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창원 진해 웅천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고)
16번째 줄: 16번째 줄:
 
===수정 국문===
 
===수정 국문===
 
====초고====
 
====초고====
 +
수구(水口)는 성벽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시설 중 그 규모가 작은 것이다. 대체로 성벽 밑이나 중간부에 개구부를 내어 성내에서 발생한 물이 흐르도록 한 시설로 한국의 모든 성곽은 시기와 성격을 막론하고 배수(排水)를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중 규모가 작은 경우 수구라 한 반면, 규모가 크고 문의 형식을 갖춘 경우 수문(水門)이라 하였다.
  
 +
웅천읍성에서 확인되는 수구는 동북벽에 1개, 남벽에 1개 모두 2개소가 확인된다. 동북치성 북쪽 하단의 수구는 두께 30cm의 석재 2기를 내벽까지 관통시키고, 그 위에 두께 50cm 정도의 장방형 석재를 올려놓았으며, 그 위에 성석들을 세워쌓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폭 25cm, 높이 40cm로 조사 당시 입구는 파손된 기와로 폐쇄되어 있었으며 수구 하부에 토층을 확인한 결과 장기간에 걸쳐 물이 흘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구 내부를 확인한 결과 수구는 내벽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ㄱ”자상으로 굴절된 것으로 현재의 웅천초등학교가 과거에 객사지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객사에 딸려 오수를 방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1차 수정====
 
====1차 수정====

2021년 4월 23일 (금) 16:54 판

창원 진해 웅천읍성 昌原 鎭海 熊川邑城
창원 진해 웅천읍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Goto.png 종합안내판: 창원 진해 웅천읍성



해설문

기존 국문

웅천읍성에서 확인되는 水口(성벽에 마련된 배수시설 중 규모가 작은 것)는 동북벽에 1개소, 남벽에 1개소 2개소가 확인되고 있다. 이곳 동북치성 북쪽 하단 수구는 기단석(基壇石) 위에 치석한 두께 30cm의 석재 2기(枚)를 내벽까지 관통시키고, 그 위에 두께 50cm 정도의 장방형 석재를 올려놓았으며, 그 위에 성석들을 세워쌓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폭 25cm, 높이 40cm로 조사 당시 입구는 파손된 기와로 폐쇄되어 있었으며 수구 하부에 토층을 확인한 결과 장기간에 걸쳐 물이 흘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구 내부를 확인한 결과 수구는 내벽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ㄱ”자상으로 굴절된 것으로 현재의 웅천초등학교가 과거에 객사지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객사에 딸려 오수를 방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정 국문

초고

수구(水口)는 성벽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시설 중 그 규모가 작은 것이다. 대체로 성벽 밑이나 중간부에 개구부를 내어 성내에서 발생한 물이 흐르도록 한 시설로 한국의 모든 성곽은 시기와 성격을 막론하고 배수(排水)를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중 규모가 작은 경우 수구라 한 반면, 규모가 크고 문의 형식을 갖춘 경우 수문(水門)이라 하였다.

웅천읍성에서 확인되는 수구는 동북벽에 1개, 남벽에 1개 모두 2개소가 확인된다. 동북치성 북쪽 하단의 수구는 두께 30cm의 석재 2기를 내벽까지 관통시키고, 그 위에 두께 50cm 정도의 장방형 석재를 올려놓았으며, 그 위에 성석들을 세워쌓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폭 25cm, 높이 40cm로 조사 당시 입구는 파손된 기와로 폐쇄되어 있었으며 수구 하부에 토층을 확인한 결과 장기간에 걸쳐 물이 흘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구 내부를 확인한 결과 수구는 내벽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ㄱ”자상으로 굴절된 것으로 현재의 웅천초등학교가 과거에 객사지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객사에 딸려 오수를 방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