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울산 신흥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41번째 줄: 41번째 줄:
  
 
The main worship hall of Sinheungsa Temple is Daeungjeon Hall, which was built in 1998. Enshrined inside is a stone statue of a seated Amitabha Buddha (Treasure) made in 1649. To the left of Daeungjeon Hall is Eungjinjeon Hall (Ulsan Cultural Heritage Material). Built in the 18th century, it is the oldest building in Sinheungsa Temple and is a valuable testament to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originally served as the main worship hall, but now enshrines 18 statues of arhats, or the perfected disciples of the Buddha. In particular, the colorfully painted coffered ceiling inside Eungjinjeon Hall was designated as an Ulsan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7 in recognition of its artistic value, including the creativity of its pattern composition.
 
The main worship hall of Sinheungsa Temple is Daeungjeon Hall, which was built in 1998. Enshrined inside is a stone statue of a seated Amitabha Buddha (Treasure) made in 1649. To the left of Daeungjeon Hall is Eungjinjeon Hall (Ulsan Cultural Heritage Material). Built in the 18th century, it is the oldest building in Sinheungsa Temple and is a valuable testament to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originally served as the main worship hall, but now enshrines 18 statues of arhats, or the perfected disciples of the Buddha. In particular, the colorfully painted coffered ceiling inside Eungjinjeon Hall was designated as an Ulsan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7 in recognition of its artistic value, including the creativity of its pattern composition.
 +
 +
*마지막 문단은 순서를 좀 많이 수정했습니다.
 +
*건흥사의 뜻을 설명하는데 신흥사의 뜻을 설명 안해서 좀 이상한 것 같아요. 그냥 빼는 것이 낫겠어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3년 8월 18일 (금) 12:16 판


신흥사
新興寺
도량소개, 신흥사 홈페이지.
대표명칭 신흥사
영문명칭 新興寺
주소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4길 280(대안동)
웹사이트 신흥사 홈페이지



해설문

국문

신흥사는 울산 대안동 동대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의 말사*이다. 문두루* 비법으로 당나라 군대를 물리쳤던 명랑대사가 신라 635년(선덕여왕 4)에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창건 당시의 이름은 나라의 태평과 백성의 평안을 위한다는 뜻인 ‘건흥사(建興寺)’였다고 한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신흥사 위쪽 기박산성을 중심으로 울산의병이 일어났는데, 당시에 신흥사 주지였던 지운스님이 왜군의 침략에 맞서 승병* 활동을 활발하게 펼쳤던 호국사찰이다. 이후 1597년 정유재란 때 왜군에 의해 사찰이 소실되었으나, 1646년(인조 24)에 나라의 지원을 받아 경상좌병영 병마절도사* 이급(李伋)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그로부터 3년 뒤인 1649년에는 현재 대웅전*에 모셔진 석조아미타여래좌상이 조성되었다. 뒤이어 1686년(숙종 12)과 1752년(영조 28)에 각각 도량을 중창하였는데, 대웅전 맞은편 신성루(神成樓)에 병마절도사 이상국(李相國)이 1757년에 쓴 현판 글씨가 걸려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뒤에도 사찰 재건이 계속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872년에 그려진 신흥산성도(新興山城圖)에서는 신흥사와 더불어 부속 암자인 낙서암(樂西庵), 염불암(念佛庵), 내원암(內院庵)을 함께 볼 수 있는데 이로써 국가 호국사찰로서의 규모와 군사지정학적 중요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998년에는 현재의 대웅전을 새로 지으면서 원래 대웅전으로 쓰이던 건물은 왼쪽으로 옮기고 이름을 응진전*으로 바꾸었는데, 옛 대웅전이란 뜻으로 ‘구(舊) 대웅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응진전은 신흥사에서 가장 오래된 전각으로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말사(末寺):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본사 중 하나에 소속된 사찰
  • 문두루(文豆婁): 여러 가지 손 모양을 짓는 불교 의식인 ‘무드라(Mudra)’에서 소리를 따온 말로서 수인(手印) 또는 신인(神印)이라 번역하며 명랑대사가 신라에 침입해 오는 당나라 군사를 물리치려고 사용한 비밀스러운 의식
  • 승병(僧兵): 임진왜란 당시 호국 정신과 백성에 대한 연민으로 스님들이 주도한 의병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선시대 각 도의 군사를 효율적으로 지휘하려고 설치한 종2품 관직
  •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 또는 사찰의 가장 중심적인 전각
  • 응진전(應眞殿): 깨달음을 얻은 16분 또는 18분의 아라한을 모신 전각. 아라한이란 인도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에서 소리를 따온 말로, 깨달음을 얻어 진리에 합하였다는 뜻으로 응진(應眞), 또는 응당히 공양을 받고 만인에게 이익을 줄 수 있다는 뜻으로 응공(應供)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영문

