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칠산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해설 내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밀양칠산정.jpg
 
|사진=밀양칠산정.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4780000 밀양 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4780000 밀양 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밀양 칠산정
 
|대표명칭=밀양 칠산정
|영문명칭=
+
|영문명칭=Chilsanjeong Ritual House, Miryang
 
|한자=密陽 七山亭
 
|한자=密陽 七山亭
 
|주소=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미3길 48-38  
 
|주소=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미3길 48-38  
33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Chilsanjeong Ritual House, Miryang'''
  
 +
Chilsanjeong Ritual House was built in 1906 for the maintenance of the tomb and the preparation of ancestral rituals for the Confucian scholar Son Eung-ryong (1741-1822), who is known to have taught many students and helped poor families in the Miryang area.
  
 +
A ritual house honoring Son Eung-ryong was first built on this site in 1863 by Son’s great-grandson Son Geon. Named Moseonjae, meaning “House of Remembering the Ancestor,” this original building was destroyed by a fire in 1895. The current building was constructed in 1906 by Son Geon’s grandson Son Gi-hyeong to serve as not only a ritual house, but also as a private villa. It was at this time that the name was changed to Chilsanjeong, meaning “Pavilion of the Seven Mountains,” in honor of Son Eung-ryong’s pen name, Chilsanong (“Elder of the Seven Mountains”).
  
 +
The ritual house consists of a wide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to each side. The hall was used for gatherings, while the rooms served as residences for ritual officiants. Extant records suggest that the current building was built to the same scale and layout as the original.
 +
 +
To the right of the ritual house is Cheongsongnu Pavilion, which was built as a ritual preparation hall. It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and an elevated wooden porch. The technique of installing an elevated porch at the end of a building to accommodate the inclined terrain was popular in the Miryang area in the 20th century.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칠산정은 조선시대의 유학자 손응룡(1741-1822, 호: 칠산옹)의 묘소를 수호하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 1906년에 지은 재실이다. 원래 이곳에는 1863년 증손자 손건이 지은 재실이 있었는데 1895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1906년 손건의 손자 손기형이 별장을 겸해 지금의 재실을 새로 지었다. 창건 당시에는 “선조를 추모하는 재실”이라는 뜻의 모선재(慕先齋)라 하였으나, 새로 지으면서 손응룡의 호를 따라 칠산정이라고 고쳐 불렀다. 손응룡은 밀양 지역에서 후진을 양성하고 빈곤한 가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칠산정은 조선시대의 유학자 손응룡(1741-1822)의 묘소를 수호하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 1906년에 지은 재실이다. 손응룡은 밀양 지역에서 후진을 양성하고 빈곤한 가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원래 이곳에는 1863년 손응룡의 증손자인 손건이 지은 재실이 있었다. 창건 당시에는 “선조를 추모하는 재실”이라는 뜻의 모선재(慕先齋)라 하였는데, 1895년 화재로 소실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06년 손건의 손자 손기형이 별장을 겸해 새로 지었다. 이때 재실의 이름을 칠산정으로 고쳐 불렀는데, 이는 손응룡의 호인 칠산옹에서 따온 것이다.  
  
칠산정은 가운데 넓은 마루가 있고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마루는 모임 장소로, 온돌방은 제관들의 거처로 사용됐다. 창건 당시의 기록과 비교해볼 때 건물 규모와 배치가 상당 부분 부합하므로, 새로 지을 때 창건 당시의 모습에 따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
칠산정은 가운데 넓은 마루가 있고 양옆에 온돌방이 있다. 마루는 모임 장소로, 온돌방은 제관들의 거처로 사용됐다. 창건 당시의 기록과 비교해보면, 건물을 새로 지을 때 건물 규모와 배치 등을 창건 당시의 모습에 따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칠산정 오른쪽에는 전사청으로 지어진 청송루가 있다. 온돌방과 누마루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적인 경사를 살려 건물 끝에 누마루를 조성하는 기법은 20세기 밀양 지방 누정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
칠산정 오른쪽에는 전사청으로 지어진 청송루가 있다. 청송루는 온돌방과 누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적인 경사를 살려 건물 끝에 누마루를 조성하는 기법은 20세기 밀양 지방 누정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2023년 1월 19일 (목) 15:48 기준 최신판

