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밀양향교 명륜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해설 내용)
(영문)
30번째 줄: 30번째 줄:
  
 
===영문===
 
===영문===
 +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Myeongnyundang is the name of a lecture hall located within a local Confucian school. It means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and is derived from a passage in ''Mencius'', which states that “the object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o illuminate human relations.” 
  
 +
While it is unknown when exactly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the complex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The current Myeongnyundang Hall was built anew in 1618 and underwent several repairs.
  
 +
The hall stands atop a platform built out of unhewn stones and features a gable roof. It consists of a spacious wooden-floored hall in the middle and underfloor-heated rooms on either side, a common layout for large lecture halls. The wing-shaped brackets installed atop the hall’s pillars date back to the 17th century and are well-preserved in their original state. Despite several repairs which the hall has undergone over the centuries, it is one of the well-preserved local Confucian school structure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nd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uch lecture halls built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
 +
The two buildings located parallelly to each other in front of Myeongnyundang Hall are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3년 1월 18일 (수) 07:05 판


밀양향교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밀양향교 명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밀양향교 명륜당
영문명칭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한자 密陽鄕校 明倫堂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향교3길 19 (교동)
지정번호 보물 제2095호
지정일 2020년 12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밀양향교 명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유교의 성현(聖賢)을 받들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라에서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밀양향교 명륜당은 유생을 교육하던 공간으로 ‘명륜(明倫)’은 ‘인간 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이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1618년 다시 지었다. 맞배지붕에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다. 가운데 세 칸에는 대청마루를 넓게 넣고 양쪽 끝에는 방을 배치했다. 마루 좌우에 방을 넣는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 구조는 규모가 큰 명륜당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기단은 자연석을 쌓아 만들었다.

중건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했음에도 경남 지역 향교 건축물 중에서 보존 상태가 양호해 조선 중기 명륜당의 건축 특성을 이해하기에 좋은 자료이다. 새 날개 모양을 하고 기둥 위에서 보를 받쳐주고 있는 익공(翼栱)은 17세기 모습 그대로이다. 명륜당 앞에는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마주 보고 있다.

영문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Myeongnyundang is the name of a lecture hall located within a local Confucian school. It means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and is derived from a passage in Mencius, which states that “the object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o illuminate human relations.”

While it is unknown when exactly Mir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the complex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The current Myeongnyundang Hall was built anew in 1618 and underwent several repairs.

The hall stands atop a platform built out of unhewn stones and features a gable roof. It consists of a spacious wooden-floored hall in the middle and underfloor-heated rooms on either side, a common layout for large lecture halls. The wing-shaped brackets installed atop the hall’s pillars date back to the 17th century and are well-preserved in their original state. Despite several repairs which the hall has undergone over the centuries, it is one of the well-preserved local Confucian school structures in the Gyeongsangnam-do area and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uch lecture halls built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two buildings located parallelly to each other in front of Myeongnyundang Hall are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영문 해설 내용

명륜당은 향교에서 강의가 이루어지던 곳이다. “명륜”이라는 이름은 “교육이란 모두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히기 위한 것”이라는 『맹자(孟子)』의 한 구절에서 비롯되었다.

밀양향교는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618년에 다시 지어졌고, 이후 여러 차례 수리되었다.

자연석을 쌓아 만든 기단 위에 지어졌으며, 맞배지붕에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이다.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가 있고 양쪽 끝에 온돌방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규모가 큰 명륜당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기둥 위에 설치된 새 날개 모양의 공포는 17세기에 만들어진 모습 그대로이다. 중건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했음에도 경남 지역 향교 건축물 중에서 보존 상태가 양호해 조선 중기 명륜당의 건축 특성을 이해하기에 좋은 자료이다.

명륜당 앞에는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마주 보고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