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봉화상선요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14일 (금) 19:5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봉화상선요
대표명칭 고봉화상선요
한자 高峰和尙禪要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영평사길 124
지정번호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지정일 2014년 6월 30일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권1책
웹사이트 고봉화상선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봉화상선요는 중국의 승려 고봉 원묘(高峰 原妙)가 지은 「고봉대사어록」 중에서 일부 내용을 편집하여 엮은 책이다.

고봉의 제자인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직응거사 홍교조(洪喬祖)가 편집하였으며, 총 29편으로 되어 있는 한문본이다.

고려시대에 전래 된 이래로 선문도장에서 참선하는 수도인들의 교육 교재로 활용하였다.

이 책은 임진왜란 이전인 1539년(중종 34) 하동 지리산 남대암에서 간행되었다. 조선 시대 중기의 목판인쇄 문화와 불교학 및 서지학(書誌學)*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 서지학 : 책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고봉화상선요』는 송나라 말 원나라 초의 승려인 고봉 원묘(1238-1295)의 가르침을 모아 엮은 책이다. 고봉의 제자인 지정(持正)이 기록하고, 재가 제자인 홍교조(洪喬祖)가 편집하여 1294년에 간행하였으며, 총 29편으로 되어 있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선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교재로 사용되었다.

영평사에 소장된 이 책은 1539년 하동 남대암에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중기의 목판인쇄 문화, 불교학, 서지학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