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인왕동 사지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5일 (금) 19:2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인왕동사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705330000 경주 인왕동 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인왕동 사지
Temple Site in Inwang-dong, Gyeongju
경주 인왕동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인왕동 사지
영문명칭 Temple Site in Inwang-dong, Gyeongju
한자 慶州 仁旺洞 寺址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341-3
지정번호 사적 제533호
지정일 2016년 1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6필지 35,282㎡
웹사이트 경주 인왕동 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이 인용사(仁容寺)의 터로 추정하였다. 『삼국유사』에 인용사는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金仁問, 629~694)의 안녕을 비는 절이었다.

고구려 멸망 이후 당나라는 신라까지 정벌하려 하였다. 이때 당에 머물고 있던 김인문을 감옥에 가두었다. 신라 사람들은 그의 귀국을 기원하며 관음도량(觀音道場)을 열었으나, 효소왕 3년(694)에 김인문이 귀국하던 중에 죽자 미타도량(彌陀道場)으로 바꾸었다. 인용사는 신라에서 승려나 왕이 아닌 개인을 위해 세운 최초의 사찰로서 당시의 신앙 형태를 보여준다.

2002~2011년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4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하였다. 신라의 전형적인 쌍탑식 가람배치로 유례가 드문 아[亞]자형 건물지를 비롯 탑지, 금당지, 강당지, 회랑지, 연지와 우물 등을 확인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통일신라시대에 있었던 절의 옛 터이다.

절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지명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2002~2011년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4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곳에 있었던 사찰이 중문‧쌍탑‧금당‧강당‧회랑이 있는 신라의 전형적인 가람배치를 취하면서도 다른 신라 사찰과 비교되는 독특한 건축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문 자리에는 유례가 드문 아[亞]자형 건물지가 있고, 백제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기와를 쌓아 만든 기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쌍탑의 자리도 다른 신라 사찰들과 달리 탑과 금당의 앞쪽까지 들어와 있다.

이곳에서는 다량의 기와류를 비롯해 토기, 목간, 지진구 등의 많은 유물들도 출토되었다.

1931년 당시 경주고적보존회의 오사카 긴타로는 이곳을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인용사(仁容寺)의 터로 추정하여 발굴조사 전까지는 ‘인용사지’로 불려왔다.

인용사는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金仁問, 629~694)의 안녕을 빌기 위해 세워진 사찰로 전하며, 신라에서 개인을 위해 세운 최초의 절이다.

참고 자료