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6호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25번째 줄: 25번째 줄:
 
'''Tomb No. 36 -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Namwon'''
 
'''Tomb No. 36 -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Namwon'''
  
This tomb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6th century.  
+
This tomb, located on the southern slope of Yeonbisan Mountain,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6th century for a minor ruler of Gimun, one of the members of the Gaya confederacy (42-562). It is the only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found among the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The location of the tombs in the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Larger tombs are situated around the main ridges, while smaller tombs, including Tomb No. 36 can be found down the slopes of Yeonbisan Mountain stretching to Ayeong Basin.  
+
The stone chamber has a rectangular layout with walls that lean inwards toward the top. Parts of the walls are thickly covered with lime plaster. The chamber is topped with a single capstone, while its floor features water drainage ditches made of stone shards. The entrance corridor is very long, and its walls have traces of lime plaster.  
  
Tomb No. 36 is the only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found in the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The corridor at the entrance of the tomb leading to the chamber inside the tomb mound is very long and on the walls of the corridor traces of being covered with lime plaster remain. The rectangular stone chamber gradually gets narrower toward the top and the ceiling is made of one stone. Parts of the walls are thickly covered with lime plaster and the floor has drainage ditches made of stones. Burial goods such as lids and waist belts in the style of the late period of Silla (57 BCE 935 CE) were excavated.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and the artifacts found here show the active exchange between the neighboring kingdoms Baekje (18 BCE-660 CE) and Silla.
+
The burial goods excavated from the tomb include lids and waist belts in the style of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and the artifacts found here demonstrate Gimun's active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kingdoms of Silla and Baekje (18 BCE-660 CE).
 +
 
 +
*가야 언급 없이 신라, 백제 언급하는 것이 이상해요. 통합 안내판 먼저 보지 않으면 이해가 안 될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에는 아래에 있는 참고 링크를 보기 전에 헷갈렸어요. 그리고 아래쪽에 위치한다는 얘기는, 비교적 덜 중요한 사람이어서, minor ruler이라고 했는데, 이 표현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면 될 것 같아요.
 +
*신라후기는 통일신라 직전의 얘기인가요? Late period of Silla이라고 하면 통일신라에 해당이 되어서 표현 수정하면 좋을 것 같아요.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1년 6월 11일 (금) 09:34 판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6호분 南原 酉谷里와 斗洛里 古墳群 36號墳
Tomb No. 36 -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Namwon
Goto.png 종합안내판: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가야고분군)



해설문

국문

전북과 경남 경계에 위치한 연비산에서 아영분지 한 복판까지 뻗어 내린 산줄기를 중심으로 40여기의 가야계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다.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내 가야계 고총들이 산줄기 정상부에 조성한 것과는 달리 36호분은 구릉의 남사면에 고분을 축조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고분은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에서 확인된 유일한 횡혈식석실분이며, 고분군의 하한과 백제·신라 등 주변국과의 역학관계를 살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석실 내부는 장방형으로, 네 벽을 위로 갈수록 좁혀 쌓고, 천장석을 1매로 덮은 궁륭형 석실이다. 벽면 일부에는 조개를 이용하여 만든 회가 두껍게 발려 있으며, 바닥에는 강돌을 깔아 배수로를 조성하였다.

연도는 좌편재로 길이는 매우 긴 편이다. 연도의 단면은 장방형으로, 회를 바른 흔적이 남아있다.

부장품으로는 신라후기양식의 뚜껑과, 허리띠 등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과 고분의 축조양상으로 볼 때, 6세기 중반이후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Tomb No. 36 -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Namwon

This tomb, located on the southern slope of Yeonbisan Mountain,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6th century for a minor ruler of Gimun, one of the members of the Gaya confederacy (42-562). It is the only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found among the Ancient Tombs in Yugok-ri and Durak-ri.

The stone chamber has a rectangular layout with walls that lean inwards toward the top. Parts of the walls are thickly covered with lime plaster. The chamber is topped with a single capstone, while its floor features water drainage ditches made of stone shards. The entrance corridor is very long, and its walls have traces of lime plaster.

The burial goods excavated from the tomb include lids and waist belts in the style of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and the artifacts found here demonstrate Gimun's active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kingdoms of Silla and Baekje (18 BCE-660 CE).

  • 가야 언급 없이 신라, 백제 언급하는 것이 이상해요. 통합 안내판 먼저 보지 않으면 이해가 안 될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에는 아래에 있는 참고 링크를 보기 전에 헷갈렸어요. 그리고 아래쪽에 위치한다는 얘기는, 비교적 덜 중요한 사람이어서, minor ruler이라고 했는데, 이 표현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면 될 것 같아요.
  • 신라후기는 통일신라 직전의 얘기인가요? Late period of Silla이라고 하면 통일신라에 해당이 되어서 표현 수정하면 좋을 것 같아요.

영문 해설 내용

36호분은 6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피장자의 계층적 신분 질서에 따라 무덤의 위치가 결정되었다. 정상부에는 주로 대형분이 분포하고 있고, 36호분을 비롯한 중소형 고분은 연비산에서 아영분지로 뻗어내리는 구릉 사면부에 분포하고 있다.

36호분은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에서 발견된 유일한 횡혈식 석실분이다. 고분 입구에서 무덤방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매우 긴 편이고, 통로 벽에는 회를 바른 흔적이 남아 있다. 장방형의 석실은 네 벽을 위로 갈수록 좁혀 쌓고 천장을 1매의 석재로 덮었다. 벽면 일부에는 회가 두껍게 발려 있으며, 바닥에는 돌을 깔아 배수로를 만들었다. 부장품으로는 신라후기 양식의 뚜껑과 허리띠 등이 출토되었다. 무덤의 축조 방식과 출토 유물들은 백제와 신라 등 주변국과의 활발했던 교류관계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