밀양 칠산정
Chilsanjeong Ritual House, Miryang
밀양 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 칠산정
영문명칭 Chilsanjeong Ritual House, Miryang
한자 密陽 七山亭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미3길 48-38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8호
지정일 2009년 10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밀양 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선 후기 유학자 손응룡(1741~1822)의 묘제(墓祭)*를 모시기 위해 증손자 건(鍵)이 1863년 묘소 아래에 지은 재숙소(齋宿所)가 화재로 소실되자 손자 기형(基亨)이 1906년 별장을 겸해 새로 지었다. 조선 말기에서 근대 초기에 이르는 격동기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은 밀양 향반(鄕班)들의 재실 건축 경향과 특징을 보여준다.

창건 당시 당호는 모선재(慕先齋), 구호당(龜湖堂)이었으나 중창하면서 칠산정이라고 고쳐 불렀다. 칠산은 손응룡의 호 칠산옹(七山翁)에서 따왔다. 그가 후진을 양성하고 빈곤한 가정에 도움을 줬다는 행적은 모선정기(慕先亭記), 칠산정 12경(七山亭 12景) 등의 현판에 기록되어 있다. 가운데 마루는 모임 장소로, 좌우 온돌방은 제관들의 거처로 사용됐다. 칠산정 서편에 들어선 청송루(廳松樓)는 온돌방과 누마루를 겸비한 누각이다.

건물 규모와 배치가 모선정기 내용과 상당 부분 부합해 창건 당시 모습에 준해 중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적인 경사를 살려 건물 끝에 누마루를 조성하는 기법은 이 시기 밀양 지방 누정(樓亭)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 묘제: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영문

Chilsanjeong Ritual House, Miryang

Chilsanjeong Ritual House was built in 1906 for the maintenance of the tomb and the preparation of ancestral rituals for the Confucian scholar Son Eung-ryong (1741-1822), who is known to have taught many students and helped poor families in the Miryang area.

A ritual house honoring Son Eung-ryong was first built on this site in 1863 by Son’s great-grandson Son Geon. Named Moseonjae, meaning “House of Remembering the Ancestor,” this original building was destroyed by a fire in 1895. The current building was constructed in 1906 by Son Geon’s grandson Son Gi-hyeong to serve as not only a ritual house, but also as a private villa. It was at this time that the name was changed to Chilsanjeong, meaning “Pavilion of the Seven Mountains,” in honor of Son Eung-ryong’s pen name, Chilsanong (“Elder of the Seven Mountains”).

The ritual house consists of a wide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to each side. The hall was used for gatherings, while the rooms served as residences for ritual officiants. Extant records suggest that the current building was built to the same scale and layout as the original.

To the right of the ritual house is Cheongsongnu Pavilion, which was built as a ritual preparation hall. It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and an elevated wooden porch. The technique of installing an elevated porch at the end of a building to accommodate the inclined terrain was popular in the Miryang area in the 20th century.

영문 해설 내용

칠산정은 조선시대의 유학자 손응룡(1741-1822)의 묘소를 수호하고 제사를 모시기 위해 1906년에 지은 재실이다. 손응룡은 밀양 지역에서 후진을 양성하고 빈곤한 가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이곳에는 1863년 손응룡의 증손자인 손건이 지은 재실이 있었다. 창건 당시에는 “선조를 추모하는 재실”이라는 뜻의 모선재(慕先齋)라 하였는데, 1895년 화재로 소실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906년 손건의 손자 손기형이 별장을 겸해 새로 지었다. 이때 재실의 이름을 칠산정으로 고쳐 불렀는데, 이는 손응룡의 호인 칠산옹에서 따온 것이다.

칠산정은 가운데 넓은 마루가 있고 양옆에 온돌방이 있다. 마루는 모임 장소로, 온돌방은 제관들의 거처로 사용됐다. 창건 당시의 기록과 비교해보면, 건물을 새로 지을 때 건물 규모와 배치 등을 창건 당시의 모습에 따라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칠산정 오른쪽에는 전사청으로 지어진 청송루가 있다. 청송루는 온돌방과 누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적인 경사를 살려 건물 끝에 누마루를 조성하는 기법은 20세기 밀양 지방 누정에 나타나는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