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송광사 동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송광사동종.jpg |사진출처=[http://aks.ai/GC07000397 송광사 동종], 디지털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
 
41번째 줄: 41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
송광사의 동종은 1716년에 만들어졌고 1769년에 보수되었다. 높이 107㎝, 지름 73㎝이다.
  
 +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가 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상이다. 그 옆에는 소리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종의 상단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구슬 모양의 돌기가 한 줄 돌려 있다. 그 밑으로는 8개의 원 안에 범자(梵字)를 새겨 넣었다. 중간 부분에는 보살 입상과 전패(殿牌) 등이 배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덩굴 문양을 돌렸다.
  
  

2023년 11월 10일 (금) 00:55 판


송광사 동종
송광사 동종, 디지털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송광사 동종
한자 松廣寺 銅鐘
주소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지정일 1992년 6월 20일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송광사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동종은 절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 시각을 알리기 위해 치는 종으로 범종(梵鐘)이라고도 불린다.

송광사 동종은 포탄형 몸체의 전형적인 조선 후기 종으로 높이 107㎝, 지름 73㎝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그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종의 상단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구슬 모양의 돌기가 한 줄 돌려 있다. 그 밑으로는 8개의 원 안에 범자(梵字)를 새겨 넣었다. 중간 부분에는 보살 입상과 전패(殿牌) 등이 배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덩굴 문양을 돌렸다.

송광사 동종은 종의 하단부에 새겨진 글을 통해 숙종 42년(1716)에 제작, 영조 45년(1769)에 보수하였음을 알 수 있는 종으로 조선 후기 범종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범자: 성스러운 문자라는 뜻으로 주로 불교 경전을 적는 데 사용
  • 전패: 왕을 상징하는 패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송광사의 동종은 1716년에 만들어졌고 1769년에 보수되었다. 높이 107㎝, 지름 73㎝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가 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상이다. 그 옆에는 소리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종의 상단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구슬 모양의 돌기가 한 줄 돌려 있다. 그 밑으로는 8개의 원 안에 범자(梵字)를 새겨 넣었다. 중간 부분에는 보살 입상과 전패(殿牌) 등이 배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덩굴 문양을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