Sinheungsa Temple, Ulsan

Sinheungsa Temple, located on the slope of Dongdaesan Mountain in Daean-dong, Ulsan, is an affiliated temple of Tongdosa Temple, Diocese No. 15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635 during the Silla period (57 BCE-935 CE) by Monk Myeongnang under the name Geonheungsa, meaning "Temple of Establishing Prosperi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nearby Gibaksanseong Fortress became the base of the local civilian army. Monk Jiun, who was the head monk of Sinheungsa Temple at the time, led monk-soldiers in the fi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However, the temple was ultimately destroyed in 1597 by Japanese troops. It was reconstructed in 1646 with government support and underwent renovations in 1686 and in 1752. In 1872, a painting depicting the Gibaksanseong Fortress area together with Sinheungsa Temple and its affiliate hermitages was made, which attests to the size and importance of Sinheungsa Temple as a “state-protecting” temple at the time.

The main worship hall of Sinheungsa Temple is Daeungjeon Hall, which was built in 1998. Enshrined inside is a stone statue of a seated Amitabha Buddha (Treasure) made in 1649. To the left of Daeungjeon Hall is Eungjinjeon Hall (Ulsan Cultural Heritage Material). Built in the 18th century, it is the oldest building in Sinheungsa Temple and is a valuable testament to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It originally served as the main worship hall, but now enshrines 18 statues of arhats, or the perfected disciples of the Buddha. In particular, the colorfully painted coffered ceiling inside Eungjinjeon Hall was designated as an Ulsan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7 in recognition of its artistic value, including the creativity of its pattern composition.

  • 마지막 문단은 순서를 좀 많이 수정했습니다.
  • 건흥사의 뜻을 설명하는데 신흥사의 뜻을 설명 안해서 좀 이상한 것 같아요. 그냥 빼는 것이 낫겠어요.

영문 해설 내용

신흥사는 울산 대안동 동대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인 635년 명랑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창건 당시의 이름은 “건흥사”로 “나라의 태평과 백성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조선시대인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울산 지역에서는 신흥사 인근의 기박산성을 중심으로 의병들이 활동하였다. 당시 신흥사 주지였던 지운스님은 승군을 이끌고 왜군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이후 1597년 왜군에 의해 사찰이 소실되었다가, 1646년 나라의 지원을 받아 재건되었고 1686년과 1752년 등 여러 차례 중창되었다. 1872년에 기박산성 일대를 그린 그림에는 신흥사와 더불어 여러 부속 암자들이 같이 그려져 있는데, 이로 보아 당시 호국사찰로서의 신흥사의 규모와 중요성을 짐작해볼 수 있다.

현재 신흥사의 중심 전각은 1998년에 지어진 대웅전이고, 내부에는 1649년에 조성된 석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이 모셔져 있다. 대웅전 왼쪽에는 18나한을 모신 응진전(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이 있다. 18세기에 원래 대웅전으로 쓰기 위해 세워졌으며, 현재 신흥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응진전 내부의 단청은 문양 구성의 창의성과 채색화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