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성농요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7월 3일 (수) 04:0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고성농요 |영문명칭=Goseong Nongyo (Farmers' Song of Goseong) |한자=固城農謠 |주소= |소장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성농요
Goseong Nongyo (Farmers' Song of Goseong)
대표명칭 고성농요
영문명칭 Goseong Nongyo (Farmers' Song of Goseong)
한자 固城農謠
지정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제84-1호
지정일 1985년 12월 1일
분류 무형문화재/전통 공연·예술/음악/
웹사이트 "고성농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농요는 농부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고성 지방에서는 농요를 ‘등지’라고 하기도 한다. 등지란 모내기 소리를 뜻하는 경남 지역어이다. 조선 후기에 경상감사가 고성 들판을 지나다가 농민들이 모내기를 하면서 부르는 등지소리에 도취되어 행렬을 멈추고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마을에서 밤을 새웠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고성 농요는 하지 무렵부터 시작되는 농사소리가 주축을 이룬다. 농민들은 힘든 농사일의 고달픔을 농요를 부르면서 달랬고, 농요를 함께 부르면서 일의 능률을 올렸다.

노랫말에는 이 고장 농민들이 생활하면서 느낀 감정이 풍부하게 담겨 있으며 향토적인 정서가 물씬 풍긴다. 투박하고 억센 경상도 특유의 음악성을 간직한 경상도 노래지만, 지리적인 영향으로 음악적인 면에서는 슬프고 애타는 느낌을 주는 음조인 전라도의 계면조 선율 구조로 되어 있다.

모판에서 모를 찌면서 부르는 ‘모찌기 등지’,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모심기 등지’, 보리타작하며 부르는 ‘도리깨질 소리’, 김 맬 때 부르는 ‘상사 소리’ 및 ‘방아타령’ 등이 있으며, 부녀자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삼 삼기 소리’, 물레질하며 부르는 ‘물레타령’ 등이 있다.

고성 농요를 마당놀이로 공연할 때는 모찌기 소리, 모내기 소리, 도리깨질 소리, 삼 삼기 소리, 논매기 소리, 물레질 소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