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해설 내용)
(영문)
34번째 줄: 34번째 줄:
  
 
===영문===
 
===영문===
 +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of Haegwangsa Temple, Gimhae'''
  
 +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teaches about the doctrine and the meditation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in the form of a discussion between the Buddha and twelve bodhisattvas. The book became popular and wa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fter it was highly praised the eminent monk Jinul (1158-1210).
  
 +
The copy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kept at Haegwangsa Temple was printed in 1464 by the Directorate of Buddhist Publications. It is particularly valuable due to its well-preserved condition, good legibility of the printed text, and the record stating when and where it was printed. 
  
 +
Several other extant editions of this book, namely, the 1570 Ansimsa Temple woodblock printed edition as well as the later editions of 1882 and 1883, were all printed based on the 1464 edition.
 +
 +
 +
*State Preceptor Bojo (i.e. Jinul, 1158-1210)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2년 11월 30일 (수) 08:38 판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자 金海 海光寺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63호
지정일 2014년 3월 20일
분류 기록유산
수량/면적 3권 1책
웹사이트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부처와 열두 보살이 주고받는 문답을 통해 대승불교 사상과 수행 절차를 설명한 경전이다.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조선 초기 승려인 함허당(涵虛堂) 득통기화(得通己和)가 풀이한 것으로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1464년(세조 10)에 간행하였다. 국내에는 1570년(선조 3)에 간경도감본을 복각(覆刻)*하여 무등산(無等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중간(重刊)**한 것, 1882년(고종 19) 간행본‚ 1883년(고종 20) 천마산(天磨山) 봉인사(奉印寺)판이 남아 있다.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중시되던 임진왜란기 간행본보다 130여년 빠른 것으로 간기의 기록이 명확하며 인쇄와 보관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적 가치가 크다.


  • 복각(覆刻): 원본을 그대로 본떠서 다시 목판으로 새김.
  • 중간(重刊): 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

영문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of Haegwangsa Temple, Gimha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teaches about the doctrine and the meditation practices of Mahayana Buddhism in the form of a discussion between the Buddha and twelve bodhisattvas. The book became popular and wa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fter it was highly praised the eminent monk Jinul (1158-1210).

The copy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kept at Haegwangsa Temple was printed in 1464 by the Directorate of Buddhist Publications. It is particularly valuable due to its well-preserved condition, good legibility of the printed text, and the record stating when and where it was printed.

Several other extant editions of this book, namely, the 1570 Ansimsa Temple woodblock printed edition as well as the later editions of 1882 and 1883, were all printed based on the 1464 edition.


  • State Preceptor Bojo (i.e. Jinul, 1158-1210)

영문 해설 내용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부처와 열두 보살이 주고받는 문답을 통해 대승불교 사상과 수행 절차를 설명한 경전이다. 고려의 고승 지눌(1158-1210)이 깊이 신봉한 이후 널리 유통되었다.

해광사가 소장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조선 초의 승려인 함허당 기화(1376-1433)가 풀이를 단 것이다. 불경의 번역과 간행을 담당하던 간경도감에서 1464년에 간행되었다. 간행 연도와 간행처에 대한 기록이 명확하며 인쇄와 보관 상태가 양호하여 가치가 크다.

현재 전해지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간경도감본을 본떠 새긴 목판으로 무등산 안심사에서 1570년에 간행한 것을 비롯하여, 1882년과 1883년에 간행된 것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