 왕조인 조선을 세우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고려 왕조를 지지하는 이들과 연루되어 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가, 이성계를 도운 공을 인정 받아 1391년 공신이 되었다.
  
 +
정지의 묘는 공신의 예를 갖추어 조성되었다. 사다리꼴 모양으로 각이 지게 만들어 3면에 돌담을 쌓고 그 위에 흙을 쌓아 덮은 구조이며, 돌을 두른 것은 고려 후기의 전형적인 묘제이다. 묘는 둘레 19.3m, 높이 1m이며, 묘 앞에는 묘비, 상석, 석인(石人) 2기가 있다.
  
 +
묘의 남쪽에는 정지 장군을 기리기 위해 1981년에 세운 경렬사가 있다.
  
 
+
=='''참고자료'''==
 +
* 경열사,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http://www.gjsgcc.or.kr/ko/25/view?SEQ=2192
 +
* 정지, 국역 고려사: 열전,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131&docId=1672012&categoryId=62163
  
  

2022년 12월 21일 (수) 09:47 판


정지장군예장석묘
정지 장군 예장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정지장군예장석묘
한자 鄭地將軍禮葬石墓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176번지
지정번호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호
지정일 1975년 12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정지 장군 예장석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정지(鄭地, 1347∼1391) 장군의 시호는 경렬(景烈), 본관은 하동이다. 정지 장군은 고려말 1374년(공민왕 23) 중랑장을 거쳐 전라도안무사가 되어 왜구침입에 따른 수군 창설·양성에 힘썼고, 1383년 왜구를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공신 정지 장군을 모신 묘는 경렬사 뒤쪽 언덕에 있다. 이 묘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방식으로 국가에서 공신의 예(禮)를 갖추어 조성한 것이다. 예장(禮葬)은 국장(國葬) 다음가는 국가에서 주도하는 장례로 공적이 뛰어난 문·무관 및 공신에게 베풀어주는 장례를 말한다.

무덤은 네모 모양으로 각이 지게 만들어 3면에 돌담을 쌓고 그 위에 흙을 쌓아 덮은 구조이다. 삼면에 돌을 쌓아 무덤을 보호하는 방식이다. 묘는 둘레 19.3m, 높이 1m이며 묘비와 석인(石人) 2기가 있다. 돌을 두른 것은 고려 후기의 묘제로서 이 지역에서 보기 드문 것으로 문화재 가치가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고려 말의 명장인 정지(1347-1391)의 묘이다. 정지는 전쟁에서 왜구를 무찌르는 공을 세웠고, 1388년 이성계(1335~1408)가 권력을 잡고 새 왕조인 조선을 세우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고려 왕조를 지지하는 이들과 연루되어 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가, 이성계를 도운 공을 인정 받아 1391년 공신이 되었다.

정지의 묘는 공신의 예를 갖추어 조성되었다. 사다리꼴 모양으로 각이 지게 만들어 3면에 돌담을 쌓고 그 위에 흙을 쌓아 덮은 구조이며, 돌을 두른 것은 고려 후기의 전형적인 묘제이다. 묘는 둘레 19.3m, 높이 1m이며, 묘 앞에는 묘비, 상석, 석인(石人) 2기가 있다.

묘의 남쪽에는 정지 장군을 기리기 위해 1981년에 세운 경렬사가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